A huge collection of 3400+ free website templates, WP themes and more http://jartheme.com/ at the biggest community-driven free web design site.

민족사랑

4월혁명 60주년 기념 특별전 – 잔인한 사월 위대한 혁명

2020년 11월 10일 1329

[지상중계] 4월혁명 60주년 기념 특별전 – 잔인한 사월 위대한 혁명   올해는 4월혁명이 일어난 지 60년이 되는 뜻깊은 해이다. 이를 기념하여 근현대사기념관과 민족문제연구소는 4월혁명이 일어난 원인과 전개, 5·16쿠데타로 인한 좌절, 4월혁명이 한국문학과 예술에 미친 영향 등 4월혁명을 다각적으로 재조명하는 전시회를 마련했다. 원래 4월 19일에 개막하려 했으나 코로나 19 사태로 인해 9월 25일에야 겨우 전시회를 열게 되었다. 전시회 구성은 제1부 우상의 시대 : ‘국부’가 된 독재자, 제2부 구호로 보는 사월혁명, 제3부 사월 그날 이후, 제4부 문학과 예술로 보는 4·19로 이루어져 있으며 8개의 패널과 이승만 관련 〈대한뉴스〉 영상, 신동엽 시인, 여중생이 죽기 전 남긴 편지 등 4개 영상, 그리고 4월혁명 관련 서적과 당시 격문, 음반, 영화포스터 등 다양한 실물자료를 전시하고 있다. 전시 자료는 민족문제연구소가 소장한 자료가 다수이나 민족일보기념사업회, 아이엠피터 tv, 연세대학교박물관, 옛가요사랑모임 유정천리, 한상언영화연구소로부터 귀중한 자료의 전시 협찬을 받았다. ‘잔인한 사월, 위대한 혁명’ 전시회 지상중계에서는 각 주제별 전시회 현장 사진과 주요 실물 자료를 중점적으로 소개하고자 한다.     <대통령에 리승만 박사 부통령에 이기붕 선생을 추대하며> 자유당, 1956.4. 근현대사기념관 소장 대통령후보 이승만박사 선거사무장 이재학, 부통령후보 이기붕선생 선거사무장 박영출, 자유당중앙위원 일동 명의의 자유당 제3대 정부통령선거 후보 추대 홍보물이다. 사사오입 개헌으로 장기집권의 길을 연 자유당은 1956년 3월 5일 전당대회를 열고 이승만과 이기붕을 5·15 정부통령 선거 후보로 지명했다. ① <4·19>

‘가슴 뜨거워지는 한순간이 중요하다’ 한국사 RPG ‘난세의 영웅’ 개발자들

2020년 11월 10일 1500

[인터뷰] ‘가슴 뜨거워지는 한순간이 중요하다’ 한국사 RPG ‘난세의 영웅’ 개발자들 인터뷰 김수빈 회원 한국사 RPG ‘난세의 영웅’의 개발자인 고용진(왼쪽)과 안겨레(오른쪽)   100년 전, 독립운동에 뛰어든 청년들은 과연 어떤 심정이었을까? 그들은 나라를 구하겠다는 목표도 가족을 지켜 내겠다는 책임감도 제국주의와 반민족행위자를 몰아내고 정의로운 나라를 세우겠다는 사명감도 봉건적 속박에서 억압받는 성을 해방하겠다는 처절함도 있었겠지만, 이런 생각들은 모두 저마다 ‘가슴 뜨거워지는 한 순간’을 만났기 때문에 가능하지 않았을까? 그로부터 100년 후, 21세기를 살아가고 있는 청년들의 가슴엔 과연 어떤 ‘한순간’이자리 잡고 있을까? 그 뜨거움의 원천은 각기 다르겠지만, 그 한순간을 만났고, 이에 두려움도 무릅쓰고 한 발짝 내디딘 청년들이 있다. 한국사 RPG ‘난세의 영웅’을 개발한 고용성 개발자와 안겨레 개발자가 바로 그들이다. 10월 8일, 민족문제연구소 회의실에서 ‘난세의 영웅’ 개발자 두 분과의 인터뷰가 진행됐다. 문: 안녕하세요,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 안겨레 : 안녕하세요, 한림대 법학과 재학 중인 안겨레입니다. 한림대학교 내 창업교육센터에서 한국사 RPG ‘난세의 영웅’ 게임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고용성 : 안녕하세요, 한림대 경영학과에 재학 중인 고용성입니다. ‘난세의 영웅’ 개발과 저희 회사 경영 업무를 맡고 있습니다. 문 : 한국사 RPG ‘난세의 영웅’은 어떤 게임인가요? 안겨레 : ‘난세의 영웅’은 선사시대부터 건국 이후까지의 역사를 다룬 한국사 RPG입니다. 주인공은 3명이고, 시대가 진행될수록 다양한 캐릭터들이 등장합니다. 저희 게임의 주요 콘텐츠 중에 하나가 캐릭터가 돌아다니며 NPC에게 말을 거는 방식인데요, NPC와의

기증자료

2020년 11월 10일 855

• 9월 3일 미노시마 마사루(箕島勝) 씨가 일본평화위원회에서 발행한 <평화운동>(1970년 1월호), <평화운동입문> (1964년), ‘용서하지 마라! 일미(日米)의 아시아 침략! 일한회담 분쇄’라고 적힌 피켓을 든 한일회담 반대 행진대의 모습이 담긴 사진, <류큐신문>(1975년 10월 4일자)등 총 13점을 기증했다. <류큐신문>에는 당시 도쿄 한국연구원 원장이던 최서면 씨가 「민비사건」의 전체상을 알 수 있는 새 자료를 발견해, 일본의 계획적인 범죄가 명확히 드러났다는 내용이 실려 있다. • 9월 14일 가스야 켄이치(糟谷憲一) 씨가 올해 8월 30일에 출판한 저서 <조선반도를 일본이 영토로 한 시대> 기증했다. • 9월 29일 다니구치 요코(谷口洋子) 씨가 6월에 이어 강제동원, 한일교류 등의 기사가 실린 <적기>, <신부인>, <주간 금요일> 등의 자료 30점과 후원금 100만 엔을 기부했다. 특히 <주간 금요일>(2020년 8월 21일자)에는 올해 3월 도쿄에 개설된 산업유산정보센터의 역사부정을 비판하는 기사가 실려 있다. • 오카베 토시오(岡部壽郞) 씨가 9월에 발행된 <도쿄신문> 기사 등 총 20점을 스캔하여 데이터로 기증했다. 이번 기증받은 기사에는 간토대지진 조선인 대학살 희생자 위령을 위한 법요, 추도식 등에 관한 특집 등이 있다. 올해 추도식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확산 방지를 위해 소규모로 진행되었다고 한다. – 김진희 학예실 연구원 • 9월 23일 김충한 씨가 연구소에 소장 자료를 기증했다. 기증 자료는 일제강점기 ‘조선어연구회’에서 발행하고 ‘조선어연구회편집부’에서 집필한 <조선문조선어강의록> 제2회의 일부로 「日用朝鮮語六千語集」과 「常用漢字音別表」를 편철한 것이다. 본 자료를 발행한 ‘조선어연구회’는 ‘조선어학회’의 전신이 아니라 조선총독부가 조선사회 내에 형성된 교육

제13회 강만길연구지원금 수여식 개최

2020년 11월 10일 1220

[초점] 제13회 강만길연구지원금 수여식 개최 내일을여는역사재단이 주관하는 제13회 강만길연구지원금 수여식이 10월 16일 금요일 오후 7시 식민지역사박물관 1층 돌모루홀에서 열렸다. 강만길연구지원금은 신진 학자들의 도전적 탐구정신을 격려하고 한국근현대사 연구의 지평을 넓히기 위해 2007년 제정되었다. 수여식은 함세웅 이사장의 인사말을 시작으로 지수걸 공주대 교수의 수령자 발표, 지원금 수여, 조광 국사편찬위원회 위원장의 축사, 박윤재 경희대 교수의 격려사, 수령자 조수룡 박사의 소감연설 순으로 진행됐다. 이번 심사대상은 2018년 8월과 2019년 2월에 수여된 21편의 한국근현대사 관련 박사학위 논문으로 3월 14일 예비심사를 거쳐 4월 23일 심사위원회에서 조수룡 국사편찬위원회 편사연구사의 「전후 북한의 사회주의 이행과 ‘자력갱생’ 경제의 형성」이 최종 선정되었다. 심사위원장인 지수걸 공주대 교수를 비롯하여 이태훈 연세대 교수, 정용욱 서울대 교수가 심사위원으로, 김윤희 전주대 교수, 이상록 국사편찬위원회 편사연구사, 정용서 연세대 동은의학박물관 학예실장, 조형열 동아대 교수가 예비심사위원으로 참여했다.  심사위원회는, 조수룡 박사의 「전후 북한의 사회주의 이행과 ‘자력갱생’ 경제의 형성」이 정치사, 경제사, 국제관계사를 넘나들며 1950년대 북한의 전후복구 및 사회주의 이행 전략이 ‘자력갱생’ 경제로 귀결되는 과정을 밝혀내어 북한사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고 그 선정이유를 밝혔다. 특히 러시아의 방대한 북소관계 자료를 전면적으로 분석하여 북한사회의 내적 발전과정을 객관화하고, 그 연장선상에서 정치체제의 변화과정을 설명한 대목은 이 논문의 장점을 가장 잘 보여준 지점이라고 평가했다. • 김혜영 선임연구원

임헌영 소장, 제12회 임화문학예술상 수상

2020년 11월 10일 560

[초점] 임헌영 소장, 제12회 임화문학예술상 수상 임화문학예술상은 한국 근대문학사에서 독보적 존재로 꼽히는 임화(본명 임인식, 1908~1953)의 문 학적, 학문적 업적을 기리고 계승하고자 2008년 그의 탄생 100주년을 기해 제정된 상이다. 소명출판사와 임화문학예술상운영위원회가 공동으로 주관하는 이 상의 올해 수상작은 임헌영 소장의 <한국소설, 정치를 통매하다>이다. 이 책은 최인훈, 남정현, 이병주, 조정래, 장용학 등 우리 문학에 커다란 획을 그은 대가들의 작품 중 ‘사회 비판 및 정치를 질타하는 문학’만을 다룬 평론집이다. 10월 10일 식민지역사박물관 1층에서 열리 시상식은 임화문학예술상 운영위원장인 염무웅 문학평론가의 인사말과 유성호 한양대 교수의 심사평, 구중서 문학평론가의 시상, 조정래 소설가의 축사, 수상자인 임헌영 소장의 수상소감 순으로 이어졌고 시상식 전 과정이 유튜브로 생중계됐다. 유성호 교수는 심사평에서 “그동안 선생의 비평은 참여문학, 민족문학, 리얼리즘, 민중문학에 이르는 패러다임을 모두 품고 있다. 안으로는 동학농민혁명, 4·19혁명, 광주민중항쟁, 6월항쟁과 관련한 문학에 대해 꾸준히 비평해왔고, 밖으로는 글로벌 시대의 해외동포문학에 대한 탐구도 줄기차게 수행함으로써 한국문학의 외연을 넓혀갔다. 이처럼 선생은 근현대 민족수난사와 함께하면서 디아스포라 문제에도 큰 족적을 남겼다. 이번 비평집은 이러한 성과를 ‘정치’라는 화두로 집중시켜 얻어낸 수일(秀逸)한 소설 평론집이자, 한국 근대사를 험난하게 살아왔던 지성들과의 격의 없는 대화록으로 널리 읽힐 것이다. ”라고 수상 이유를 밝혔다. • 방학진 기획실장

사월혁명 60주년 기념 특별전 <잔인한 사월, 위대한 혁명> 개막

2020년 11월 10일 660

[초점] 사월혁명 60주년 기념 특별전 <잔인한 사월, 위대한 혁명> 개막     사월혁명 60주년 기념 특별전 〈잔인한 사월, 위대한 혁명〉이 9월 25일 개막하였다. 올해는 역사적인 사월혁명이 일어난 지 60주년 되는 해이다. 이번 전시는 예기치 않았던 코로나-19 상황으로 근현대사기념관이 장기적으로 휴관하여 오랜기간 미루어졌지만 민주혁명의 서막을 알리는 1960년 4월을 기억하기 위하여 가을의 시작과 함께 전시를 개막하였다. 근현대사기념관이 주최하고 민족문제연구소가 주관하는 이번 특별전은 모두 4부로 구성되어 있다. 전시는 4월혁명이 일어나기 전 이승만정부의 독재와 부정부패, 4월혁명의 진행과정, 5·16군사쿠데타로 인한 혁명의 좌절, 그리고 문화예술인들이 민중의 힘으로 독재권력을 무너뜨린 4월혁명을 어떠한 창작활동으로 승화시켰는지 보여주고 있다. 제1부 〈우상의 시대-‘국부’가 된 독재자〉에서는 남한 단독정부 수립을 밀어붙여 1948년 초대대통령으로 선출된 이승만과 자유당 독재정권이 권력을 남용하고 부정부패를 일삼으며 어떻게 이승만을 ‘국부’로 우상화 하였는지 보여준다. 당시 이승만 우상화의 도구가 된 〈대한뉴스〉 영상들과 다양한 사료들은 독재정권을 노골화한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 제2부 〈구호로 보는 사월혁명〉은 “학원에 자유를 달라”고 외치던 2·28대구학생의거와 “3·15선거는 불법이다” “정부통령선거 다시 하라”고 외치던 1차 마산의거를 지나 “이승만 정부는 물러가라” 등의 정권타도 구호와 함께 4월혁명의 반독재투쟁을 보여준다. 그리고 4월혁명 이후 “한미경제협정 결사반대” “가자 북으로! 오라 남으로! 만나자 판문점에서” 등 사회변혁 운동이 어떻게 진행되었는지를 연표의 시대순에 따라 보여주고 있다. 또한 민족문제연구소에서 소장하고 있는 4월혁명 당시의 현장감 있는 모습을 담은 사진들도 함께

‘일본 역사’가 된 식민지 조선

2020년 11월 10일 2071

이번에 소개할 자료는 대정 원년(1912년) 10월 4일 동광원(東光園)에서 발행한 <일본역사사진첩>이다. 연구소 소장본은 한 차례 증보를 거쳐 대정 2년(1913년) 6월 8일에 발행한 정가 6원의 제3판본이다. 불과 10개월 만에 세 번째 인쇄를 한 것으로 보아 판매량이 적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사진첩>은 총 284쪽에 걸쳐 근대 메이지 유신(明治維新) 전후부터 1912년까지 일본 역사의 여러 사진 자료를 보여준다. 일본의 근대화 과정 속에 일어난 사건, ‘천황’과 가문의 인물들, 정치·군사 분야의 주요 인물, 일본과 밀접한 관계인 미국·영국·프랑스·러시아 등 당시 제국주의 국가들의 주요인물 사진 등이 실려 있다. 특히 일본의 팽창을 보여주는 침략전쟁의 현장 등이 사진으로 게재되어 있는데 주요 사진들은 일본 근대사에서 ‘자랑스러운 승리의 역사’로 기록하는 청일전쟁과 러일전쟁에 관련된 이미지이다. 일본 근대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부분이 바로 대한제국과의 관계인데 <사진첩>에서도 ‘강제병합’까지의 과정을 사진으로 간략하게 보여준다. 이토 히로부미와 순종의 서북순행, 요시히토 황태자의 한국방문, 조선민중에게 주어진 태형(笞刑)의 모습 등 일본의 식민지로 전락하는 조선의 모습이다. <사진첩> 본문 160쪽에는 이토 히로부미가 한복을 입고 찍은 사진이 게재되어 있는데 이는 1906년 12월 대한제국 내부대신 이지용(李址鎔)이 특파대사로 도쿄에 갔을 때에 이토 히로부미 내외에게 한복을 지어 선물로 건네준 것을 기념하기 위해 촬영한 것이었다. (민족사랑 2017년 10월호 참조) 무엇보다 눈에 띄는 사진은 본문 162쪽에 등장하는 사진들이다. 훈장을 패용한 예복을 입은 이토 히로부미, 이토가 하얼빈역에 내리기 전에 병사들이

도로원표는 왜 칭경기념비전 앞에 놓여 있을까?

2020년 9월 24일 2452

88서울올림픽을 앞두고 사라진 옛 문화유적지를 알리기 위해 서울시가 처음 10개의 표석(標石)을 설치한 것이 지난 1985년 10월 30일의 일이었다. 이 숫자는 세월이 흐르면서 꾸준히 증가하여 지금은 시내 곳곳에 대략 300여 개가 넘는 표석이 만들어져 있는데, 이 가운데 근대시기 신문사 터와 관련한 것도 다섯 개가 포함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독립신문사 터’ 표석은 최초에 설치된 10개의 표석군에 포함되어 정동 배재학당 구내에 자리하였고, 그 후에 황성신문(2005년), 조선일보(2005년), 동아일보(2006년), 대한 매일신보(2007년)의 표석도 차례대로 추가되었다. 다만, 독립신문사의 경우 2014년에 이르러 원위치 재고증 문제가 불거지면서 옛 독일영사관 자리에 해당하는 서울시립미술관 앞뜰에 새로운 표석으로 교체되어 설치된 상태이다. 그런데 이들 신문사는 사옥의 위치를 여러 군데 옮겨 다닌 것이 대부분이었으므로 그 가운데 어느 장소에 표석을 설치하는지가 간혹 문제가 될 수 있다. 이런 논란을 피하고자 대개는 창간사옥(創刊社屋)을 기준으로 하는 방식을 따르는 것이 보통이며, 실제로 표석 표면에는 ‘무슨무슨 신문 창간사옥 터’라는 표제가 즐겨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황성신문의 경우는 예외였다. 현재 ‘황성신문(皇城新聞) 터’ 표석은 지하철 1호선 종각역 5번 출구의 계단 바로 옆 도로를 등진 자리에 설치되어 있다. 이곳은 이 신문사의 사옥이 있었다고 하는 ‘종로 백목전 후곡전 면주전도가(鍾路 白木廛 後谷 前 綿紬廛都家)’ 터와 인접한 지점이다. 서울시에서 이 표석을 세운 때가 2005년 12월이라 하였으니, 필시 ‘을사조약 100년’을 되새기는 뜻에서 만들어진것임을 짐작할 수 있다. 창간사옥도 아닌

안익태의 표절과 변절

2020년 9월 24일 4075

1. 들어가며 안익태 애국가2의 표절문제가 최초로 제기된 것은 1964년, 제3회 서울 국제음악제에 참석하기 위해 내한한 불가리아계 미국인 지휘자 피터니콜로프(Петър Николов)에 의해서이다. 그는 〈애국가〉가 불가리아 노래 〈오! 도브루잔스키 크라이(오 도브루자의 땅이여, О, Добруджански край)〉와 유사하다고 주장했다. 이후 불가리아 태생의 작곡가이자 UCLA 교수 보리스 크레만리에프가 〈오! 도브루잔스키 크라이〉의 악보를 보내오면서 표절의 근거를 제시하였다. 중앙대 이유선 교수는 저서 <한국양악백년사>에서 이를 한 번 더 언급하며 새 국가 제정의 필요성을 역설한 바 있다. 〈애국가〉의 표절에 관한 시비는 <코리아 타임스>의 음악평론가 제임스 웨이드(James Wade)와 전 연세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 교수 공석준에 의해 전개되었으며, 그 뒤에도 전 중앙대학교 교수 노동은에 의해 논의된 바 있다. 본고에서는 〈애국가〉와 〈오! 도브루잔스키 크라이〉의 유사성에 대해 선율형을 중심으로 한 세밀한 분석을 통해 표절 사실을 확인할 것이며, 〈애국가〉 작곡 이후 안익태가 전개한 자기표절의 일련의 과정이 어떻게 변절과 위장의 수단이 되었는지에 대해 살펴보겠다. 1 국가만들기시민모임 사무총장 겸 연구위원장 2 이하 <애국가>로 약칭함. 2. 안익태의 표절 애국가의 작곡시점은 1935년 11월, 미국 필라델피아이며, 같은 해 12월 28일 초연되었다. 즉 불가리아 방문 전에 〈애국가〉가 작곡된 점은 사실일 것이나, 공석준 스스로가 독보(讀譜)에 의한 참고 여부는 알 수 없다고 한 바 있다. 꼭 불가리아를 직접 방문해야만 불가리아의 노래를 접할 수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안익태는 〈애국가〉 작곡을 위해 40여 개국의 국가(國歌)를

학교현장을 다시 떠나며

2020년 9월 24일 982

1981년 5월 21일 오후 8시경 인천제일교회에서 한완상 교수의 강연회가 끝나고 청년학생 500여 명이 스크럼을 짜고 ‘전두환 물러가라’ ‘노동3권 보장하라’ ‘광주민중항쟁 진실규명하라’ 외치며 동인천역으로 향했다. 당시 나는 인천 인성여고 교사이며 인천기독청년협의회 회장이었다. 1981년 5월 18일에 이미 5.18 민중항쟁에 대한 진실규명과 전두환정권의 사죄 등을 담은 성명서를 발표한 때였다. 나는 그날 저녁에 인천 중부경찰서에 잡혀갔다. 당시 동인천역 근처에 있었던 광야서점에 내 이름 앞으로 와 있던 유인물 300여 장의 출처를 대라며 경찰은 같이 연행되었던 다른 후배들과 나를 엄청 두들겨 고문하였다. 이렇게 되어 나는 결국 집시법 위반으로 징역 10월을 받고 만기 출소하고 인성여고에서 해직되어 교단을 떠났다. 내가 경찰서에서 두들겨 맞고 있는 때에 나중에 출소한 후에 알았지만 당시 학생회장이었던 학생은 학교 교무실의 내 자리를 지키며 내가 돌아오기를 기다렸다고 하여 참으로 눈물을 흘리기도 하였다. 출소 후에는 노동운동에 관심이 많아 당시 탄압받던 민주노조였던 콘트롤 데이터 노동조합 탄압저지대책위 간사로 또 원풍모방대책위 간사로 여기저기를 누비다가 결국 생산 노동현장으로 들어가 직접 함께 투쟁하자고 하여 가방공장에서, 트랜스 공장에서 1년여를 일하고 인천도시산업선교회 간사로 들어가 10년을 노동현장에 대한 상담과 투쟁에 대한 지원활동을 하였다. 1980년대 노동현장은 너무나도 열악한 상태였다. 그래서 1987년 7·8월 노동자 대투쟁이 일어나게 되었다. 나도 그 한복판에서 3개월여를 집에도 못가고 치열하게 현장과 함께하였다. 참으로 인생에서 가장 뜨거웠던 시절이었다. 이 세상이 변혁될 것이라 생각하였다. 그러나 역사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