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huge collection of 3400+ free website templates, WP themes and more http://jartheme.com/ at the biggest community-driven free web design site.

민족사랑

박정희 동상 건립 반대 기자회견과 청원운동 전개

2018년 1월 9일 900

11월 3일 박정희대통령기념재단이 박정희 출생 100년을 하루 앞둔 11월 13일에 서울시 마포구 상암동 박정희대통령기념·도서관에 4m 크기의 박정희 동상을 세울 것이라는 첫 언론보도가 나왔다. 연구소는 즉시 해당 기사를 작성한 기자를 통해 상황을 파악한 후 11월 6일 연구소 집행위원회(소장, 실국장, 운영위원장단의 회의체)를 소집해 강력 대응키로 결의했다. 우선 뜻을 같이 하는 마포지역 정당, 시민사회단체들과 함께 11월 13일 제막식 저지 집회를 개최하였다. 또한 집회 전까지 여러 언론을 통해 동상 건립의 부당성을 널리 알렸다. 다행히 서울시도 시유지인 박정희대통령기념·도서관 내에 동상을 세우려면 서울시 공공미술설치조례에 따라 해당 위원회의 사전 심의를 받아야 한다고 밝힘으로써 동상 건립은 명백한 불법임이 드러났다. 게다가 연구소와 함께 동상 소재지를 파악하던 CBS가 동상 소재지를 독점 보도하여 반대 여론은 급격히 늘어났다. 이처럼 자신들에게 상황이 불리해지자 박정희대통령기념재단 측은 당초 동상 제막식을 동상 기증식으로 변경해 행사를 진행했다. 하지만 연구소와 마포 지역주민들이 조직한 ‘박정희동상 설치 저지 마포비상행동’ 소속 회원 등 100여 명은 13일 오전 10시부터 동상 기증식장 앞 계단에서 1시간 넘게 동상 건립 반대 집회를 열었다. 반대 집회 참가자들은 ‘차라리 황국 군인 동상을 세워라’ ‘헌정질서 파괴주범의 동상이 웬 말이냐’ 등의 피켓을 들고 항의했다. 또한 “지난해 촛불시민혁명으로 적폐청산이 시대의 화두가 된 지금 원조 적폐인 박정희 동상을 서울시민의 땅에 세우겠다는 준동을 결코 용납할 수 없다.”면서 “박정희대통령기념재단이 박정희 동상 설치 심의를

제11회 임종국상 시상식과 임종국 선생 28주기 추모식 개최

2018년 1월 9일 1053

제11회 임종국상 시상식이 11월 10일 오후 7시 한국언론회관 19층 기자회견장에서 회원 및 각계인사 1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에 열렸다. 시상식은 장병화 임종국선생기념사업회장의 기념사를 시작으로 이이화 식민지역사박물관 건립위원장의 축사, 조희연 서울시 교육감의 축하영상, 이민우 연구소 운영위원장의 기념사업회 경과보고, 윤경로 심사위원장의 선정경위 설명, 시상 그리고 수상자들의 수상연설, 함세웅 이사장의 인사말 순으로 진행됐다. 올해 수상자 후보 공모에는 학술·문화 부문 6건, 사회·언론 부문 6건 등 총 12건이 올라왔으며, 9월 26일 열린 심사위원회에서 열띤 토론과정을 거쳐 학술부문에 조재곤 서강대 연구교수가, 사회부문에는 한상권 한국사교과서국정화저지네트워크 상임대표가 최종 선정되었다. 심사위원장인 윤경로 전 한성대 총장을 비롯하여 박찬승 한양대 교수, 장완익 변호사, 정근식 서울대 교수, 정해구 성공회대 교수, 조세열 사무총장 등이 심사위원으로 참여했다. 학술부문 수상자인 조재곤 교수는 <한국근대사회와보부상><그래서 나는 김옥균을쏘았다><민영환: 대한제국의마지막숨결> 등 다수의 저서를 내놓은 한국근대사 중견 연구자이다. 학술연구뿐만 아니라 친일인명사전편찬위원회와 일제강점하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동학농민혁명참여자명예회복심의위원회에 참여하는 등 오랜 기간 민간기구와 정부의 과거사 청산에도 기여해 왔다. 수상저서인『전쟁과인간그리고‘평화’-러일전쟁과한국사회』는러일전쟁에 관한 한·중·일의 연구성과와 자료는 물론 러시아의 사료까지 섭렵하여 분석에 활용함으로써 러일전쟁의 연구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렸다는 평가를 받았다. 특히 기존의 연구와 달리 전장으로서 한반도와 피해자로서 한국인의 관점에서 주체적인 접근을 시도하여 러일전쟁의 역사상을 재정립한 점이 돋보인다. 사회부문 수상자인 한상권 한국사교과서국정화저지네트워크 상임대표는 대학의 민주화와 친일잔재 청산을 추진하다 해직당하는 등 학술연구와 현실참여를 병행해 온 실천적 지식인이다. 그는 민가협 양심수후원회 회장,

일제가 전세계를 대상으로 제작 배포한 영문판 식민통치보고서, 애뉴얼 리포트

2018년 1월 9일 2207

강원도 삼척군(三陟郡)에서 상치(尙齒)의 은전(恩典)에 욕(浴)한 최동욱(崔東昱) 외 37명의 양반유생(兩班儒生)은 성은(聖恩)의 우악(優渥)하심을 감격하여 성덕(聖德)을 만세에 전하기로 거월(去月) 3일 천장가절(天長佳節)에 복(卜)하여 동군(同郡) 읍내 서단 죽서루(竹西樓)의 측(側)에 고(高) 8척(尺) 5촌(寸), 폭(幅) 2척 4촌, 후(厚) 8촌의 기념비를 건립하고 기(其) 기석(基石)은 융기한 천연의 대반석(大盤石)을 이용하였다는데, 전면에는 ‘天長地久’ 후면에는 ‘明治 四十四年 十一月 三日 立 天皇在上 葛人西蜀 命我總督 召化南國 恤窮褒節 耆老兩班 勸業省稅 臣民一體 江原道 三陟郡 兩班耆老 崔東昱 金炯國 外 三十六人’이라 서(書)하고, 건립위치는 풍광이 명미(明媚)하고 조망이 절가(絶佳)한 강원도 팔경(八景) 중 유명한 처(處)이라더라. 이것은 <매일신보>1911년12월6일자에수록된「천장지구(天長地久)」제하의기사이다.여기에는 삼척에 사는 ‘얼빠진’ 양반유생들이 천황의 은사금 하사에 감읍한 나머지 그 공덕을 길이 기리고자 삼척 죽서루 옆에 ‘천장지구’라고 새긴 비석을 세웠다는 소식을 담고 있다. 일제는 한국을 강제 병합한 직후, 원활한 식민통치를 위한 회유책의 하나로 친일귀족들이 아닌 사람들에게도 은사금을 광범위하게 살포하였다. 이때 양반유생의 기로(耆老)로서 은사금을 받은 자가 12,115명이오, 효자절부(孝子節婦)로서 포상은사금의 대상자가 3,209명이며, 환과고독(鰥寡孤獨; 홀아비, 과부, 고아, 독거노인)으로서 구휼은사금을 받은 이가 무려 70,902명에 달하였다. 위에 나오는 삼척지역의 양반유생들도 여기에 포함되어 있는데, 흥미롭게도 이들이 은사금 사령서(辭令書)를 수여받는 장면이 담긴 사진자료가 고스란히 남아 있다. 일장기를 내건 삼척수비대 앞에서 이들이 양쪽에 차례대로 도열한 광경이 포착된 이 사진의 출처는 조선총독부가 1911년 12월에 펴낸 <애뉴얼리포트(1910~11년판)>이다. 이 책자는 원래 1908년 12월에 통감부에 의해 ‘1907년판’이 처음 나온 이래로 글자 그대로 해마다 간행된 ‘연차보고서’이다. 이러한

인왕산 자락이 채석장으로 누더기가 된 까닭은?

2017년 11월 16일 3148

<매일신보> 1937년 6월 22일자의 지면에는 임사일(林士一)이라는 사람이 기고한 연재물 「창의문 밖의 기억」 첫 회가 수록되어 있다. 이 기사는 그 다음달 7월 2일에 이르기까지 6회에 걸쳐 분할 연재되었는데, 창의문 밖을 벗어나 부암동 중턱의 무계동천과 윤웅렬 별장에서 시작하여 석파정을 거치고 골짜기 아래의 부침바위, 세검정, 연융대, 홍지문, 보도각 백불(白佛) 일대를 죽 탐방하는 행로가 그려져 있다. 이 글을 따라 읽다 보면, 지금의 모습과는 다른 듯 아닌 듯 이 일대의 옛 모습을 상상으로나마 그려보는 재미가 쏠쏠하다. 그런데 이 연재물에는 여기저기 채석장에 관한 언급이 유달리 많이 등장하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일신보> 1937년 6월 27일자에 수록된 ‘4회’ 연재분에는 다음과 같은 구절이 묘사되어 있다. 부침바위 정면으로 건너편에 새로 지은 한씨(韓氏)의 정자(亭子)를 바라보면서 큰길을 그대로 잡아 내려가면 인왕산 후록 둔부(臀部)에 당(當)할 만한 위치에 채석장(採石場)이 있다. 자하문(紫霞門) 밖에서 채석장이 한두 군데가 아닌데 이곳이 초입의 채석장이다. 벌써 인왕산의 삼분의 일은 파먹어 들어갔다. 그대로 하여 인왕산을 횡단하면 옥인동(玉仁洞) 아방궁(阿房宮: 윤덕영의 집)의 후정(後庭)이 삼각산을 통거리로 들이마실 것이다. ‘따이나마이트’의 폭발하는 그 소리에 이전 세상 같으면 적군이 대포를 놓고 쳐들어온다고 피난준비에 야단법석이 날 것이다. 이전 세상이 아니라도 그 어마어마한 소리를 처음 들을 때에는 그랬을는지도 모른다. 그러나 지금은 어린 아이들도 ‘캉’ 소리가 나면 또 돌 깨트렸다고 할 뿐 태연자약이다. 그리하여 자하문 밖 경치는

[기고] 이제, 친일을 청산하자

2017년 11월 16일 4683

이제, 친일을 청산하자. 독재와 억압, 불의와 부정의 토대인 친일을 청산하자. 그리하여 이 땅에 70년 넘게 채워진 질곡의 사슬을 풀고 민주와 정의, 화합과 평등이 넘치는 새로운 역사적 전환을 만들자. 미국을 등에 업은 이승만의 친미독재, 박정희와 전두환의 무자비한 군사독재, 그리고 이들의 반민족, 반민주 독재권력을 이어받고자 했던 이명박과 박근혜의 국민분열, 친일반역, 국정농단 정권에 이르기까지 우리는 해방 이후 친일세력들의 비열한 통치와 압제 속에서 살았다. 이러한 체제가 반복되어 온 것은 일제 식민지 지배세력들의 인적, 제도적 잔재를 제대로 청산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일제 식민지와 친일, 그 뿌리 깊은 잔재는 오늘날 정치, 사회, 학문, 자본, 언론, 예술 등 모든 곳곳, 요소요소에 악의 고리로 남아있다. 1919년 3·1독립운동뿐만이 아니라 1960년 4·19혁명, 1980년 5·18민주화운동, 1987년 6·10민주항쟁은 모두 ‘친일세력의 근원을 타도하기 위한 민중들의 항쟁’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바로 그 최후의 정점에 이승만을 몰아낸 민주혁명의 힘이 박근혜를 권력에서 끌어내린 촛불혁명으로 타올랐다. 일제 강점기 당시, 조선의 국권을 빼앗은 일제보다 일제에 빌붙어 수족행위를 하고 나팔수 노릇을 한 친일파가 더욱 악랄했다는 사실은 우리가 익히 알고 있다. 친일파들은 민중의 일거수일투족을 감시하고, 재산을 탈취하고, 항일투사들을 잡아들이고 살해하는 일에 앞장섰다. 또한 학도병, 강제징병, 강제징용, 위안부 모집의 선동대가 되는 온갖 악행을 도맡아 저질렀다. 1948년, 이들을 처벌하기 위해 ‘반민족행위처벌법’이 제정되고 반민특위가 만들어졌다. 반민특위는 구체적인 죄목으로 친일파들에 대한 단죄에 나섰다. 한일합방에 적극

최초의 신소설 <혈의누> 작가 이인직 (1)

2017년 11월 16일 3222

삼가 생각건대, 하늘이 한 번 맑아지고 땅이 한 번 편안해지매 통서(統緖)를 전하는 데에서 보록(寶籙)을 넓어지게 하였고, 별이 다시 빛나고 바다가 다시 넘실대매 성대한 의식을 치르는 데에서 영전(令典)을 송축하게 되었습니다. 이에 대업이 한이 없게 되었고, 척의(尺依)는 점차 자라나게 되었습니다. 공손히 생각건대 천황 폐하께서는, 상제(上帝)께 밝게 받아서 후인들을 열어주셨습니다. 뇌사(雷肆:書筵)에서 글을 읽는 소리가 들림에 용안(龍顔)에는 기쁜 빛이 돌고 진저(震邸)에서 울창주(鬱鬯酒)를 주관하는 칭송이 퍼짐에 따라 인지(麟趾) 역시 어질게 되었습니다. 바야흐로 억만년토록 태평을 누릴 아름다움에 응하였기에, 바야흐로 황태자를 미리 세우는 예를 행하게 되었습니다. 삼가 생각건대 신은, 자질은 공자의 학문을 세우는 데 부끄러우나, 정성은 요(堯)임금이 되기를 축원하는 데 간절합니다. 사해에서 구가(謳歌)의 노래를 부르면서 모두들 우리 임금의 아들이라고 말하고 있고, 만리 밖까지 덕스러운 교화가 퍼짐에 모두들 성인의 백성이 되는 것을 즐겁게 여기고 있습니다. 대정 5년(1916년-필자) 11월 3일에 조선총독부 경학원(經學院) 사성(司成) 신(臣) 이인직(李人稙)은 지어서 올립니다. <경학원잡지>제12호에당시경학원사성이었던이인직이일본태자(뒤에 쇼와천황)를 세우는 예식의 헌송문(立太子禮獻頌文)으로 쓴 글의 일부입니다. 대단하지요. 이인직이 신소설의 개척자지만 그 글의 문학성에 대한 평가는 그리 좋지 못한 것으로 알고 있었는데 읽는 사람으로 하여금 ‘황홀경’(?)에 빠지게 만드는 이 문장은 그가 가장 ‘빛나는’ 글을 쓸 때가 언제인지를 알려줍니다. 그의 지향과 정체성이 가장 노골적으로 드러나는 글을 쓸 때입니다. 숨겨진 행적 최초의 신소설<혈의누(血의淚)>로잘 알려진국초(菊初)이인직(李人稙)은1862년에태어났으며 어려서부터 한학을 공부했습니다. 한산(韓山) 이씨 양경공파(良景公派) 25세손으로 이윤기(李胤耆)와 전주

[소사] 임종국선생기념사업회의 설립과 활동

2017년 11월 16일 1737

지난 9월 25일 교육부는 역사교과서국정화진상조사위원회(위원장 고석규)를 출범시키고 박근혜정권의 국정화 추진과정의 전모를 밝히는 작업에 착수했다. 조사위원회 출범식에 참석한 김상곤 교육부 장관은 고 임종국 선생의 정신을 거론했다. 저는 이 자리에서 여러분들을 보면서 한 인물을 생각합니다. 전 재산을 들여 평생 동안 친일연구를 한 임종국 선생님이 바로 그분입니다. 친일연구 과정에서 본인 아버지의 이름도 친일인물로 기록하였던 분입니다. 사실에 기초한 기준 이외 혈연, 지연 등 다른 것은 보지 않았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며, 저 역시 이와 같은 마음으로 위원회가 세운 기준을 존중하고 일관성 있는 조사를 추진할 수 있도록 최대한의 지원을 아끼지 않겠습니다. 이렇듯 오늘날 임종국 선생이 시대의 귀감으로 인정받기까지는 단연 임종국선생기념사업회의 역할이 컸다. 임종국선생기념사업에 대한 요구는 연구소 출범 당시부터 조금씩 논의되긴 했지만 본격적으로 착수한 계기는 2003년 8월 22일 〈KBS 1TV 인물현대사〉 ‘임종국 편_배반의 역사를 고발하다’(연출 김정중)가 방송된 직후부터다. 방송 이후 선생의 대표 저작인 <친일문학론> 판매가 급증하는 등 반응이 뜨거웠다. 그러나 당시 연구소는 <친일인명사전> 발간 준비에도 힘이 부쳐 기념사업은 언감생심이었다. 기념사업을 위해서는 연구소 재정 외에 외부의 안정적인 재원 마련이 필요하였다. 그러던 차에 당시 연구소 조문기 이사장이 광복군 장이호 선생의 아들이며 연구소 이사를 맡고 있던 장병화 가락전자 대표에게 이 같은 사정을 설명하고 임종국선생기념사업회 회장을 맡아줄 것을 요청했다. 이에 장병화 이사는 조금의 주저함도 없이 그 자리에서 회장직을 수락했다. 이후부터 임종국선생기념사업회

[기증자료] 강만길 지도위원, 소장자료 75점 기증

2017년 11월 16일 1330

강만길 지도위원, 소장자료 75점 기증 10월 16일, 강만길 지도위원(고려대 명예교수)이 북한 방문증명서, 리영희·이우성 선생 등과 주고받은 서신, 2004년 평양 남북학술토론회 관련 자료 등 소장자료 75점을 기증했다. 특히 이번 기증자료에는 강만길 지도위원이 1984년 ‘통일문제에 관한 교과서 분석사업’과 관련해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구속되었을 당시의 사정을 알려주는 보고서, 탄원서, 공동성명 등도 포함되어 있다. 심정섭 지도위원 제59차 자료기증, 도서와 문서류 총 50점 보내와 9월 19일 심정섭 지도위원 겸 친일인명사전편찬위원이 59번째 자료를 기증했다.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각종 보험증서와 통장, 해방 직후 학교 관련 문서 등이 주를 이룬다. 또한 『새농민』(1970),『국민독본』(1964),『지방행정』(1964)등 박정희 정권기에 발행된 도서류도 기증했다. 귀중한 자료를 보내주신 분들께 감사드린다. • 자료실 안미정

근현대사기념관, 청소년 역사캠프 ‘순례길의 독립운동가를 찾아서’ 개최

2017년 11월 16일 1762

근현대사기념관은 10월 20일(금)부터 21(토)까지 1박 2일 청소년 역사캠프 ‘순례길의 독립운동가를 찾아서’를 개최했다. 이번 캠프는 근현대사기념관 상설전시를 역동적인 체험을 통해 새롭게 접근하고, 강북구의 애국선열 묘역에 잠든 독립운동가를 만나며 선열의 생애와 활동을 되새겨 청소년들이 올바른 역사 인식을 갖는데 도움을 주고자 마련했다. 캠프는 금요일 저녁 6시부터 토요일 오후 1시까지 진행되었고, 사전에 홈페이지와 전화로 선착순 모집한 13~16세 청소년 33명이 참석하였다. 저녁 6시, 근현대사기념관에 모인 청소년들은 식사 후 특별히 야간 개장한 기념관에서 첫번째로 독립운동가가 남긴 명언과 제헌헌법의 내용과 관련해 빈 칸에 들어갈 단어를 찾아 문장을 완성하는 퀴즈를 풀고 전시물을 본 후 사발통문에서 사라진 격문을 완성하는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두 번째로 비밀리에 독립운동가, 민중, 일본 순사로 각각의 임무를 수행하는 동시에 코너별로 태극기 타투, 의병 책갈피 만들기, 독립민주기념비에서 기념사진 촬영 등의 체험활동을 포함한 독립운동 런닝맨을 시행했다. 마지막으로 4·19혁명 당시 상황을 재연한 그림자 연극을 함께 만들었다. 이튿날, 청소년들은 순국선열 애국지사 묘역을 답사하며 시대별 태극기를 그려보았다. 또한, 빼앗긴 나라를 되찾고자 전 재산을 처분하고 일가족과 함께 독립운동기지를 건설하고자 중국으로 떠난 이시영 선생의 가족사를 스톱모션으로 표현하고, 독립운동가가 되어 자신만의 어록을 남기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캠프에 참가한 한 청소년은 “새로운 친구들과 친해져서 함께해서 좋았고, 학업 스트레스를 잠깐 내려놓고 놀면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역사에 관한 지식도 얻을 수 있어서 좋았다”고 밝혔다. 주어진 시간이 짧아 더

연속강좌 ‘김미화와 함께하는 스타트업 적폐청산’ 총괄 정리

2017년 11월 16일 1083

연구소는 8월 21일부터 10월 30일까지(매주 월요일, 총 9강) 한겨레신문 청암홀에서 ‘김미화와 함께하는 스타트업 적폐청산’이라는 제목으로 연속강좌를 진행했다. 이번 강좌는 촛불혁명으로 탄생한 문재인 정부가 무엇보다 시급하게 해결해야 할 우리 사회의 고질적인 적폐와 과거청산의 과제를 김미화가 묻고 전문가들이 대답하는 토크쇼 형식으로 기획되었다. 이번 강좌는 연구소가 사무국을 맡고 있는 포럼 진실과 정의를 비롯하여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 모임, 한겨레21, 한겨레TV가 힘을 모아 마련했다. 모두 아홉 차례에 걸쳐 진행된 강좌는 검찰과 국정원, 경찰, 군, 재벌, 교육, 언론, 친일파와 대일과거사, 한국전쟁기 민간인학살과 인권침해를 주제로 한 전문가 대담에 이어 전체 강좌를 총괄하는 종합 대담으로 마무리되었다. 박주민, 표창원, 김종대 의원을 비롯하여 정태인 칼폴라니 사회경제연구소장, 장혜옥 전 전교조 위원장, 최승호 뉴스타파 PD, 김동춘 교수 등 각각의 주제에 대해 우리 시대를 대표하는 전문가들이 강사진으로 나섰으며, 박한용 교육홍보실장도 친일파와 대일과거사를 주제로 한 강좌를 통해 식민지역사박물관 건립의 필요성을 역설하였다. 이번 강좌에는 고등학생을 비롯하여 남녀노소를 아울러 60여 명의 참가자들이 열띤 열기 속에 참여하였다. 모든 강좌의 동영상은 연구소 홈페이지와 한겨레TV 홈페이지를 통해 순차적으로 게재되며 무료로 시청할 수 있다. 김영환 대외협력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