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huge collection of 3400+ free website templates, WP themes and more http://jartheme.com/ at the biggest community-driven free web design site.

화보

[화보] ‘독립민주기념비’ 제막식 (8.15)

2016년 8월 17일 2094

▲제71주년 광복절인 15일 정오 서울 강북구에 위치한 근현대사기념관에서 ‘독립민주기념비’ 제막식이 열렸다 ▲제71주년 광복절인 15일 정오 서울 강북구에 위치한 근현대사기념관에서 ‘독립민주기념비’ 제막식이 열렸다 ▲ ‘독립민주기념비’ 제막식 – 개식 (사회: 방학진 민족문제연구소 사무국장) ▲’독립민주기념비’ 제막식 – 국민의례 ▲’독립민주기념비’ 제막식 – 국민의례 ▲’독립민주기념비’ 제막식 – 여는말씀(함세웅 민족문제연구소 이사장) ▲’독립민주기념비’ 제막식 – 축하말씀(박겸수 강북구청장) ▲’독립민주기념비’ 제막식 – 축하말씀(박문수 강북구의회의장) ▲’독립민주기념비’ 제막식 – 축하말씀(천준호 더불어민주장 강북갑 지역위원장) ▲’독립민주기념비’ 제막식 – 축하말씀(김성훈 강북마을대표) ▲’독립민주기념비’ 제막식 – 축하공연(청년공동체 메이커스) ▲ 15일 강북구 수유동 근현대사기념관 앞마당에서 독립민주기념비 제막식을 갖고 있다. ▲ 박겸수 강북구청장이 기념비 설치배경 등을 설명하고 있다. ▲ 임헌영 민족문제연구소장이 기념비 의의와 앞으로 바램을 이야기 하고 있다 ▲ 네티즌 모금운동을 촉발시킨 ‘역사정의를생각하는네티즌들’ 유정호 대표 ▲ 독립민주기념비를 제작한 부부조각가 김운성, 김서경 씨 ▲’독립민주기념비’ 제막식 – 김운성, 김서경 작가의 작품 설명 ▲서울 강북구 근현대사기념관에 들어선 ‘독립민주기념비’ 모습 ▲서울 강북구 근현대사기념관에 들어선 ‘독립민주기념비’ 모습 ▲서울 강북구 근현대사기념관에 들어선 ‘독립민주기념비’ 모습 ▲서울 강북구 근현대사기념관에 들어선 ‘독립민주기념비’ 모습 ▲ 서울 강북구 근현대사기념관에 들어선 ‘독립민주기념비’ 모습 ▲서울 강북구 근현대사기념관에 들어선 ‘독립민주기념비’ 모습 ▲서울 강북구 근현대사기념관에 들어선 ‘독립민주기념비’ 모습 ▲ 제71주년 광복절인 15일 서울 강북구 수유동 근현대사기념관 앞마당에서 박겸수 강북구청장과 함세웅 민족문제연구소 이사장 등이 독립민주기념비 제막식을 갖고 만세삼창을 하고 있다

[화보] 부민관 폭파의거 71주년 기념행사 및 답사 (07.23)

2016년 7월 26일 1587

▲ 23일 서울시의회(옛 부민관)에서 부민관 폭파 의거 71주년 기념행사가 열렸다. ⓒ 민족문제연구소 ▲ 23일 서울시의회(옛 부민관)에서 부민관 폭파 의거 71주년 기념행사가 열린 가운데 민족문제연구소 함세웅 이사장이 기념사를 하고 있다. ⓒ천지일보(뉴스천지) ▲ 23일 서울시의회(옛 부민관)에서 부민관 폭파 의거 71주년 기념행사가 열렸다. 참석자들이 독립지사들의 정신을 기리며 자리를 지키고 있다. ⓒ천지일보(뉴스천지) ▲ 23일 서울시의회(옛 부민관)에서 부민관 폭파 의거 71주년 기념행사가 열린 가운데, 조문기·유만수·강윤국 지사를 기리며 당시 상황을 재연한 영상을 상영하고 있다. ⓒ천지일보(뉴스천지) ▲ 23일 서울시의회(옛 부민관)에서 부민관 폭파 의거 71주년 기념행사가 열렸다. ⓒ민족문제연구소 ▲ 23일 서울시의회(옛 부민관)에서 부민관 폭파 의거 71주년 기념행사가 열렸다. ⓒ천지일보(뉴스천지) ▲ 부민관 폭파 의거 71주년 기념답사 ⓒ 민족문제연구소 ▲ 부민관 폭파 의거 71주년 기념답사 ⓒ 민족문제연구소 ▲ 부민관 폭파 의거 71주년 기념답사 ⓒ 민족문제연구소 ▲ 부민관 폭파 의거 71주년 기념답사 ⓒ 민족문제연구소 ▲ 부민관 폭파 의거 71주년 기념답사 ⓒ 민족문제연구소 ▲ 부민관 폭파 의거 71주년 기념답사 ⓒ 민족문제연구소 ▲ 부민관 폭파 의거 71주년 기념답사 ⓒ 민족문제연구소 ▲ 부민관 폭파 의거 71주년 기념답사 ⓒ 민족문제연구소

[화보] 민족문제연구소 2016 회원수련회

2016년 6월 20일 1760

2016년 6월 18일 ~ 19일, 1박 2일 일정으로 의병의 고장 충북 제천에서 ‘민족문제연구소 2016 회원수련회’가 열렸습니다. 숭고한 의병 정신을 통해 역사와 정의의 가치를 다시 한 번 되새기는 자리였으며 전국에서 오신 회원들과 교우하는 자리였습니다. (촬영 : 경기북부 장이근 회원)  

[화보] 개성공단 입주기업인과 함께하는 DMZ 평화기행(6.11)

2016년 6월 17일 1481

▲ 남북합작 성당인 참회와속죄의성당을 설명하는 성당 사무장님   ▲ 남북합작성당인 참회와속죄의성당을 설명하는 성당 사무장님   ▲ 참회와속죄의성당 입구   ▲ 성당앞 단체사진   ▲ 장준하공원에서 설명하는 방학진 사무국장   ▲ 장준하선생 묘소 앞에서   ▲ 장준하선생 묘소 앞에서   ▲ 장준하공원 앞에서 포즈를 취하는 부천지역아동센터 학생들   ▲ 임진각에 전시된 6.25당시 파괴된 기관차   ▲ 통일을 염원하는 수많은 리본들   ▲ 통일촌식당 식단   ▲ 통일촌식당에서 식사하는 참가자들   ▲ 통일촌식당에서 식사하는 참가자들   ▲ 도라산전망대에서 바라본 DMZ   ▲ 도라산전망대에서 멀리 개성공단을 바로보는 참가자들   ▲ 도라산전망대 앞에선 이종문 회원   ▲ 매일 개성공단을 오가던 버스. 지금은 운행을 못하고 서있다.   ▲ 도라산역 앞에서 단체사진   ▲ 도라산역 앞에서 단체사진   ▲ 개성공단기업협회 김서진 상무   ▲ 개성공단기업협회 김서진 상무와 이동호 부천지부 부지부장(오른쪽)   ▲ 질문하는 오형민 초대 부천지부장

[화보] 네티즌 모금, 독립·민주·통일 상징조형물 건립 협약식(3.2)

2016년 3월 3일 1377

상징조형물 건립에 대한 소감을 이야기하는 서울 강북구 박겸수 구청장 상징조형물 건립에 대한 소감을 이야기하는 민족문제연구소 함세웅 이사장 상징조형물 건립에 대한 소감을 이야기하는 ‘역사정의를 생각하는 네티즌들’ 김윤민 대표 상징물 구상에 대한 설명을 하는 김운성 작가 협약서에 서명을 하는 단체 대표들  ‘역사정의를 생각하는 네티즌들’이 모금한 기금 전달 협약식과 기금 전달식 기념 촬영

[화보] 민족문제연구소 운영위원장단, 나눔의집 방문(9.6)

2015년 9월 8일 1599

▶ 왼쪽부터 문선 부위원장, 이옥선 할머니, 여인철 위원장, 박옥선 할머니, 정한봄 부위원장, 유희남 할머니, 안김정애 부위원장, 강일출 할머니, 이덕수, 송진복 부위원장. ▶ 나눔의 집 김정숙 사무국장(가운데)과 함께 ▶ 고 김순덕 할머니가 그리신 ‘못다핀 꽃’이라는 작품의 소녀를 표현한 동상 ▶ 나눔의집 앞에 있는 ‘못다핀 꽃’ 동상 비문  ▶ 나눔의집에 계시다 돌아가신 할머니들의 흉상

[화보] 석주 이상룡 선생 국무령 취임 90주년 기념 안동지역 답사(9.5)

2015년 9월 7일 1564

▶ 경북 영주 대한광복단 기념공원의 기념비 ▶ 대한광복단 기념관에서 기념사업회 김병수 회장의 환영사 ▶ 대한광복단 기념관에서 기념사업회 김병수 회장의 환영사 ▶ 대한광복단 기념관에서 기념사업회 박동규 사무국장의 전시자료 설명 ▶ 대한광복단 기념관에서 기념사업회 박동규 사무국장의 전시자료 설명 ▶ 대한광복단 기념관에서 기념사업회 박동규 사무국장의 전시자료 설명 ▶대한광복단 기념공원의 추모탑 ▶ 대한광복단 기념공원의 추모탑 앞에 설명을 듣고 있는 답사단 ▶ 대한광복단 기념공원의 추모탑 참배 ▶ 대한광복단 기념공원 추모탑 앞에서 ▶ 경북 안동 경상북도독립운동기념관 ▶ 경상북도독립운동기념관의 전시 자료를 설명을 듣고 있는 답사단 ▶ 경상북도독립운동기념관의 전시 자료를 설명을 듣고 있는 답사단 ▶ 경상북도독립운동기념관에서 민족문제연구소 이준식 연구위원의 강의를 듣고 있는 답사단 ▶ 임시정부와 초대 국무령 이상룡선생에 대한 강의를 하시는 민족문제연구소 이준식 연구위원 ▶ 광복군 장이호 선생님의 아들 장병화 선생(좌)과 임시정부 국무위원 차리석 선생님의 아들 차영조 선생(우) ▶ 경상북도독립운동기념관 앞에서 ▶ 내앞마을 의성김씨 종택에서 설명을 듣고 있는 답사단  ▶ 김대락 선생님 종손이 거주하시는 백하구려에서 ▶ 이육사 생가터에 있는 시비 ▶ 국립현충원 임시정부요원묘역에 있는 초대국무령 석주 이상룡 선생님 묘소 ▶ 국립현충원 임시정부요인묘역에 있는 초대국무령 석주 이상룡 선생님 묘소 참배 ▶ 국립현충원 임시정부요인묘역에 있는 초대국무령 석주 이상룡 선생님 묘소 앞에서 ▶ 국립현충원 임시정부요인묘역에 있는 광복군총사령 백산 지청천 장군님 묘소 참배 ▶ 국립현충원 임시정부요인묘역에 있는 광복군총사령 백산 지청천 장군님 묘소 앞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