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huge collection of 3400+ free website templates, WP themes and more http://jartheme.com/ at the biggest community-driven free web design site.

주요기사

“일제 식민지배가 후세 미친 영향까지 두루 보여줄 겁니다”

2018년 8월 24일 4084

[짬] 민족문제연구소 김승은 자료실장 국치일인 오는 29일 서울 용산구 청파동에 식민지역사박물관이 문을 연다. 건립 준비위 발족 11년 만이다. 민족문제연구소(이하 민문연)가 지난해 12월 옮겨 온 5층 건물의 1~2층 140여 평 공간에 들어선다. 개관일엔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 유족들이 환영 플래카드를 들고 독립운동가 후손 등 참석자를 맞을 예정이다. 오후 3시30분 개관식에 앞서 근처 효창공원 독립선열 묘역을 답사하는 행사도 한다. 첫 기획전은 오는 10월 열리는 ‘반민특위 70년 특별전’이다. 박물관 학예실장을 겸하게 되는 김승은 민문연 자료실장을 21일 민문연 사무실에서 만났다. “애초 2010년 열려고 했는데 8년이나 늦어졌네요. 이명박·박근혜 정부 때 벌어진 역사 왜곡 탓이 크죠.” 설명을 더 들었다. “이명박 대통령 시절 뉴라이트 진영은 친일 미화 대안 교과서를 내놓았고 박근혜 정부는 국정 역사 교과서를 밀어붙였어요. 공영방송 케이비에스도 친일·독재 미화 다큐멘터리를 틀었죠. 싸우느라 바빠 개관에 힘을 쏟을 수 없었어요.” 민문연은 지난해 박물관이 들어설 건물을 51억 원에 샀다. 인테리어 비용 등까지 합하면 56억 원이다. 건물 구입엔 시민 후원금 15억 원과 <친일인명사전> 판매 기금 11억 원이 큰 힘이 됐다. 대출도 22억 원을 받았다. “진실 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위원장을 지낸 송기인 신부가 2억 원을 내주셨죠. 10만 원 이상 기부한 분들이 4800명이나 됩니다. 최근엔 양보경 성신여대 총장과 한상권 덕성여대 총장대행 부부가 2천만 원을 보내주셨죠.” 3년 전 결성된 일본 시민단체 ‘식민지 역사박물관과 일본을 잇는

드라마센터의 주인은 누구입니까

2018년 8월 24일 1332

서울시는 지난 10년간 서울예술대학 소유의 ‘남산예술센터 드라마센터’를 위탁 운영해왔다. 지난 1월 서울예술대학교가 계약 종료를 요청하면서 드라마센터의 소유를 두고 논란이 불거졌다. 1962년 4월12일, 서울시 중구 예장동 8-19번지에 ‘드라마센터’가 개관했다. 200평 규모에 객석 473석을 갖춘 연극 전용 극장으로, 원형극장을 응용한 개방형 객석이 특징이었다. 개관 당시 상영됐던 ‘대한뉴스’ 제361호에 따르면 ‘무대는 객석과 무대가 분리되어 있지 않고 배우가 객석의 상하 사방에서 드나들게 되어 있는 입체적 다양성 모델로서 관객으로 하여금 점점 연극 속으로 끌려 들어가게끔 만들어진 것이 특징’이었다. 이날 개관식에는 창설자인 유치진 연출가를 비롯해 국내외 인사들이 참여해 오색 테이프를 끊었다. 개막작은 셰익스피어의 <햄리트>였고, 이를 관람한 당시 박정희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은 드라마센터에 ‘10만 환’을 전달하고 특별명예회원이 되었다. 현재 이 건물은 ‘남산예술센터 드라마센터’로 불린다.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근현대식 공연장으로, 건축가 김중업이 설계할 당시의 원형을 보존하고 있다. 2009년부터 서울시가 서울예술대학 소유의 극장을 연 10억원에 임대해 10년째 위탁 운영해오고 있다. 최근 연극계에서 이 극장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다. 지난 1월, 서울예대가 서울시와의 계약을 끝내겠다는 입장을 밝히면서부터다. 연극인들은 임대형 공공극장으로 입지를 굳혀온 드라마센터가 사라질 것을 염려해 ‘공공극장으로서의 드라마센터 정상화를 위한 연극인 비상대책회의 (비상대책회의)’를 꾸리고 지난 4월부터 세 차례 공개토론회를 열었다. 연극단체 43개와 연극인 544명은 드라마센터가 과연 ‘누구의 극장인지’ 묻고 있다. 비상대책회의 소속 연극인들은 토론회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과거의 토지대장, 건축물대장, 법인등기부, 국유재산 매각

민족사랑 2018년 08월호

2018년 8월 24일 999

[바로보기] * 각 목차를 클릭하시면 해당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세상 속 연습실] 광복절, 박물관서 마련한 ‘역사 콘서트’

2018년 8월 24일 835

조은아 경희대후마니타스칼리지 교수·대한민국 역사박물관 예술감독 박물관의 예술감독으로서 공연기획에서 가장 고민되는 지점은 어떻게 하면 역사적 맥락을 음악과 연결하느냐에 있다. 국립박물관 산하 최초로 클래식 공연단을 결성했고, 관현악 7중주 편성에 맞춰 역사적 의의를 담은 곡들을 다양하게 발굴하는 것이 그 주요임무이다. 근현대사 박물관답게 삼일절과 광복절 등 국경일을 기념하는 공연도 내실 있게 진행해야 한다. 이번 광복절 역사콘서트는 ‘독립군의 용맹한 기상’을 주제로 삼았다. 여성 독립운동가의 항일운동을 기렸던 지난 삼일절 공연과 맥락을 잇기 위해서였다. 음악으로 일깨울 구체적 역사는 독립운동가 김경천의 삶과 한인 소년병학교의 활동으로 정했다. 4명의 작곡가에게 작·편곡을 위촉하며 ‘만주와 시베리아에서 종횡무진 활약했던 독립군의 결기와 저항정신을 담아 달라’고 요청했다. 누군가는 음악적으로 도저히 풀리지 않는다며 막판에 포기하기도 했지만 그렇게 우여곡절 끝에 각양각색 독립군의 용맹이 현대 음악기법으로 새롭게 태어났다. 독립군에 몸소 이입할 남성 성악가도 필요했다. 호방하고 당찬 음색으로 음악적 결기를 전달할 수 있어야 했다. 현재 유럽 오페라 무대에서 주역 가수로 열정적 활약을 펼치고 있는 바리톤을 섭외했다. 세상 바쁜 성악가인데도 무엇이든 마다하지 않는 긍정이 인상적이었다. 이번 공연에서 중심을 이루는 곡은 작년에 발간된 <항일음악 330곡집>에 뿌리를 두고 있다. 민족문제연구소와 음악학자 노동은이 뿔뿔이 흩어져 있던 항일음악을 집대성하여 펴낸 이 악보집에서 우리는 ‘안중근의 옥중가’와 ‘독립군가’를 선곡했다. 작곡가 성용원은 독창성부와 기악앙상블 두 음향체의 대립을 통해 독립군의 거침없는 기상을 효과적으로 구현했다. 광주시향이 즐겨 연주하는 정율성의

100세 가까운 이춘식 할아버지가 대법원에 간 이유

2018년 8월 23일 1728

강제동원 공동행동, ‘재판거래’ 대법원의 공식 사죄·가담 대법관 사퇴 등 촉구 “죽기 전에 (재판해서 일제강제동원 문제) 해결해주시면 마음이 기쁘겄네. 내일이라도 죽고 싶은데 이 법원을 보니까 살고 싶어” 100세에 가까운 노인이 대법원 앞에서 한 말이다. 일제강점기 강제동원 피해자인 이춘식(97, 광주 광산구) 할아버지는 22일 채 폭염이 가시지 않아 영상 35도를 넘나드는 서울 서초구 대법원 동문 앞에서 ‘양승태 체제’ 대법원의 ‘재판거래’를 규탄하고, 대법원의 사죄와 관여한 대법관의 사퇴를 촉구하는 자리에 휠체어를 타고 섰다. 예정대로라면 다음날인 23일은 이 할아버지를 비롯한 신일본제철(현재 신일철주금)을 상대로 낸 손해배상 청구소송(2013다61381)이 대법원 전원합의체에서 다뤄진다. 지난 2005년 2월28일 소송을 제기한 뒤 무려 13년 6개월만이다. 또한 2012년 5월24일 대법원 판결로부터 6년이, 2013년 7월10일 고등법원 파기환송심 판결로부터도 이미 5년이 훌쩍 지났다. 그런데 이 지루한 소송 과정에 ‘재판거래’ 정황이 드러났고, 서서히 사실로 밝혀지고 있다. 이 사건 심리불속행 기간이 끝나는 시점을 전후해 박근혜 지시를 받은 김기춘 전 대통령 비서실장이 2013년 12월1일 차한성 전 대법관, 윤병세 전 외교부장관, 황교안 전 법무부장관 등과 ‘4자 회동’에서 결론 연기 및 전원합의체 회부를 통한 파기 방안을 논의했다. 양승태 전 대법원장은 2014년 초부터 여러 차례 윤병세 전 장관에게 해외공관 파견 법관 자리를 확보해줄 것을 요청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박근혜 정권과 양승태 대법원이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 재판을 지연시키는 동안 대법원 확정 판결을 손꼽아 기다리던

[식민지역사박물관 개관 릴레이 응원영상] – 11. 임순례 영화 감독

2018년 8월 23일 1262

[식민지역사박물관 개관 릴레이 응원영상] – 11. 임순례 영화 감독 와이키키 브라더스, 우리 생애 최고의 순간, 리틀 포레스트의 임순례 감독님 식민지역사박물관 개관 릴레이 11번째 응원메세지 감사합니다. [식민지역사박물관 개관 릴레이 응원영상] ☞응원영상 – 1. 최태성 (역사강사) ☞응원영상 – 2. 청소년들 ☞응원영상 – 3. 김태곤 조이시티 CTO ☞응원영상 – 4. 박주민 의원과 김광진·정청래 전 의원 ☞응원영상 – 5. 장항준 영화감독 ☞응원영상 – 6. 전국역사교사모임 ☞응원영상 – 7. 김지영 영화감독 ☞응원영상 – 8. 독립운동가 후손 ☞응원영상 – 9. 최원정 아나운서 ☞응원영상 – 10. 배동록선생

[보도자료] 양승태 대법 재판거래 규탄 및 일제 강제동원 피해소송 전원합의체 심리재개에 대한 긴급 기자회견

2018년 8월 21일 1588

[다운로드] [보도자료] 대법원은 강제동원 피해자들에게 공식 사죄하고 ‘재판거래’에 관여한 대법관들은 즉각 사퇴하라! 최근 밝혀진 일제 강제동원 피해 소송을 둘러싼 사법부의 ‘재판거래’와 관련사건(신일철주금)의 대법원 전원합의체 심리재개와 관련하여, 피해자의 입장을 밝히고 대법원의 사죄와 관련자들에 대한 철저한 수사를 요구하는 긴급 기자회견을 아래와 같이 진행합니다. 특히 이 사건의 원고이신 강제동원 피해자 이춘식(98세) 어르신께서 광주에서 상경하셔서 피해 당사자의 입장을 직접 밝히실 예정입니다. (아래) 양승태 대법 재판거래 규탄 및 일제 강제동원 피해 소송 전원합의체 심리재개에 대한 긴급 기자회견 대법원은 강제동원 피해자들에게 공식 사죄하고  ‘재판거래’에 관여한 대법관들은 즉각 사퇴하라! ○ 일시 : 2018년 8월 22일(수) 오전 11시  ○ 장소 : 대법원 동문 앞  ○ 주최 : 강제동원 문제해결과 대일과거청산을 위한 공동행동  ○ 사회 : 김영환 정책위원장(민족문제연구소) ○ 진행내용  ▲ 발언1 / 임재성(소송대리인, 민변, 법무법인 해마루)  ▲ 발언2 / 이춘식(98세, 신일철주금 소송 원고)  ▲ 발언3 / 이국언(근로정신대 할머니와 함께하는 시민모임 상임대표)  ▲ 발언4 / 엄미경(민주노총 부위원장)  ▲ 기자회견문 낭독 / 권순영(서울 겨레하나 운영위원장)   [기자회견문] 대법원은 강제동원 피해자들에게 공식 사죄하고 ‘재판거래’에 관여한 대법관들은 즉각 사퇴하라! 내일 일제강점기에 강제동원된 피해자들이 신일본제철(현 신일본주금)을 상대로 제기한 손해배상 청구소송(2013다61381)이 대법원 전원합의체에서 다뤄질 예정이다. 이 사건이 제소된 2005년 2월 28일로부터 13년, 2012년 5월 24일 대법원 판결로부터 6년, 2013년 7월 10일 고등법원 파기환송심 판결로부터

효창공원에 ‘독립운동공원’ 조성…“대한민국 정통성 세우는 일”

2018년 8월 17일 2070

효창공원 성역화 의미와 방향 보훈처, 묘역 짓누른 효창운동장은 철거 추가 묘역 확장·이장은 않기로 “민관 합의 거쳐 신중하게” 주문도 국가보훈처가 서울 용산구 효창공원을 ‘독립운동기념공원’으로 조성하기로 한 것은 늦게나마 이곳의 역사적 의미를 인정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특히 내년 3·1운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돌을 앞두고 ‘임시정부의 법통을 계승한’ 대한민국의 정통성을 분명히 하려는 의지를 보인 것으로 풀이된다. <한겨레>가 입수한 국가보훈처의 ‘효창공원 성역화 사업 추진방안 등 검토(안)’ 보고서를 보면, 보훈처는 독립운동기념공원 추진 배경으로 “(2019년) 3·1운동 및 임정 수립 100주년을 맞아 독립운동가 선양 및 국민 통합을 위해 독립운동가 묘소가 위치한 효창공원 성역화를 각계각층에서 요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최근 <한겨레>에서 ‘효창공원을 독립공원으로’ 기획보도로 지속적으로 관련 사안을 보도하고 있고, 독립단체에서도 관련 입장을 발표하고 있다”고 이유를 밝혔다. 이 보고서는 지난달 작성됐다. 문재인 대통령의 의지도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그동안 문 대통령은 꾸준히 독립운동가의 역사성 복원을 주장해왔다. 문 대통령은 지난 15일 제73주년 광복절 경축사에서 “정부는 여성과 남성, 역할을 떠나 어떤 차별도 없이 독립운동의 역사를 발굴해낼 것”이라며 “묻혀진 독립운동사와 독립운동가의 완전한 발굴이야말로 또 하나의 광복의 완성이라고 믿는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대통령이 되기 전부터 효창공원 성역화 의지를 보였다. 문 대통령은 지난해 1월 펴낸 책 <대한민국이 묻는다>에서 “우리는 임시정부를 기념하는 기념관 하나 없다. 적어도 효창공원에 독립열사들을 모시는 성역화 작업이 필요하다”고 썼다. 그는 당대표

조선일보의 ‘정율성’ 보도, 독립운동을 폄훼하다

2018년 8월 17일 3365

[김종성의 뉴스 팩트체크] 독립투사의 딸 초청한 주중대사관, 아무 문제 없다 지난 15일 베이징 주재 한국대사관이 주최한 제73주년 광복절 경축식에 독립투사 정율성의 딸인 정소제(75)씨가 초청된 것을 두고 <조선일보>가 자극적인 기사를 내보냈다. 경축식에는 임시정부 비서였던 김동진의 딸과, 님 웨일스가 쓴 <아리랑>의 주인공인 김산(본명 장지락)의 아들도 초청됐다. 16일자 <조선일보>는 베이징 특파원 명의의 기사에서 정소제씨 초청 대목에만 문제를 제기했다. <조선일보>는 “주중 한국대사관 광복절 행사에… ‘6·25 때 중공군’ 정율성 딸도 초청”이란 제목 아래 정율성이 중국공산당원으로 가입했고 “조선인민군 행진곡을 작곡해 김일성에게 바쳤”으며 “6·25 때는 중공군으로 참전해 서울까지 내려왔”다는 점을 부각시켰다. 주중대사관이 대단히 불순한 인물의 딸을 초청한 듯한 인상을 풍긴 것이다. 정율성은 나라 잃은 지 4년 뒤인 1914년 전라도 광주에서 출생했다. 이것이 인연이 돼 오늘날 광주광역시에 정율성로라는 도로명이 있다. 또 해마다 10월에 사흘간 ‘정율성 국제음악제도 광주에서 열린다. 이 행사는 광주광역시가 주최하고 광주정율성국제음악제추진위원회가 주관한다. 광주 남구에 있는 정율성로 단순히 광주 출신이라는 이유만으로 광주 사람들이 정율성을 기념하는 것은 아니다. 국가적 차원에서 기념해도 부족함 없는 인물이지만, 국가가 하지 않으므로 고향 사람들이라도 나서서 그렇게 하는 것이다. 정율성 국제음악제를 여는 취지와 관련해, 문화체육관광부 홈페이지의 문화광장 코너는 이렇게 설명한다. “중국인이 아닌 조선인이면서도 중국에서의 항일투쟁과 탁월한 음악적 업적으로 중국 3대 음악인으로 추앙받고 있는 정율성의 삶과 음악성을 재조명해 업적을 기리고…(하략)” 항일투쟁과 음악적 성과로 중국 3대

오키나와 섬 곳곳 거대한 무덤…조선인 유해 반환은 ‘0건’

2018년 8월 17일 1444

[앵커] 일본 오키나와에서 조선인 묘표가 확인됐다는 소식 어제(15일) 전해드렸는데요. 오키나와 곳곳에 조선인이 매장된 것으로 추정되는 장소들이 남아있습니다. 하지만 조선인의 유해가 발굴돼 국내로 돌아온 적은 한 번도 없었고, 유해 반환에 대한 논의도 답보 상탭니다. 윤봄이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오키나와 본섬의 최남단. 패전을 앞둔 일본군이 후퇴해 주둔했던 숲입니다. 미군의 집중 공격을 받은 곳인데, 조선인으로 구성된 특설수상근무대도 이 일대에 주둔했습니다. 전쟁이 끝난 지 70년이 넘게 지났지만, 유해 발굴은 끝나지 않았습니다. 자원봉사자들이 이렇게 깊은 산 속까지 찾아와 발굴 작업에 힘쓰고 있습니다. 일본 정부가 손을 놓은 사이, 유해 발굴을 계속 하고 있는 건 자원봉사자 대여섯 명입니다. [“(뭐가 나왔나요?) 손가락뼈. 아마도 이 부위인가? 손인지, 발인지 아직 확실하게는 잘 모르겠지만…”] 발굴된 유해는 오키나와 현에서 임시 보관하고 있는데, 대부분 DNA 확인도 못했습니다. [구지켄 다카마츠/유해 발굴 자원봉사자 : “지금까지 발견된 유골 중에 조선인도 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생각합니다.”] 발굴 현장 인근엔 유골 3만 5천구가 묻혔다는 자리가 남아있습니다. 전쟁 직후 농부들이 밭을 갈 때마다 유해가 쏟아져 나와, 이를 한 번에 묻고 탑을 세운 겁니다. [오키모토 후키코/강제 동원 조선인 연구자 : “(조선인 부대가) 이곳에서 전멸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조선인들의 유골도 이 혼백의 탑 아래에 들어갔을 것으로 추측됩니다.”] 미군이 일본군 포로 7천 명을 감시했다는 수용소 자리. 이 해안가엔 지금 마을이 들어섰고 포로수용소 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