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huge collection of 3400+ free website templates, WP themes and more http://jartheme.com/ at the biggest community-driven free web design site.

소장자료 톺아보기

남산 기슭 군경유자녀원의 앞뜰에 남겨진 러시아제 대포의 정체

2021년 1월 25일 2360

[소장자료 톺아보기•23] 남산 기슭 군경유자녀원의 앞뜰에 남겨진 러시아제 대포의 정체 어느 특정한 주제에 관심이 꽂혀 이에 관한 흔적이나 단서를 찾기 위해 해묵은 신문자료를 맹렬히 뒤질 때가 있는데 그러다 보면 정작 찾고자 하는 내용은 아니 나오고 이것과는 전혀 무관한 별스럽고 흥미로운 자료들을 우연하게 마주치는 경우가 더러 있다. 지금 소개하려는 <동아일보> 1962년 6월 27일자에 수록된 「6.25의 유산(遺産) ③ 전쟁고아(戰爭孤兒)」라는 제목의 연재기사가 바로 그러했다.  여기에는 서울 남산에 있는 ‘군경유자녀원’(軍警遺子女院, 예장동 8-6번지; 지금의 사회복지법인 남산원)에서 양육하고 있는 전쟁고아들의 실상을 알리는 가운데 이들의 모습을 담은 사진 한 장이 곁들여진 것이 퍼뜩 눈에 들어온다. 스무 명 남짓한 아이들이 잔뜩 매달려 있는 것이 처음에는 무슨 나무기둥이나 놀이기구인줄 알았더니 기사의 말미에 “무심히 뛰어노는 전쟁고아들 … 그들이 장난감으로 삼고 있는 대포는 일로전쟁 당시의 유물이다”라고 설명한 구 절이 눈에 띈다.  그런데 이 대포는 민족문제연구소가 수집하여 보관하고 있는 낱장 사진 묶음 속에서도 그 존재가 확인된다. 중학생 정도로 보이는 십여 명의 교복 차림의 아이들이 함께 촬영한 이 단체사진에는 대포의 모습이 훨씬 더 또렷이 드러나 있다. 사진의 뒷면에는 “1962, 남산예식장 안, 졸업앨범”이라고 쓴 메모가 남아 있으므로 두 사진은 거의 동일한 시기에 촬영된 것임을 알 수 있다. 고아원의 앞뜰에 남아 있는 대포라니, 이건 어찌 된 연유일까? 이 수수께끼를 푸는 단서는 일제강점기에 이곳이 바로 노기신사(乃木神社)가

명치신궁 성덕기념 회화관에 걸린 ‘한국병합’ 벽화그림

2020년 12월 30일 2564

[소장자료 톺아보기•22] 명치신궁 성덕기념 회화관에 걸린 ‘한국병합’ 벽화그림   경술국치와 관련한 전시도록에 곧잘 등장하는 것으로 ‘경성 남대문’의 모습을 그려놓은 한장의 그림엽서가 있다. 여기에는 석축(石築)에 담쟁이덩굴이 제법 달라붙어 있는 남대문의 전경과 그 뒤로 흘러내리는 남산 자락을 배경으로 하여 집집마다 일장기가 걸린 가운데 내지인(內地人, 일본인)과 조선인이 함께 천황의 은덕이 가져다 준 평화를 기뻐하고 있는 양 거리풍경이 묘사되어 있다. 이 엽서의 위쪽에는 “명치신궁 외원 성덕기념회화관 벽화(明治神宮 外苑 聖德記念繪畫館壁畫)”라는 표시가 있고, 아래쪽에는 다시 “[77] 일한합방(日韓合邦), 츠지 히사시 필(辻永 筆), 조선각도 봉납(朝鮮各道 奉納), 명치(明治) 43년 8월 29일, 경성 남대문”이라는 구절이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제목으로만 본다면 필시 1910년 8월 29일의 상황인 듯이 오해하기 십상이나 그 시절에는 담쟁이덩굴의 모습이 보이질 않아야 맞고, 실제로 이 그림의 초안이 그려진 것은 1925년의 일로 확인된다. 성덕기념회화관(1919.3.5일 착공, 1926.10.22일 준공)은 1912년 명치천황의 장례가 치러진 일본 도쿄 아오야마연병장(靑山練兵場) 장장전(葬場殿)이 있던 자리에 건설된 미술관으로, 죽은 천황과 황후의 유덕(遺德)을 연대순으로 묘사한 그림 80점(일본화 40점, 서양화 40점)이 이곳에 전시되었다. 그림의 제작은 당시의 화족(華族), 국가기관, 지방공공단체, 민간기업 등이 봉납하는 형태로 이뤄졌으며, 이 가운데 야마모토 카나에(山本鼎, 1882~1946)가 그린 ‘66번 서양화’ 「일영동맹(日英同盟, 1932년 완성)」은 조선은행(朝鮮銀行)이, 츠지 히사시(辻永, 1884~1974)가 그린 ‘77번 서양화’ 「일한합방(日韓合邦, 1927년 완성)」은 조선총독부가 각각 헌납한 것이었다. <경성일보> 1925년 5월 2일자에 수록된 「일한병합(日韓倂合)의 대벽화(大壁畫)를 그리다, 총독부(總督府)로부터의 위촉(委囑)으로 츠지

조선일보사 옥상 위에 올려놓은 비행기의 정체

2020년 12월 2일 1991

[소장자료 톺아보기•21 ] 조선일보사 옥상 위에 올려놓은 비행기의 정체 <조선·동아 100년 기획전, 일제 부역언론의 민낯>이 진행되는 식민지역사박물관 1층 돌모루홀의 쇼케이스에는 한 장의 빛바랜 옛 사진이 진열되어 있다. 비행기 한 대를 배경으로 삼고 36명이나 되는 사람들이 단체로 촬영한 기념사진이다. 이들 가운데 두루마기 차림의 방응모(方應謨, 1884~?) 조선일보 사장이 앞줄에 자리한 것이 무엇보다도 퍼뜩 눈에 띈다.  그 주변에는 이훈구(李勳求) 부사장 겸 조광 주필을 비롯하여 함상훈(咸尙勳) 편집국장, 이상호(李相昊) 편집국차장, 송병휘(宋秉暉) 광고부장, 홍종인(洪鍾仁) 사회부장, 이석훈(李石薰) 조광 기자, 이갑섭(李甲燮) 정치부장, 함대훈(咸大勳) 조광 편집주임, 김기림(金起林) 학예부장 등의 모습이 확인되는데, 이로써 조선일보 사원들의 기념사진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가운데 함흥방송국에서 근무하던 이석훈이 조선일보사 발행 잡지인 <조광>으로 자리를 옮겨 일한 것이 1939년 5월에서 1940년 4월까지의 시기였으므로 이를 단서로 사진촬영시기를 대략 가늠할 수 있다. 이 사진을 살펴보노라면 여기에 보이는 비행기가 자리한 곳이 도대체 어딘지가 자꾸 궁금해진다. 흔히 비행기가 등장하는 사진이라면 무슨 비행장 활주로나 격납고 앞일 거라고 생각하기 십상이지만, 사실을 알고 나면 대단히 의외의 공간이라는 점에 놀라지 않을 수 없다. 사진촬영장소를 확인하는 첫 번째 단서는 비행기 뒤쪽에 솟아있는 건물이다. 일장기가 펄럭이고 싸이렌에다 송신탑 꼭대기가 보이는 곳은 1937년 11월 16일에 신축 이전된 경성소방서(京城消防署, 태평통 1정목 1번지)의 8층 높이에 달하는 망루 부분이다. 이곳의 길 건너편에 1935년 6월에 준공한 조선일보사(朝鮮日報社, 태평통 1정목 61번지)의

‘일본 역사’가 된 식민지 조선

2020년 11월 10일 2206

이번에 소개할 자료는 대정 원년(1912년) 10월 4일 동광원(東光園)에서 발행한 <일본역사사진첩>이다. 연구소 소장본은 한 차례 증보를 거쳐 대정 2년(1913년) 6월 8일에 발행한 정가 6원의 제3판본이다. 불과 10개월 만에 세 번째 인쇄를 한 것으로 보아 판매량이 적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사진첩>은 총 284쪽에 걸쳐 근대 메이지 유신(明治維新) 전후부터 1912년까지 일본 역사의 여러 사진 자료를 보여준다. 일본의 근대화 과정 속에 일어난 사건, ‘천황’과 가문의 인물들, 정치·군사 분야의 주요 인물, 일본과 밀접한 관계인 미국·영국·프랑스·러시아 등 당시 제국주의 국가들의 주요인물 사진 등이 실려 있다. 특히 일본의 팽창을 보여주는 침략전쟁의 현장 등이 사진으로 게재되어 있는데 주요 사진들은 일본 근대사에서 ‘자랑스러운 승리의 역사’로 기록하는 청일전쟁과 러일전쟁에 관련된 이미지이다. 일본 근대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부분이 바로 대한제국과의 관계인데 <사진첩>에서도 ‘강제병합’까지의 과정을 사진으로 간략하게 보여준다. 이토 히로부미와 순종의 서북순행, 요시히토 황태자의 한국방문, 조선민중에게 주어진 태형(笞刑)의 모습 등 일본의 식민지로 전락하는 조선의 모습이다. <사진첩> 본문 160쪽에는 이토 히로부미가 한복을 입고 찍은 사진이 게재되어 있는데 이는 1906년 12월 대한제국 내부대신 이지용(李址鎔)이 특파대사로 도쿄에 갔을 때에 이토 히로부미 내외에게 한복을 지어 선물로 건네준 것을 기념하기 위해 촬영한 것이었다. (민족사랑 2017년 10월호 참조) 무엇보다 눈에 띄는 사진은 본문 162쪽에 등장하는 사진들이다. 훈장을 패용한 예복을 입은 이토 히로부미, 이토가 하얼빈역에 내리기 전에 병사들이

식민지 지배의 선전물, 관제엽서

2020년 9월 24일 2368

이번에 소개할 자료는 1938년 2월 10일, 우편·전신·전화 업무를 담당하는 조선총독부 체신국에서 발행한 <조선체신사업연혁사>이다. 1914년에 발간한 <조선통신사업연혁소사(朝鮮通信事業沿革小史)>를 증보, 개정하여 1935년 ‘조선총독부 시정 25주년기념’ 및 ‘조선체신의 날’ 제정 기념사업의 하나로 엮은 책자이다. <연혁사>는 먼저 체신국장 야마다 츄지(山田忠次)의 머리말과 역대 체신국장, 체신훈(遞信訓), 조선체신가와 조선체신행진곡을 시작으로 본문은 3부로 구분할 수 있다. 1부는 대한제국시대의 우표 5쪽 37매와 기념우편그림엽서 20쪽 65매, 기념특수통신 날짜도장(記念特殊通信日附印) 9쪽 96종, 명소(名所)의 스탬프 12쪽 87종, 체신국 건물 사진을 시작으로 30쪽에 걸친 우편통신관계의 건물·인물·사진 수백 매를 수록하고 있다. 2부는 체신사업의 현황과 연혁을 서술한 부분으로 제1편 사업의 연혁을 시작으로 체신기관, 통신사업 시설, 통신업무 상황, 우편위체(郵便爲替) 저금사업, 조선 간이생명보험사업, 항공사업, 해운사업, 전기사업, 와사사업(瓦斯事業), 체신사업의 선전, 사업의 경리, 토지와 건물 등 472쪽에 걸쳐 조선체신사업연혁사를 정리해 놓았다. 3부는 각종 체신사업의 성과를 22매의 화려한 통계표와 그래프로 보여준다. 19l0년에서 1934년까지의 통신기관 및 체신종업원수, 우편물수, 전보통수, 전화도수 및 가입자 수, 당시 조선의 통 신현황, 라디오 청취자수, 우편위체금액, 우편저금 액수, 우편진체저금 액수, 조선 간이생명보험도별 계약건수 분포도, 전기사업, 전등전력 수요, 항로 표지, 등록 선박 수 등을 수록하고 있다. <연혁사>에서 특히 주목할 것은 조선총독부 체신국에서 발행한 관제엽서이다. 일본은 메이지시대부터 사진을 이용하여 각종 시각 매체를 통해 통치정책을 홍보하였는데 관제엽서 또한 그중 하나였다. 사진그림엽서가 정보전달 매체의 역할을 넘어 팽창하는 일본제국주의를 선전하기 가장 좋은 매체로서 활용도가

‘한국병합’을 기념한 침략의 주범들 – 「한국병합기념화보」

2020년 8월 25일 2219

[소장자료 톺아보기•18] ‘한국병합’을 기념한 침략의 주범들 – 「한국병합기념화보」 이번에 소개할 자료는 <오사카신보大阪新報>가 제7666호 부록으로 제작한 「한국병합기념화보」이다. 일본이 대한제국을 강제 병합한 한 달 후인 1910년 9월 28일에 발행된 화보로 일본 내각의 주요 인물과 대한제국의 대신들을 소개하고 있다. 일본의 최고 권력자 메이지‘천황’ 무쓰히토의 사진을 중앙 상단에 배치하였는데 ‘메이지明治’의 이름을 생략하였다. ‘함부로 부르지 못하는 성스러운 천황의 이름’이라 표기하지 않고 비워 둔 것이다. 바로 밑에 고종과 순종의 사진을 나란히 게재했다. 태황제인 고종을 ‘이태왕’으로, 순종 황제는 ‘이왕’으로 표기했다. 이는 일본이 병합과 동시에 한국의 황제·황족을 왕족·공족으로 전락시키고 519년 동안 27대에 걸쳐 이어온 조선왕조를 패망시켰음을 알리기 위한 의도로 표기한 것이다. 메이지 사진 양측에는 조선침략에 앞장선 주요 인물들과 병합의 공로가 있는 조선의 인물을 배치하였다. 우측에는 강화도조약을 체결해 조선을 강제 개항시킨 이노우에 가오루井上馨를 필두로 ‘소야만국小野蠻國’이라며 조선을 멸시한 사상가 후쿠자와 유키치福澤諭吉, 정한론의 중심인물인 사이고 다카모리西郷隆盛, 명성황후를 살해하고도 무죄를 확신한 극악무도한 범죄자 미우라 고로三浦梧樓, 의병 대탄압을 지휘하고 헌병경찰제도를 도입한 아카시 모토지로明石元二郎 등 32명의 인물사진이 게재되어 있다. 좌측에는 을사늑약의 원흉 이토 히로부미를 시작으로, ‘이익선 보호’라며 조선 침략을 주창한 일본 군부 세력의 거물 야마가타 아리토모山縣有朋, 강제병합을 자랑하고 무단통치를 감행한 초대총독 데라우치 마사타케寺内正毅, 금융지배를 확립하고 ‘한국병합기념장’ 수여받은 재정고문 메가타 다네타로目賀田種太郎와 ‘일본의 보호정치는 한국의 이권’이라고 주장한 친일 미국 외교관 스티븐스가 유일하게 외국인으로 실려 있다. 이들

조선신궁어진좌10주년기념 은뢰恩賴

2020년 7월 27일 1862

<은뢰>, 발음부터 어렵다. 뜻은 ‘천황’의 위엄한 자태 또는 존엄한 ‘천황’이 내려와 온 세상에 가득한 모습을 가리키는 말이다. 제목부터 이 책자의 편찬 방침이 ‘천황의 은혜’가 곳곳에 미쳐 발전한 조선의 모습을 시각적이고 미학적으로 표현하는 것임을 노골적으로 드러낸다. <은뢰>는 1937년 11월 조선신궁봉찬회에서 조선신궁 건립 10주년을 기념하여 발행한 사진첩이다. 따라서 메이지 ‘천황’을 제신으로 하는 조선신궁의 모습을 중심으로 조선의 자연, 문명, 모성, 의례 등 350여 점의 사진 이미지 삽입, 총 338쪽으로 구성하였다. 책자의 크기는 가로 26cm, 세로 36.5cm이며 재질이 좋은 종이를 사용하여 고급스러움을 추구했다. 비매품인데도 불구하고 발행년도를 달리하여 여러 쇄를 찍었는데 배포대상이 일반인이 아니라 조선을 통치하는 자들에게 지속적으로 증정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현재 <은뢰>의 소장처는 독립기념관과 연세대 등 몇몇 대학도서관과 개인이 소장하고 있는데 인쇄 수량에 비해 발견된 것은 많지 않다. 연구소는 수집본과 기증본(즈시 미노루) 총 2점을 소장하고 있는데 모두 1940년 판본이다. <은뢰>는 총설편, 제1편~제5편, 외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총설편에서는 신궁의 창립 유래와 진좌제 등 조선신궁을 개략적으로 소개한다. 궁극적으로 구현하고자 하는 ‘내선융화’의 정서를 시각화한 이미지들을 담고 있다. 제1편~제5편은 1925년부터 1935년까지 11년을 11개의 장, 5편으로 나누어 설명한다. 각 장마다 해당 년에 일어난 사건과 각종 의례 등을 기록해 연보적 성격을 보여 주는데 각 지역의 신사와 명승고적 및 메이지 ‘천황’의 제사를 고르게 배치하였다. 그런데 특이한 점은 ‘현인신現人神’인 ‘천황’의 실체는 사진첩에

식민통치를 자화자찬하다 – 조선총독부 <施政25年史>

2020년 6월 23일 2171

[소장자료 톺아보기•16] 식민통치를 자화자찬하다 – 조선총독부 <施政25年史>   이제 우리 반도는 교육·문화·산업·경제·교통·토목·치안·위생 등 제반 시설을 모두 정비하여 완전히 지난날의 모습을 새롭게 변화시켰다. 불과 25년이라는 짧은 기간에 이토록 눈부신 발전을 이룰 수 있었던 것은 세계 어디서도 찾아볼 수 없는 일대 사실이다. <시정25년사> 표지 남면북양정책의 성공적인 성과물로 면양 교직포를 사용하였다. 부산시립 시민도서관 소장본(국립중앙도서관 원문이미지)은 면양교직포를 사용하지 않은 양장본인 것으로 보아 2종류의 표지를 제작한 것으로 보인다.   1935년 10월 1일, 조선총독부에서 식민지 통치 25년을 기념하기 위해 발행한 <시정25년사> 서문의 일부다. ‘낡은 문명의 보잘 것 없던 조선’은 ‘선진 문명국 일본’의 통치를 통해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었다는 말이다. 본서는 가로 19cm, 세로 26.5cm 크기에 매수가 무려 1,200쪽이 넘는 방대한 양이다. 표지는 조선산 면화와 양모로 방직된 면양교직포(綿羊交織布)를 사용하여 덧씌웠다. 1930년대 조선총독부는 값싼 조선인 노동력을 이용하여 일본에 필요한 면화를 충당할 목적으로 한반도의 남쪽은 목화 재배, 북쪽은 면양 사육을 강요하였다(南棉北羊정책). 이 과정에서 일본의 면방직 자본이 조선에 들어와 전국 각지에 직물공장을 세우고 조선인을 착취하였다. 이러한 식민정책의 결과로 완성된 면양교직포를 책 표지로 사용한 <시정25년사>는 조선발전의 찬란한 결과물로 둔갑되었다. 책장을 넘기면 조선총독부 정무총감 이마이다 키요노리(今井田淸德)의 서문이 쓰여 있다. 첫 머리에 “한국병합 당시의 조선을 알고 있는 사람이라면 오늘날의 조선을 보고 그 진보의 발자취에 놀라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라며 식민통치 ‘치적’을 들먹이기 위해 시동을 건다. 정무총감의

건물은 역사 속으로 사라졌지만 <식민통치의 심장, 조선총독부> 기념엽서

2020년 5월 26일 5433

[소장자료 톺아보기•15] 건물은 역사 속으로 사라졌지만 <식민통치의 심장, 조선총독부> 기념엽서 남산에 위치한 구 조선총독부 청사 남산에 위치한 구 조선총독부 청사   경복궁 근정전 앞을 가로막은 형태로 지어진 조선총독부 신청사 경복궁 근정전 앞을 가로막은 형태로 지어진 조선총독부 신청사   경성의 명소로 소개하며 유통된 조선총독부 엽서들 경성의 명소로 소개하며 유통된 조선총독부 엽서들   경복궁 앞에 공사 중인 조선총독부 신청사, 조선총독부청사신영지, ⓒ 국립중앙도서관   1910년 8월 29일, 일제는 식민통치 기관 설립을 위해 「조선총독부 설치에 관한 건(朝鮮総督府設置ニ関スル件)」을 공포, 최고 통치기구이자 수탈기구인 조선총독부를 설치하였다. 식민지 조선의 입법·사법·행정기구는 모두 조선총독에 직속되었고, 1910년 9월 30일에 칙령 354호로 「조선총독부관제」가 공포됨으로써 조선총독부의 중앙 조직이 1관방 5부제로 구성되었다. 조선총독부의 행정조직이 새롭게 구성하게 되자 총독부와 중앙기관의 청사가 필요하게 되었다. 처음에 총독부는 남산 왜성대에 위치하였던 기존의 통감부 건물을, 중앙기관의 청사는 기존의 중앙관아나 관찰부, 일본이사청 등의 건물을 사용하였다. 필요에 따라 지속적으로 청사를 증축하였는데 ‘청사의 산재(散在)로 인한 집무 불편 및 노화’를 이유로 조선총독부 신청사 건립이 추진되어 1916년 6월 26일 지진제(地鎭祭)와 함께 신청사가 착공되었다. 조선총독부 신청사는 일제 식민통치의 상징적인 건물이었기 때문에 조선 내 최고기관으로서 권위를 나타내기 위해 입지 선정부터 심혈을 기울였다. 위압적인 식민통치를 위해 조선의 중심부인 경복궁, 그것도 경복궁의 중심이자 조선왕실을 상징하는 건축물인 근정전 앞에 대규모의 건축물로 계획하여 영구적인 청사로 사용하고자 했다. 또한 도시의 중심축인

지고의 희생은 찬연한 역사를 창조한다

2020년 4월 21일 1574

[소장자료 톺아보기•14] 지고至高의 희생은 찬연燦然한 역사를 창조한다 <민권투쟁> – 민주혁명의 역사적 기록 “인간 기본 권리의 부활과 억압당한 민권을 쟁취하기 위하여 조국의 부름에 奮然히 총궐기한 전국 애국학도의 피의 의거는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킨 靑史에 기록될 英勇한 민권의 투쟁이었다. 또다시 있어서는 안 될 폭정에 吊鍾을 울리고 민권의 승리를 이룩한 이 투쟁은 감격적 세기의 軌道에 絢爛한 역사를 창조하였다. 이제 우리는 영원히 기억될 민주혁명의 교훈을 받들어 「제2공화국」의 밝아오는 여명기에부여된 과업을 수행하여 원한의 흉탄에 쓰러져 간 영혼들에 보답하여야 할 것이다! 여기피흘린 자죽처럼 엮어진 민권투쟁의 이 적은 기록을 삼가 비통하고 거룩한 희생으로 散華한 젊은 애국학도들의 영전에 바치나이다.” – 편집인 일동, 단기 4293년 5월 19일-   이번에 소개할 자료는 올해로 60년을 맞이한 4월혁명을 생생하게 기록한 사진 화보이다. 서울의 동방사진뉴스사에서 1960년 5월 23일 <동방사진뉴스> 제180호 임시증간호로 발행한 것으로 총 51쪽으로 구성하여 <민권투쟁 – 민주혁명의 역사적 기록>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이승만 독재정권의 부정선거에 대한 반대로 시작한 1960년의 4월혁명은 직접적인 도화선이 되었던 2월 28일 대구학생시위를 시작으로 3월 15일 마산 시위, 4·18 고려대생 시위에 이어 혁명의 절정에 이른 4월 19일의 대규모시위와 4·25 대학교수단 시위로 전개되었다. 특히 3·15 부정선거를 규탄하던 마산상고 김주열 군의 시신이 발견되면서 이승만 정권에 대한 분노를 표출하는 학생과 시민들의 시위가 서울을 비롯한 전국 각 지방에서 발생하였다. ‘피의 화요일’이라고도 불린 4월 19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