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사랑
임종국 선생을 기리는 기념조형물 건립추진위원회 발족
친일문제 연구의 선구자인 임종국 선생(1929~1989)을 기리는 조형물 건립 추진위원회 발족식이 7월 9일 충남 천안시 충청남도학생교육문화회관에서 열렸다. 조형물 건립은 연구소 천안지회(지회장 전훈진)에서 처음 제안하였으며, 지난 4월부터 천안을 비롯해 인근 직산 홍성 제천등지를 돌며 조형물 건립 서명운동을 벌이는 한편 준비위원 회의를 가져왔다.이날 발족식에는 함세웅 이사장, 임헌영 소장, 장병화 임종국선생기념사업회장, 윤경로 친일인명사전편찬위원장, 김지철 충남교육감, 임종국 선생의 누이동생 임경화 여사, 김순흥, 이순옥, 허남해, 김재광, 최종진 지부장을 비롯해 천안지역 주요 시민사회단체 대표와 관계자 등 약200여 명이 참석했다. 건립추진위원회 위원장에는 이용길 전 천안민주단체협의회 의장이 선임됐다. 추진위는 임종국 선생의 조형물 건립비용을 시민 모금 형식으로 충당하기로 하고, 독립기념관 천안삼거리공원신부공원 등을 조형물 설치 후보지로 선정해 관련 단체와 교섭 중이다.조형물은 임종국 선생의 27주기 기일인 11월 12일 제막 예정이며 성금을 낸 분들의 이름은 조형물 뒷면에 새겨질 예정이다. 조형물 제작은 ‘평화의 소녀상’을 제작한 김서경 김운성 작가가맡았다.• 모금계좌 : 우리은행 1005-802-225500(예금주 : 사단법인 민족문제연구소)• 관련 사이트 : www.facebook.com/yim1112• 모금액 : 17,547,812원(총 304명, 8월 10일 14:30 현재) 임종국선생 조형물건립에 함께 해주신 분들(가나다 순)가명현 강동화 강봉화 강세희 강영근 강은선 강종권 강주호 고영현 공희덕 구미성 구본경 구자명 구한울 권성주 권수현 권영완 권위상 김경식 김관석 김다함 김단희 김도연 김동식 김동원 김동주 김동호 김묘진 김문기 김미형 김병준김새봄 김선명 김선정 김성곤 김성택 김세현 김송희 김순주 김승은 김시연 김영옥 김영태
‘광복’과 함께 ‘국치’를 기억하자 – 병합기념 조선사진첩
‘광복’과 함께 ‘국치’를 기억하자 – 병합기념 조선사진첩 1910년 8월 22일 일본군의 삼엄한 경비가 펼쳐진 가운데 내각총리대신 이완용과 통감 데라우치 마사타케는 ‘한국병합에 관한 조약’을 비밀리에 조인했다. 병합조약은 일주일이 지난 8월 29일 순종의 칙유를 통해 내외에 공포되었고, 이로써 대한제국은 국권을 완전히 상실하고 일본의 식민지로 전락하게 되었다. 이번에 소개할 자료는 1910년 12월 4일 신반도사에서 발행한 『병합기념 조선사진첩』이다. 사진첩을 발간한 신반도사는 서언에서 “조선의 병합은 동양평화의 기초를 공고히 하고 반도의 행복을 증진하는 것으로 특히 원만하고 평화롭게 이 대사 병합의 해결을 본 것은 진실로 주목할 만한 일로… (병합의) 성사를 영구히 기념”하기 위해 간행한다고 밝혀 ‘조선병합’을 ‘경축’하는 의미로 제작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런 취지로 발행된 ‘병합기념 조선사진첩’은 총 100쪽에 걸쳐 다양한 사진 자료를 담고 있는데, 강제병합의 주역들인 일본과 조선의 인물 사진 170여 장, 특별한 행사의 인물단체 사진 20여 장, 경성의 모습 44장, 지방의 명소와 고적 사진 86장, 조선의 풍속 사진 42장 등 약 400장의 사진을 싣고 있다. ‘조선’ 사진첩임에도 불구하고 첫머리에 실린 사진은 메이지(明治) ‘천황’ 부부의 초상과 그 후 계자인 요시히토 ‘황태자’ 일가족이다. 황실에서 왕가로 전락한 조선왕실 일가는 다음 순서로 밀려났다. 또한, 조선총독부 최초 관보와 대한제국 최종 관보, 순종의 칙유와 데라우치 통감의 유고를 함께 실어 조선의 병합은 ‘원만하고 평화롭게’ 진행되었다는 사실을 강조하고 있다. 사진첩에는 수많은 인물
망국의 굴욕, ‘천황’에 바친 헌상품 – 성환참외와 충주담배에서 호피(虎皮)와 비원자기(秘苑磁器)까지
[식민지 비망록 4] 이순우 책임연구원 <1> 1일 오전 10시부터 이왕 동비(李王 同妃) 양 전하는 대조전(大造殿)에서 왕족 및 어친척(御親戚) 등, 그 다음으로 선정전(宣政殿)에서 조선귀족 및 이왕직고등관 등의 축하를 받으시고 10시 30분부터 총독관저를 방문하여 야마가타 정무총감(山縣 政務總監)에 축하인사를 교환하며 천황, 황후, 황태후 3폐하 및 황태자전하께 축사(祝詞)의 집주방(執奏方)을 청하시고 다시 오후 1시로부터 덕수궁에 문안하시고 동(同) 2시에 환궁하실 예정이라더라. <2> 창덕궁 이왕 전하께서 매년 1월 1일에는 총독관저를 방문하옵시고 천폐(天陛, 천황폐하)에 신년어례(新年御禮)의 전주(傳奏)를 총독에게 친히 의뢰하셨으나 금년에는 하세가와 총독(長谷川總督)이 영제(令弟)의 복중(服中)에 있으므로 총독관저 어방문은 권정(權停, 임시로 정지)하옵신다더라. ‘요지연도’ 병풍과 비원자기가 포함된 일본천황에 대한 헌상품 내역 (『매일신보』 1918년 1월 30일자) 이것은 <매일신보> 1914년 1월 1일자 및 1918년 1월 1일자 신년호에 각각 수록된 기사 한 토막이다. 이에 의하면 경술국치 이후 창덕궁 이왕(昌德宮 李王)으로 신분이 격하된 것도 모자라, 새로 상전(上典)이 된 일본 ‘천황’에게 아뢰는 새해인사를 전보(電報)로 올려줄 것을 부탁하기 위해 해마다 새해 첫날부터 몸소 총독관저에 행차를 해야 했던 ‘전직 황제’ 순종의 서글픈 처지가 그대로 투사되어 있다. 그런데 나라를 잃은 옛 통치자가 감내해야 했던 굴종과 수모의 실상은 때마다 철마다 일본 ‘천황’과 황실에 바친 헌상품(獻上品) 행렬에서도 잘 드러난다. 그야말로 별의별 품목들이 ‘성의 표시’ 차원에서 바다. 건너 일본으로 건네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우선 1917년 6월 당시 이른바 ‘일한병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