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huge collection of 3400+ free website templates, WP themes and more http://jartheme.com/ at the biggest community-driven free web design site.

주요기사

[역발상 시즌3] 동아시아 유행가 시대 1914~1945 3부 “일본과 중국 대중음악의 성장기 : 고가 마사오 그리고 런광과 네얼”

2024년 7월 16일 909

☞ (07.16) ‘역발상’ 시즌 3: 동아시아 유행가 시대 1914~1945 3부 “일본과 중국 대중음악의 성장기 : 고가 마사오 그리고 런광과 네얼” 오늘의 이야기 : 일본과 중국 대중음악의 성장기 : 고가 마사오 그리고 런광과 네얼 초대손님 : 신현준(성공회대 교수) 이준희(옛가요 전문가) 고가 마사오(古賀政男. 1904~1978)와 런광(任光. 1900~1941)/녜얼(聶耳. 1912~1935) <酒は淚か溜息か>(후지야마 이치로(藤山一郞). 1931년 음반): 앞서 발표한 <影を慕いて>와 함께 작곡가 고가 마사오의 입지를 다진 히트작. 노래를 소재로 영화까지 만들어져 같은 해 12월에 개봉됐고, 조선과 대만에서도 번안곡으로 유행. 형식적인 면에서 엔카의 전범과도 같은 작품. 후지야마 이치로는 음악학교에서 성악을 전공 <ああそれなのに>(미치 얏코(美ち奴). 1936년 음반): 조선에서 성장하고 음악학교 경력이 없다는 점에서 일본 대중음악 작곡계에 매우 예외적인 존재였던 고가 마사오. 그의 다양하면서도 독특한 스타일, 이른바 ‘고가 멜로디’의 일면을 확인할 수 있는 작품. 미치 얏코는 게이샤 출신 가수. 가사 중 의미 없이 어감을 위해 사용된 ‘네’가 ‘에로’ 분위기를 연출한다는 비판을 받기도. 검열의 집중 대상이 된 에로 유행가들 중 몇몇은 금지곡이 되기도 <東京ラプソディ>(후지야마 이치로. 1936년 음반) 역시 고가 마사오의 다양한 스타일을 확인할 수 있는 예. 고가-후지야마 콤비의 인기 절정과 전전 ‘모던 도쿄’의 번영을 보여 주는 작품. 이 곡 역시 영화로 만들어져 같은 해 12월에 개봉했고, 가수 후지야마 이치로는 주연으로 출연 <新妻鏡>(기리시마 노보루(霧島昇)·후타바 아키코(二葉あき子). 1940년 음반) 조선에서 성장한 배경 때문인지는 알 수 없지만, 3박자가

[오마이뉴스] 하와이 교민들은 왜 한국 야구대표팀 투수를 무릎 꿇렸나

2024년 7월 15일 241

[김종성의 히,스토리] 친일파의 재산 – 박석윤 미국 프로야구선발팀과 대결한 친일 투수가 있었다. 조선대표팀과 미 프로선발팀의 시합이 열린 1922년 12월 8일 발행된 <조선일보>는 “북미합중국직업야구단”의 방한을 보도하는 2면 좌하단 기사에서 “작일 하오 7시 50분 남대문착(着) 열차로 입경하야 금일에 전조선군(全朝鮮軍)과 전투를 개시할 예정”이라고 한 뒤 “중앙체육단의 박석윤”을 거명했다. 조선 제일의 투수 마이너리그 트리플A 선수들이 주축인 미국 선발팀에는 메이저리그 선수도 3명 있었다. 만만치 않은 이 팀과 “전투를 개시할” 전조선군 투수는 24세의 친일파 박석윤이었다. 나중에 나이가 더 들어서 친일파가 된 게 아니라 이때 이미 친일파였던 인물이다. 근대 문헌들과 관련된 학술지인 <근대서지>의 2016년 제14호에 실린 홍윤표 OSEN 선임기자의 기고문 ‘납·월북 체육인들에 대하여’는 1922년판 한·미 올스타전의 결과를 이렇게 설명한다. “당시 조선대표팀은 미국선발팀과의 대결에서 3-23으로 완패했다. 비록 처참하게 지기는 했지만 그 경기에서 조선팀의 실책이 10개나 됐던 점을 감안한다면, 완투했던 박석윤이 나름대로 선전했다는 평가가 가능하다.” 박석윤은 조선 제일의 투수였다. 생업은 영어교사일 때도 있고 기자일 때도 있고 외교관일 때도 있었다. <친일인명사전> 제2권 박석윤 편은 “1923년 4월 휘문고등보통학교에 취직해 영어교사 겸 야구부 코치로 근무했다”라며 “1924년 3월부터 6월까지 <시대일보> 정치부 기자를 지냈다”고 설명한다. 외교관 활동은 이 이후에 나타난다. 박석윤은 선수뿐 아니라 지도자로도 명성을 날렸다. 휘문고보 코치가 된 1923년에 그의 팀은 고시엔(갑자원)대회 조선 예선전에서 전원 일본인들로 구성된 팀들을 제치고 우승했다. 그런 뒤 일본에서

[시민언론 민들레] 심원정에는 심원정이 없었다

2024년 7월 11일 648

[기사원문] <2024-07-10> 시민언론 민들레☞ 심원정에는 심원정이 없었다 강점기 소유자 이노우에 사진첩에서 확인 현재 복원된 심원정 본래 이름은 망악정 1919년 이웃한 매국노 이지용 별장도 구입 용산문화원 자리에 있었던 심원정의 전모를 알 수 있는 사진첩이 공개됐다. 시민언론 민들레가 서울역사박물관에 요청해 입수한 ‘宜文前期事業紀念寫眞 附 人事紀念寫眞’에 실린 사진을 꼼꼼히 들여다 본 결과 심원정은 단순한 정자가 아니라 본채와 부속건물로 구성된 대저택을 지칭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와 함께 ‘심원정’으로 복원된 육각정의 실제 명칭은 ‘망악정’인 것으로 드러나 수정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宜文前期事業紀念寫眞 附 人事紀念寫眞’은 강점기 한국에서 활동한 일본인 기업가 이노우에 요시후미(井上宜文, 1868~?)가 자신의 업적을 사진과 캡션으로 구성한 사진첩으로 이 가운데 ‘심원정 시대’로 분류된 22개 쪽에 심원정 관련 81장의 사진이 실려있다. 이노우에는 1902년 심원정을 구입하여 1945년 일본으로 철수하기까지 별장 또는 거주지로 삼아 애용하였다. 사진첩 속 사진은 1902~1932년에 걸쳐 촬영한 흑백사진들로, 심원정의 전모와 인테리어는 물론, 이웃 이지용의 양관별장과 함께 한강 홍수실태를 엿볼 수 있다. ·········<중략>········· ·········<중략>········· 이노우에는 육각정과 가까운 곳의 양관건물 전경과 그 앞에서 찍은 기념사진에 1919년 이왕가 별저를 구입하고 양관 뒤편에 있던 신사를 느티나무 아래로 옮겨왔다고 기술하고 있다. 이로 미루어 128번지에 소재한 왕족 이지용의 땅과 건물 일체를 구입한 것이 틀림없다. 민족문제연구소 이순우 책임연구원 조사에 따르면 경성부관내지적목록(1917)에 이지용 소유로 표기돼 있던 원정 4정목 128번지, 86번지, 산수정 77번지가 1927년 지적목록에 모두

[박물관은 뭐하니] 한림대 학생들의 방문에 펭PD가 감동했어요ㅠㅠ

2024년 7월 10일 1043

안녕하세요 펭PD입니다. 지난 6월 27일,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학생들이 축제 때 크로플과 에이드를 판매한 수익금을 식민지역사박물관에 후원해주었습니다. 식민지역사박물관에서는 후원금 전달식과 함께 태평양전쟁피해자보상추진협의회 이희자 대표님의 강의를 진행하였는데요. 역사정의실천을 위해 행동하는 한림대 학생들 너무 멋있지 않나요? 펭PD는 행동하는 여러분을 앞으로도 응원하겠습니다.

[오마이뉴스] 동상은 철거됐지만 그의 흔적은 철거되지 않았다

2024년 7월 10일 162

[김종성의 히,스토리] 친일파의 재산 – 정춘수 대북전단이 아닌 대일전단이 1919년 3월 1일 새벽부터 살포됐다. 3·1운동은 기습적인 시위가 아니라 예고된 시위의 형태로 시작됐다. 원호처(국가보훈부) 소속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가 펴낸 <삼일운동사>는 “이날 새벽 이미 독립선언식을 예고하는 비라가 집집마다 뿌려졌고, 시내 주요한 곳에는 벽보가 나붙었으며 국민을 격려하는 조선독립신문 창간호가 독립선언서와 함께 배달되었다”고 기술한다. 이날 오후 2시 무렵, 서울 파고다공원에서는 학생들 중심으로 독립선언식이 거행됐다. 2시 정각에는 서울 인사동 태화관(명월관 지점)에서 민족대표들이 독립선언식을 거행했다. “불교 측 민족대표의 한 분인 한용운이 일어나 한국 및 한국인이 독립국임과 자주민임을 선언하고 그의 선창으로 일동이 대한독립만세를 일제히 불렀다”고 위 책은 묘사한다. 선언식을 마친 민족대표들은 태화관 사장 안순환을 통해 조선총독부 경무총감부에 자수했다. 전화를 받고 일본 헌병과 경찰 80여 명이 출동했고, 민족대표들은 오후 4시경 자동차에 실려 남산으로 끌려갔다. 남산 중턱 왜성대(서울애니메이션센터 일대)의 경무총감부가 이들을 맞이했다. 이날 일제 헌병과 경찰은 민족대표 33인 전원을 다 체포하지 못했다. 거리가 멀어 참석하지 못한 4명이 있었다. 기독교 측 민족대표인 길선주·김병조·유여대와 더불어 훗날 국회 반민특위에 끌려갈 정춘수가 그 넷이다. 강원도 원산에서 감리교 목사로 활동하던 46세의 정춘수는 독립선언식에 지각한 데 이어 자수도 지각으로 했다. <친일인명사전> 제3권 정춘수 편의 설명이다. “그날 열차편으로 서울에 올라왔으나 이미 선언식은 끝나고 시위가 시작된 후였다. 선언서 서명자들이 모두 체포되자 서울에 머물면서 상황을 살피다가 3월 7일 종로경찰서에 자수해

[오마이뉴스] 최연장자 친일파의 수상한 행각… 이순신 있었다면 어땠을까

2024년 7월 2일 314

[김종성의 히,스토리] 친일파의 재산 – 정낙용 <친일인명사전>에 수록된 4389명 중의 최연장자는 1827년 생으로 알려진 정낙용(鄭洛鎔)이다. 정조의 아들인 순조 때 한성부에서 출생하고, 무과시험 장원급제를 거쳐 전라도좌수사와 삼도수군통제사를 역임한 인물이다. 충무공 이순신을 연상시키는 이런 관직을 거친 뒤에는 형조판서와 공조판서를 거쳐 고종황제를 보좌하는 궁내부 특진관과 시종원경 등을 지냈다. <친일인명사전>에 실린 친일파 중에서 최연장자라는 점을 빼면, 정낙용은 외형상 특이점이 별로 없어 보인다. 구체적으로 어떤 친일행위를 했는지가 이 사전에 나타나지 않는다. 국권침탈 2개월 뒤인 1910년 10월에 남작 작위를 받고, 1911년에 한국 멸망 포상금으로 은사공채 2만 5천 원을 받고, 1912년에 한국병합기념장을 받은 사실 정도만 언급돼 있다. 대통령 소속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의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보고서> 제4-16권 정낙용 편도 마찬가지다. 그가 무엇 때문에 일본 작위를 받았는지가 설명돼 있지 않다. 남작 작위와 은사공채와 병합기념장을 받은 사실을 근거로 친일반민족행위자로 결정한다는 내용만 적혀 있다. 정낙용이 조선 백성들에게 한 짓 한국 병합 3년 전에 발행된 1907년 3월 15일 자 <황성신문> 기사 ‘국채보상금 모집 취지서’는 대일 차관을 갚고 주권을 회복하기 위한 이 캠페인에 참여한 인물 중 하나로 정낙용을 거명한다. <친일인명사전> 제3권 정낙용 편은 이 기사에 나온 정낙용이 친일파 정낙용임을 확인한다. 정낙용의 구체적인 친일행위는 드러나지 않은 반면, 그의 구체적인 애국행위는 이처럼 명확히 드러나 있는 것이다. 하지만 그런 그에게 일제는 남작 작위를 주고 거액의 친일재산을 안겼다. 국권침탈 직후에 귀족

[연합뉴스] 24개 시민단체 임진각 모여 ‘대북전단 살포 즉각 중단하라’

2024년 6월 26일 960

(파주=연합뉴스) 임병식 기자 = 민족문제연구소와 민주노총 등 24개 시민단체와 접경지역 주민들이 26일 경기 파주시 임진각에서 대북전단 살포 중단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시민단체 등 대표 25명은 이날 오전 11시 임진각 망배단 앞에서 ‘한반도 평화를 염원하는 범시민’이라는 이름 아래 기자회견을 열고 “풍선을 이용한 대북전단 살포는 남북 간 불필요한 긴장을 조장하고 전쟁 위기를 가속화하는 일에 다름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이어 “특히 경기도 접경지역 주민들은 새벽마다 대형 풍선으로 수면 장애를 겪고 불안감에 시달리며 일상생활에서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경기도는 대북전단 살포 행위를 철저히 단속하고 수사당국은 항공안전법 위반 행위를 신속히 수사해 국민 안전에 만전을 기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들은 대북전단 살포를 규탄하고 중단을 촉구하는 구호를 외친 뒤 기자회견을 마쳤다. 북한은 탈북민단체의 대북전단 살포에 반발해 지난달 28일부터 여섯 차례 오물 풍선을 남쪽으로 살포했다. 이에 우리 군은 판문점 선언에 따라 철거했던 대북 방송 확성기를 지난 9일 비무장지대(DMZ)와 접경지 일대에 다시 설치하고 맞대응에 나서면서 한반도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임병식 기자 andphotodo@yna.co.kr <2024-06-26> 연합뉴스 ☞기사원문: 24개 시민단체 임진각 모여 ‘대북전단 살포 즉각 중단하라’

[역발상 시즌3] 청일전쟁 130년,러일전쟁 120년 특별 시리즈 4부 “조선은 어떤 과정으로 식민지가 되었나?”

2024년 6월 25일 281

☞ (06.25) ‘역발상’ 시즌 3: 청일전쟁 130년,러일전쟁 120년 특별 시리즈 4부 “조선은 어떤 과정으로 식민지가 되었나?” 오늘의 이야기 : 청일전쟁 후 10년 동안 무슨 일들이 있었나? 초대손님 : 서민교 교수 Q.러일 전쟁 이후 대한제국은 사실상 강점되었는데요?. 일본의 침략은 어떻게 되나요? -1900년 이후 일본은 한국 보호국화를 국제법상 합법으로 만들기 위해 한국을 둘러싼 열강과 한반도 문제를 치밀하게 조율했다. 대표적인 협정으로는 1902년 영국과 일본 사이의 제1차 영일동맹(英日同盟), 1905년 미국과 일본이 한국 문제를 협의한 가쓰라-태프트 밀약, 제2차 영일동맹, 러시아와 일본이 러일전쟁 후처리 문제를 협상했던 포츠머스 조약 Q.을사보호조약의 체결은 어떻게 이뤄졌나요?그 내용은? -외교권 박탈 -일본의 보호국화 Q.정미7조약 -행정권과 인사권 박탈 >대한제국 정부 기능을 마비 -군대 해산 Q.조선 민중은 어떤 저항을 했나요? 의병운동 등 -일본의 의병섬멸 작전_남한대토벌 등 -13도창의대진소의 결성과 서울진공작전 Q.1910년 강제병합 Q.일본 정부는 지금까지도 불법이 아닌 조약을 통한 합법을 주장하고 이젠 한국의 뉴라이트까지도 이런 주장을 펼치고 있습니다. 이 문제를 짚어주시죠? ※지난 방송 – 팟캐스트 역발상 시즌3 ☞ (06.18) ‘역발상’ 시즌 3: 청일전쟁 130년,러일전쟁 120년 특별 시리즈 3부 “러일전쟁의 결과들” ☞ (06.11) ‘역발상’ 시즌 3: 청일전쟁 130년,러일전쟁 120년 특별 시리즈 2부 “청일전쟁 후 10년 동안 무슨 일들이 있었나?” ☞ (06.04) ‘역발상’ 시즌 3: 청일전쟁 130년,러일전쟁 120년 특별 시리즈 1부 “청일전쟁은 왜 일어났을까?” ☞ (05.28) ‘역발상’ 시즌 3: 영화 주제가로 보는

[한겨레] 인하대에 ‘이승만 조형물’ 또 논란…왜 자꾸 시도?

2024년 6월 25일 351

동상 철거에 재건 시도 무산됐는데 총동창회 “대학 설립 주도 역할” 주장 교내 반대 여론에 일단 기공식 취소 이승만 전 대통령을 기리는 조형물의 교내 설치를 두고 인하대에서 논란이 일며 기공식이 취소됐다. 22일 인하대 총동창회에 따르면 동창회는 인하대 캠퍼스 내에 조성 중인 ‘하와이-인하공원’에 개교 70주년 및 총동창회 창립 65주년을 맞아 학교 설립에 기여한 이 전 대통령의 사진이 포함된 조형물 설치를 추진하고 있다. 가로 18m, 세로 3~6m 크기의 ㄴ자 형태 조형물에는 이 전 대통령이 인하대 전신인 인하공과대학의 이원철 초대 학장에게 교기를 전달하는 사진이 지름 3m 크기로 담길 예정이다. 이 전 대통령은 6.25 한국전쟁 중이던 1952년 12월 피난 중이던 부산에서 김법린 당시 문교부 장관에게 인천에 공과대학 설립을 지시했다. 이후 기부금과 정부 보조금을 지원하는 등 이 대학 건립에 주도적 역할을 했다. 총동창회는 이 전 대통령뿐 아니라 인하대에 개교 자금을 보태준 미국 하와이 교민들 사진도 각각 가로·세로 1.5m 크기 조형물에 담는다는 계획이다. 하와이 교민들은 하와이 사탕수수밭에서 노동하며 모은 돈을 학교 설립에 보탰고, 학교 측은 이에 감사하는 마음을 담아 학교 이름을 인천과 하와이 앞 글자를 따서 지었다. 그러나 이 같은 조형물 설립 추진 계획이 알려지자 교내에서 반대 여론이 일었다. 서준석 인하대 총학생회 동문회 회장은 “특정인을 부각해 우상화하기보다는 국가와 민족을 사랑했던 하와이 이민자들의 동포애를 부각해야 한다”며 이 전

[쇼츠] 영화 ‘서울의 봄’ 현장을 가다 – 장태완 편

2024년 6월 24일 721

[영화 ‘서울의 봄’ 현장을 가다] – 장태완 편 전두환 세력들은 쿠데타를 준비하며 나름 사람을 분류하기 시작했습니다.그 과정에서 이건영, 정병주, 정승화는 사전 제거 핵심으로 분류하고, 장태완은 때에 따라 자기들이 구슬릴 수 있을 것으로 생각했습니다.그런데 쿠데타 당일 최규하 전 대통령이 사인을 바로 하지 않으면서 전두환 세력들의 계획과는 다르게 흘러가게 되었습니다. 12.12 쿠데타 이후 장태완 장군은 신군부와 타협하게 됩니다.신군부 측에서 제안한 한국 증권 전산 사장 자리를 승낙한 것입니다.그렇다면 왜 반란군 세력이 내민 손을 잡은 것일까요?그 이유는 가족이었습니다.1982년 대학생이던 아들이 한 달간 실종되었다가 할아버지의 산소 근처 낙동강 변에서 숨진 채 발견되었기 때문입니다.남은 가족의 목숨마저 위험해지지 않을까 생각한 장태완 장군은 가족회의를 통해 자리를 승낙하게 됩니다. 제안을 거절한 다른 이들과 비교되는 선택이지만, 장태완 장군은 신군부 세력을 용서하지 않았습니다. 1993년 전두환과 노태우 등 34명을 반란 및 내란죄 혐의로 고소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