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huge collection of 3400+ free website templates, WP themes and more http://jartheme.com/ at the biggest community-driven free web design site.

주요기사

“[친일인명사전] 공공도서관에 비치해야”

2017년 10월 20일 2568

임헌영 소장은 2003년 민족문제연구소를 맡은 이래 친일 청산을 위한 ‘역사 전쟁’을 벌이고 있다. 1970년대 대표적 문학평론가인 그는 간첩으로 몰리며 두 차례 옥고를 겪었다. ※관련기사 – 강만길, “건국절 운운은 이승만 분단주의의 연장” – 보수세력이 친일파 되살리는 까닭은? – 내 손안에 쏙 들어오는 ‘친일 행적’이라니 – 그에게 기독교는 ‘포장지’더군 지난 9월17일 대검찰청 공안부는 박정희·전두환 정권 시절 ‘태영호 납북 사건’ 등 6건의 조작 사건 피해자 18명에 대해 법원에 재심을 청구했다고 밝혔다. 검찰이 먼저 잘못된 수사와 기소를 인정해 ‘셀프 재심’ 청구를 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검찰은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이하 진화위)가 재심 권고 대상으로 밝힌 ‘문인간첩단 사건’ 등에 대해서도 재심을 청구할 방침이다. 검찰의 추가 ‘셀프 재심 청구’ 대상자 중에 임헌영 민족문제연구소장도 포함되어 있다. 그는 1974년 문인간첩단 사건에 연루돼 옥고를 치렀다. 1970년대 한국 사회의 대표적 문학평론가인 그는 문인간첩단 사건 외에도 1979년 남민전 사건으로 두 번째 옥고를 치렀다. 두 사건 모두 진화위 조사 결과 고문에 의한 조작임이 드러난 바 있다. 임헌영 소장은 2003년 민족문제연구소를 맡은 이래 친일 청산을 위한 ‘역사 전쟁’을 벌이고 있다. 2006년과 2009년 각각 <친일인명사전>(전 3권)을 펴냈고, 2012년에는 현대사 시리즈 <백년 전쟁>이라는 4부작 다큐멘터리를 제작하기도 했다. 최근 들어 ‘식민지역사박물관’을 건립하는 데 전력을 다하고 있는 임헌영 소장을 만났다. ‘문인간첩단 사건’은 잘 알려지지 않은 것 같은데? 1970년대 재일동포

[논평] 국정교과서 적폐청산, 진상규명과 책임자처벌이 관건이다

2017년 10월 13일 1738

[논평] [다운로드] 국정교과서 적폐청산, 진상규명과 책임자처벌이 관건이다 1. 엊그제(10.11) 교육부 ‘역사교과서 국정화 진상조사위원회’(진상조사위원회)가, 박근혜정권의 교육부가 실시한 국정화 전환 의견수렴 과정에서, 행정예고 마지막 날인 2015년 11월 2일 역사교과서 국정화 찬성 의견서가 부당한 방법으로 대량 접수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어 <보도자료>를 통해 “2015년 역사교과서 국정화 정책 추진 당시 청와대와 국정원 등이 의견수렴 과정에서 조직적으로 개입하여 여론을 조작했다는 의혹에 대해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수사 의뢰를 하도록 요청한다.”고 밝혔다. 그동안 의혹으로만 제기되었던 국정교과서 찬성을 위한 ‘차떼기 여론 조작’이 사실로 드러난 데 따른 일련의 조치를 취한 것이다. 2. 당시 ‘차떼기 제출’ 논란이 되었던 일괄 출력물 형태의 의견서 제출 박스에는 ‘올바른 역사교과서 국민운동본부’(올역사)의 스티커가 부착되어 배달되었는데, 문제의 박스들을 보낸 올역사라는 단체는 성균관대 교육학과 양정호 교수가 구성을 주도했다. 양 교수는 2015년 11월 ‘올바른 역사교과서를 지지하는 교수모임’ 102인 성명에 이름을 올리고, 발표회견에서 직접 마이크를 잡았다. 그리고 KBS 심야토론에 ‘국정화 지지 패널’로 나와 “검정교과서가 주체사상을 가르치고 있다”고 주장하는 등 국정교과서 찬성 움직임을 주도했다. 양 교수는 국정화 찬성 의견 서명지 인쇄물 주문을 최종 ‘오더’한 사람이기도 하다. 당시 언론은 “양 교수가 인쇄 의뢰를 오전에 맡기고 저녁에 출력물을 실어갈 때까지 하루 종일 지켜봤으며, 계산은 신용카드로 몇 번 나눠서 했다”고 보도했다. 어제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더불어민주당 김한정 의원이 “찬성의견 103박스를 출력하고 교육부로 옮긴 ‘올바른 역사교과서

민족문제연구소가 펴낸 『일제식민통치기구사전』 무엇이 담겼나

2017년 9월 28일 3373

1916년 7월 일제는 조선 문화유산의 조사와 보존을 심의한다는 목적을 내걸고 ‘고적조사위원회’를 설치했다. 조사방법의 유형은 일반조사·특별조사·임시조사 등 세 가지로 나뉘었는데, 고구려·백제·신라·한사군·임나와 관련된 지역이 집중 조사 대상으로 선정됐다. 이는 고적조사위원회의 실제 목적이 문화유산의 가치를 밝히기보다는 식민사학의 논리를 찾는 데 있었음을 방증한다. 1922년 12월 등장한 조선사편찬위원회와 이를 이어받은 조선사편수회가 철저하게 식민사관에 입각한 역사서를 발간하는 데 몰두한 것과 일맥상통한다. 1939년 2월에는 조선인의 만주 이민을 국책사업으로 간주하여 ‘이민위원회’를 설치했다. 만주 개척은 일제의 중국 대륙 침략을 위한 오랜 계획의 일부분이었고, 일본인의 이민이 사실상 실패하자 조선인이 적극 동원됐다. 그 해 8월 ‘개척민위원회’로 명칭을 변경한 위원회는 △농업·공업·광업 분야의 실제 기술자 파견 △청년의용대를 늘려 개척민 지도자로 활용 △강원도와 함경도의 화전민을 만주 삼림지대로 파견 등을 의결했다. 이처럼 조선인의 만주로의 이주는 일제에 의해 철저하게 관리되고 통제되었다. 위의 두 사례는 일본이 조선 식민지배 과정에서 위원회를 어떻게 활용했는지를 보여준다. 민족문제연구소가 최근 발간한 <일제식민통치기구사전: 통감부·조선총독부 편>은 그동안 실체조차 파악되지 않았던 조선총독부 산하의 140여개의 위원회에 관한 정보를 모두 담았다. 위원회는 식민지 조선이 당면한 현안에 대한 심의·조사·자문·징계·조정의 기능을 갖추고, 긴급한 대책을 마련하기도 했다. 대부분의 위원회가 한시적으로 운영됐음에도 그 역할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박수현 민족문제연구소 연구실장은 “식민지 조선에서 모든 사안이 총독 1인의 제왕적 리더십에 따라 처리되었다는 주장이 있지만, 실제로는 위원회를 통해 많은 부분이 결정된 측면도 있다”며

“대통령의 가장 중요한 임무가 전쟁 막는 일 아닙니까?”

2017년 10월 5일 2024

많은 사람이 새로운 길을 모색합니다. 오랫동안 꿈꿔왔던 일이던, 우연한 기회가 주어졌든 도전은 가슴 뛰는 일입니다. 민중의소리 평생교육원 ‘이산아카데미’는 새로운 직업의 길을 개척한 ‘꾼’들을 찾아 그들의 밥벌이와 가치를 묻습니다. 동영상 강좌가 깊이 있는 인문학적 지식을 전한다면, 페이퍼 특강에선 독자에게 정보와 영감을 줄 수 있는 내용을 전할 계획입니다. 직업의 세계에선 때론 구체적인 기술보다 좋은 관점이 필요하기도 하니까요. 뉴라이트 진영에서 이승만 국부론을 내세우며 48년 건국설을 밀어붙일 때 역사학자 조한성은 책『한국의 레지스탕스』를 냈다. 일제강점기 조선의 비밀결사 단원들이 목숨과 맞바꾸면서도 소망했던 새로운 조국 꿈을 추적했다. 그들의 투쟁은 때론 성공하고 많은 경우 패배했지만 그들이 흘린 선혈에서 대한민국이 비롯되었다고 조한성은 말한다. 이후 그는 『해방 후 3년』을 통해 우리 사회에 새로운 질문을 던졌다. “해방 후 역사가 미소 양국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라면, 도대체 우리 민족의 역할은 어디에 있는가? 분단도, 전쟁도 모두 외세 탓인가?” 역사학자 조한성을 만났다. 그는 ‘친일반민족행위 진상규명위’ 조사관으로 활동하다 지금은 민족문제연구소 연구원으로 일하고 있다. 그에게 인터뷰를 청한 이유는 그의 저술이 우리 사회에 던졌던, 그 참신한 질문 때문이다. 43세의 이 역사학자는 늘 치밀한 사료분석으로 새로운 관점과 상상을 선사했다. 인터뷰는 청량리 민족문제연구소에서 이루어졌다. 현대 사학의 원로이신 서중석 선생님께 배웠다고 들었습니다. 현대사에 매료된 계기가 궁금합니다. 조한성: (웃음) 이제 서중석 선생님 그만 팔아먹어야 하는데…. 대학 1학년 때 5.18 광주민주화운동과 당시 영상을

[지워진역사 강제동원]⑰ 어둠 속 건져올린 진실…진상규명 힘쓴 11인의 조력자

2017년 10월 5일 3729

[편집자주] 지난 1938년 제국주의 실현을 꿈꾸던 일본은 ‘국가총동원법’에 따른 국민 총동원령을 제정했다. 식민지였던 조선에도 여파가 미쳤다. 일본은 모집·관 알선·징용 등으로 형태를 바꿔가며 조선인을 강제 동원했다. 국내를 비롯해 일본, 사할린, 남양군도로 800만명이 끌려갔다. 이들은 원치 않는 총을 들어야 했고, 노역에 시달려야 했다. 이중 최소 60만명이상은 죽거나 행방불명됐다. 국가는 이들을 어떻게 기록하고 있을까. 79년의 세월이 흘렀다. 역사는 흐려졌다. 교과서는 단 한 문단으로 피해자의 삶을 축약했다. 이들을 기리기 위한 동상 건립은 정부의 불허로 난항을 겪고 있다. 진상규명과 피해보상 역시 지지부진하다. 백발이 성성한 피해자들은 지금도 지팡이를 짚고 국회와 법원을 오간다. 쿠키뉴스 기획취재팀은 지난 4월부터 강제 동원의 역사와 의미를 재조명하고자 취재를 시작했다. 전국을 돌며 피해자와 유가족을 찾았다. 일본을 방문, 비극의 흔적을 되짚어봤다. 쿠키뉴스 기획취재팀은 94세의 피해자를 대신해 “우리를 잊지 말아달라”던 그의 간절한 당부를 독자들께 전한다. ※관련기사 – [지워진역사 강제동원]⑯ [단독] ‘틀린 표현 버젓이’ 역사교과서…“일본 더 진전하기도”(2017/10/03) – [지워진역사 강제동원]⑮ [단독] 빈약한 강제동원 교과서 기술…심한 경우 3줄뿐 (2017/09/28) – [지워진역사 강제동원]⑭ [단독] 빛 좋은 개살구?…총체적 난국 ‘강제동원역사관’ (2017/09/26) – [지워진역사 강제동원]⑬ [단독] 혈세 522억 어떻게 흘러갔나…수상한 국립강제동원역사관 (2017/09/21)  – [지워진역사 강제동원]⑫ [단독]오류투성이 ‘피해자 명부’…창씨개명 알아야 확인 가능? (2017/09/19) – [지워진역사 강제동원]⑪ “한국인은 열람 못해”…여전히 찾지 못한 이름들 (2017/09/14) – [지워진역사 강제동원]⑩ 16년간 연락 없는 외교부…”우리가 귀찮은

“국정교과서 관련 제보해주세요”…교육부, 익명게시판 열어

2017년 9월 28일 1636

교육부는 27일 중·고교 역사교과서 국정화 추진 과정을 확인하고자 온라인 익명 제보 게시판을 만들어 11월30일까지 운영한다고 밝혔다. 제보하려는 국민은 교육부 누리집에 접속한 뒤 국민참여·민원 탭과 부패공익신고 메뉴를 선택하면 된다. 익명과 실명 제보 가운데 선택할 수 있으며 실명 제보를 하더라도 제보 내용과 제보자 신분은 비밀로 유지한다고 교육부는 설명했다. 역사교과서 국정화 추진 전반의 위법·부당한 사항을 비롯해 국정화와 관련된 사실이면 어떤 것이든 제보할 수 있다. 교육부는 역사교과서 국정화 진상조사팀이 게시판을 직접 운영하고 팀 내 게시판 관리자만 열람할 수 있도록 했으며, 제보 내용은 조사에 반영하거나 참고자료로 활용한다고 전했다. ▶역사교과서 국정화 어떻게 추진됐나…진상조사위 출범 게시판 이용이 어렵다면 이메일(latte80@korea.kr)로도 제보할 수 있다. 김상곤 부총리는 “국민의 다양한 제보가 내실 있는 역사교과서 국정화 진상조사와 재발 방지를 위한 중요한 디딤돌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남지원 기자 somnia@kyunghyang.com <2017-09-27> 경향신문 ☞기사원문: “국정교과서 관련 제보해주세요”…교육부, 익명게시판 열어

‘미남 부처’는 고향에 갈 수 있을까, 청와대 결단만 남았다

2017년 9월 29일 1168

문화재제자리찾기, 청와대 청원 돌입… 전문가·종교계 “경주로 돌아가야” 시민단체 문화재제자리찾기(대표 혜문)가 ‘청와대 불상은 고향에 가고 싶습니다’라는 청원을 9월 29일 청와대 국민청원 누리집에 등록했다. 청와대 불상(수려한 외모 때문에 ‘미남 부처’로도 불린다)은 데라우치 총독의 환심을 사려던 일본 상인 ‘오히라’에 의해 1913년 서울로 옮겨져 현재까지 청와대 경내에 남아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앞서 문화재제자리찾기는 지난 8월 7일 청와대와 대한민국 국회 앞으로 ‘청와대 불상 제자리 찾기에 대한 진정서’를 제출했다. 당시 청와대는 “(청와대) 경내에 위치한 불상의 이운 문제에 대해서는 종교계 및 관련 전문가 등의 다양한 의견 수렴 등 종합적인 검토가 필요한 사항으로 앞으로 시간을 두고 바람직한 방향으로 결정될 수 있도록 하겠다”라고 밝혔다(관련 기사 : “청와대 불상, 경주로 돌려놔야”… 청와대 답변을 공개합니다). 전문가·종교계 “경주로 돌아가야” 진정서 접수 이후 2개월가량의 시간이 지난 현재, 불상에 대한 여론은 어떨까? 일단 관련 전문가들은 ‘청와대 불상이 경주로 돌아가야 한다’는 의견이다. 민족문제연구소 이순우 책임연구원은 KBS <취재파일K>와의 인터뷰에서 불상이 청와대에 있어야 할 이유를 묻자 “전혀 없다”고 대답했다. 그는 덧붙여 “한국을 강제 병합했던 바로 그 당사자인 데라우치 총독의 손을 거쳐서 불상이 지금 총독관저에 옮기게 됐고 총독관저가 옮겨지는 것에 따라 청와대에 들어갔다”라면서 “(불상은) 전형적인 일제잔재의 한 유형이라고 볼 수 있다”라고 말했다. 청와대 불상의 이전을 반대한다고 알려졌던 조계종은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면서 9월 26일 의견문을 발표했다. 조계종은 “문화재가 조성됐을

[성명] ‘역사교과서 국정화 진상조사위원회’ 출범에 즈음하여

2017년 9월 27일 1621

[성명] [다운로드] ‘역사교과서 국정화 진상조사위원회’ 출범에 즈음하여 1. 박근혜정부의 역사교과서 국정화 추진과정을 조사할 ‘역사교과서 국정화 진상조사위원회’(진상조사위원회)가 지난 25일 공식 출범했다. 교육부는 <보도자료>를 통해 진상조사위원회는 “촛불혁명에 담긴 상식과 원칙이 바로선 정의로운 대한민국을 만들기 위한 첫 걸음으로써, 그동안 사회적으로 논란이 되어온 역사교과서 국정화 추진과정의 진상을 규명하기 위해 마련되었”으며, “향후 재발방지 대책에 대한 연구 및 제안을 하고 ‘(가칭) 역사교과서 국정화 정책’ 백서 발간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고 밝혔다. 2. 지난 10년간 이명박-박근혜 정권의 실정으로 인해, “나라를 인간의 신체에 비유하면 털끝 하나인들 병들지 않은 곳이 없다”라는 말이 실감나게 들릴 정도로 한국사회는 골병이 들었다. 문재인정부가 문체부 블랙리스트 진상조사위원회, 국방부 5·18특별조사위원회, 국정원 적폐청산 TF 등을 구성하여 이전 정권의 적폐를 밝히는 데 온힘을 기울이고 있는 것도, 적폐청산 없이는 대한민국이 한 걸음도 나아갈 수 없다는 판단 때문이다. 이 모든 적폐 가운데 가장 근간이 되는 게 역사적폐이다. 역사적폐는 국민들의 가치관을 전도시킨다는 점에서 적폐 중의 적폐인 것이다. 이명박-박근혜 정권은 헌법 전문에 명기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법통성을 부정하고 친일-독재세력을 건국의 아버지들로 내세우기 위해 이른바 ‘건국절’을 제정하려 하였다. 이와 함께 친일반민족행위자와 이승만-박정희와 같은 독재자 그리고 재벌집단 등을 미화하고, 장기집권을 위해 역사교과서마저 국정화함으로써 교육을 사유화하였다. 한마디로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라는 헌법가치마저 유린하는 전대미문의 ‘역사쿠데타’를 감행한 것이었다. 3. 역사쿠데타는 마침내 대통령탄핵으로 이어졌으며, 국정교과서는 촛불민심이 선정한 “박근혜 체제가 낳은

역사교과서 국정화 어떻게 추진됐나.. 진상조사위 내일 출범

2017년 9월 25일 1170

박근혜 정부 시절 역사교과서 국정화 작업이 어떻게 추진됐는지 진상을 규명할 위원회가 본격 활동을 시작한다. 교육부는 25일 오후 2시30분 서울 한국프레스센터 목련홀에서 역사교과서 국정화 진상조사위원회 출범식과 첫 회의를 연다고 24일 밝혔다. 이날 행사에서는 김상곤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위원들에게 위촉장을 수여한 뒤 앞으로 위원회의 활동 계획과 진상조사 주요 과제 등을 논의한다. 고석규 목포대 사학과 교수가 위원장을 맡는 진상조사위는 사학계와 교육계 등에서 위촉된 민간위원 13명, 정부위원 2명으로 구성됐다. 양정현 부산대 교수, 지수걸 공주대 교수, 정용숙 중앙대 교수, 김육훈 교사(서울 독산고), 백옥진 교사(파주 해솔중), 이영기 변호사(법무법인 자연), 김영준 변호사(법무법인 일현), 이준식 민족문제연구소 근현대사기념관 관장, 윤덕영 국사편찬위원회 편사연구관 등이 민간위원으로 참여한다. 교육부는 “공정하고 정확한 사실 조사를 위해 일반 국민의 다양한 의견과 시각을 반영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배경을 가진 위원들로 구성했다”고 설명했다. 정부위원으로는 교육부 학교정책실장과 기획조정실장이 당연직으로 참여한다. 내년 2월말까지 약 6개월간 운영되는 진상조사위는 역사교과서 국정화 정책 결정과 집행 과정에서 위법하거나 부당한 행위가 있었는지, 관련 예산의 편성과 집행 과정이 적절했는지 등을 살필 계획이다. 향후 유사한 일이 재발하는 것을 막기 위한 연구도 수행한다. 위원회 활동 결과는 역사교과서 국정화 정책 백서(가칭)로도 발간될 예정이다. 남지원 기자 somnia@kyunghyang.com <2017-09-24> 경향신문 ☞기사원문: 역사교과서 국정화 어떻게 추진됐나.. 진상조사위 내일 출범

“이게 왜 여기에 서 있죠?”···일제잔재 제대로 알려야

2017년 9월 20일 3322

충주 관아공원 서회보 애민선정비 등 안내판 설치 여론 【충주=뉴시스】강신욱 기자 = 일제강점기 친일세력을 칭송하는 공적비 등의 실상을 제대로 알려야 한다는 주장이 잇따르고 있다. 19일 충북 충주시 성내동 옛 충주읍성인 관아공원 중원루 근처 은행나무 옆에는 가첨석(지붕돌)이 있는 비석 하나가 세워져 있다. 비석 앞면에는 ‘行郡守徐候晦輔愛民善政碑(행군수서후회보애민선정비)’라고 새겨져 있다. 그럼 서회보(徐晦輔·1849~1919년)는 누구인가. 먼저 ‘디지털충주문화대전’에 보면, 서회보는 1849년 충주시 신니면 송암리(충주군 남변면 남부리-‘조선신사대동보’)에서 태어났다. 1907년(조선 순종1) 12월에 영동군수로 재임하다가 충주군수로 전임했다. 1908년 3월 공립충주보통학교 교장을 겸한 그는 충주군수로 있을 때 시설을 만들고 보수해 지역주민의 칭송을 받았다고 적고 있다. 국사편찬위원회가 펴낸 ‘일제침략하 한국36년사'(1966~1978년)에 따르면 대한제국기 마지막 충주군수였던 서회보는 일제강점기 초대 군수로 계승해 1917년 1월까지 재임했다.  하지만 디지털충주문화대전 등에는 서회보가 친일파였음은 언급되지 않았다. 서회보는 2002년 민족정기를 세우는 국회의원모임이 발표한 친일파 708인과 2006년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공개한 친일반민족행위 106인 명단,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에 모두 포함됐다. 서회보는 1912년 일제로부터 한국병합기념장을 받았고 1917년에는 중추원 부찬의에 임명됐다. 김희찬(비영리단체 충주아이들의하늘 간사)씨는 서회보가 중추원 부찬의가 된 것이 일제강점기 초대 충북도장관이었던 스즈키 다카시(領木隆·1910년 10월~1916년 3월 재임)의 신임이 두터워 가능했다고 봤다. 김씨는 “서회보와 관련해 꼭 기억할 것이 1913년 ‘시구개정(市區改正)’이라는 명분으로 충주군수 서회보의 책임 아래 충주읍성을 허물고 전국에서도 모범적으로 식민도시 충주 시가지를 만들었다는 점”이라고 지적했다. 관아공원 내 서회보 비석과 관련해서는 그의 친일 행적 등을 시민에게 알리도록 안내판을 세워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