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기사
태평양전쟁 말기 오키나와 주민 집단자살-한국일보(08.03.29)
태평양전쟁 말기 오키나와 주민 집단자살
‘일제 강제징용’ 변호하는 한국 로펌 ‘김앤장’
오마이뉴스구영식기자 법조계의 삼성으로 불리는 법무법인 김&장이 일제 강점기 징용피해자들의 국내 소송과 관련, 일본 대기업 변론을 맡아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누구나 변호받을 권리가 있다는 원론적 주장과 변호사라고 해도 결국은 강제징용 피해국의 국민인데 피해국 국민이 가해국 가해자들을 변호할 수 있냐는 입장이 맞서고 있는 상황을 오마이뉴스가 취재보도했다.<편집자 주> ‘일제 강제징용’ 변호하는 한국 로펌 ‘김앤장’(오마이뉴스, 08.04.01) 관련기사 日 강제징용자 두번 울린 ‘김앤장’(한국일보, 08.04.04)
중견 역사학자 3人 “우파 국제주의 시각… 역사의 시계 거꾸로 돌리나”
한국일보 이왕구 기자 이른바 뉴라이트의 ‘대안교과서’ 출간 이후 이들의 비틀린 역사관에 역사학계의 우려가 깊어가는 가운데 한국일보가 뉴라이트의 시각과 역사관을 집중비판하는 기사를 게재했다.<편집자 주> 중견 역사학자 3人 “우파 국제주의 시각… 역사의 시계 거꾸로 돌리나”(한국일보, 08.04.01) 관련기사 “물질 만능적 관점 건국의미 해석 시민·노동운동 등엔 폄하의 시선”(한국일보, 08.04.01)“민족수난史·항일독립운동史 배제 통계·결과 위주… 많은 부분 간과”(한국일보, 08.04.01)“개화파 중심·反민중적 관점 위주 동학운동·의병 부분 단편적 인식”(한국일보, 08.04.01)<제주4.3 60주년..성과와 과제> ②(끝)(연합뉴스, 08.03.31)“MBC가 대안 교과서 왜곡보도”(조선일보, 08.03.31)전교조 제주지부, 4·3 교육주간 선포(제주일보, 08.03.31)국가장래 걱정 되는 오류 투성이 교과서(대전일보, 08.03.30)“역사 ‘대안 교과서’ 日통치 찬양”<요미우리>(서울파이낸스, 08.03.30)日요미우리 “뉴라이트 교과서, 일제 찬미”(서울신문, 08.03.30)뉴라이트 교과서 한국판 ‘후소샤’?(MBC, 08.03.29)[지평선/3월 29일] 대안교과서(한국일보, 08.03.29)
‘일본의 통치, 좋은 점도 있었다’ – 한국에 새로운 역사교과서-요미우리신문(08.03.29)
‘일본의 통치, 좋은 점도 있었다’ – 한국에 새로운 역사교과서(일본 요미우리 3.29, 7면, 마에다, 서울發) 한국에서 경제발전 등의 분야에서 좋은 점이 있었다며 일제 통치시대(1910~45년)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대안 역사교과서 『한국근현대사』가 출판되었다.교과서는 뉴라이트(신 우파)라 불리는 대학교수들이 집필했다. 종래의 교과서에서는 항일운동이 기술이 중심이었던 일본 통치시대에 대해 ‘억압과 통제의 역사만은 아니다. 문명을 학습해 실천함으로서 근대국민국가를 수립하는 사회적 능력이 축적된 시기이기도 했다’고 개괄. 철도나 도로 등의 사회기반정비 진전을 예로 들며 ‘자본주의적 시장경제를 활성화했다’고 설명하고 있다.독재체제를 비판받는 박정희 前 대통령의 쿠데타에 대해서도 ‘근대화 혁명의 출발점이 되기도 했다’고 평가했다. 북한에 대해서는 ‘한반도 뿐 아니라 동북아시아의 평화에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다’고 정의했다.한국 언론 중에는 ‘우경화된 역사관이 독주하고 있는 역사교육의 장에 균형을 불러올 것’(조선일보 25일자 사설)이라 평가하는 의견도 있다. 교과서는 이미 서점에서 판매되고 있으나 2010년 차기검정을 통과하기 전까지는 학교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독재 하의 한국 피한 재일 여성, 60년 만에 고향 제주도로-아사히신문(08.03.29)
독재 하의 한국 피한 재일 여성, 60년 만에 고향 제주도로 (일본 아사히, 3.29 석간, 18면 중톱) ‘4.3사건’ 위령식 참가 도쿄에 사는 76세의 재일한인 김동일 씨는 31일, 60년 만에 한국의 제주도로 귀향한다. 한반도가 남북으로 분단된 1948년에 섬에서 일어난 민중 봉기로 고향을 떠난 채였으나 한국에서 과거의 재검토가 진전되어 방문할 결심이 섰다.도쿄 에도가와 구의 작은 도시락가게에서 김 씨는 주말도 쉬지 않고 가게를 지키고 있다. 계속 고향으로 발길을 향하지 못했던 것은 바빠서 뿐만은 아니었다. ‘다시 괴로운 일을 당하게 되는 것은 아닐까’하는 불안이 사라지지 않아서다.1948년 4월 3일에 벌어진 제주도 4.3사건. 학생이었던 김 씨는 아이들에게도 주저 없이 폭행을 가하는 경찰에게 반감을 가지고 산에 숨은 무장대의 전령역할로서 교복 차림으로 섬을 뛰어다녔다. 군이나 경찰의 포위망이 좁아져 산 동굴에 몸을 숨겼다. 눈이 쌓이기 시작할 즈음 산을 내려오다가 경찰에 발견되어, 함께 잡힌 연장자인 여성은 사살되었다. 김 씨도 고문을 받았다. 형무소로 옮겨지면서 섬을 떠났다.출소 후 한반도 남쪽 목포 숙부 댁에서 신세를 지던 중 1950년 6월에 한국전쟁이 시작되었다. 목포는 수개월 만에 점령자가 남, 북, 남으로 바뀌어 김 씨는 다시 구속되었다. 당시 한국은 독재정권 下. 밀항선으로 조국을 떠났다. 모친이 돌아가셨다는 소식이 들려도 고국을 향할 수 없었다.이윽고 한국에서는 민주화가 진전되었다. 4.3사건도 김대중 대통령 下인 2000년에는 진상규명과 희생자의 명예회복을 위한 특별법이 생겨, 2003년에는 노무현 대통령이
일제강점기 대구 자본가층 분석
일제강점기 대구 자본가층 분석(경북일보, 09.0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