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기사
“국정 역사교과서의 뿌리는 뉴라이트 대안교과서·교학사 교과서”
교육부가 내놓은 ‘국정 역사교과서’의 아버지는 ‘교학사 교과서’, 할아버지는 뉴라이트 계열 교과서포럼의 ‘대안교과서’라고 할 수 있을까. 민족문제연구소(민문연)는 8일 국정 역사교과서 최종본이 2008년 뉴라이트계열 교과서포럼이 발간한 대안교과서, 2013년 교학사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역사인식을 그대로 답습하고 있다는 분석을 내놨다. 국정 역사교과서는 집필진과 편찬심의위원 상당수가 뉴라이트 계열 ‘보수·우편향’ 학자라는 비판을 받아왔다. 민문연은 “국정교과서의의 뿌리가 교학사 교과서, 대안교과서로 이어진다”면서 교육부의 고등학교 <한국사> 최종본의 서술을 교학사 교과서·대안교과서와 비교했다. 민문연은 일제강점기 부분에서 세 교과서에 이어지는 흐름은 ‘식민지근대화론’이라고 평가했다. 이승만 전 대통령의 ‘라이벌’이었던 안창호 선생에 대한 서술의 경우 대안교과서에서 ‘초대 총회장’으로 잘못 서술한 오류가 국정교과서 최종본에서 또다시 반복됐다. 일제 ‘수탈’에 대해선 소극적으로 표현됐다는 지적이 나왔다. 대안교과서에서 ‘수출’이라는 표현이 교학사 교과서에서도 ‘쌀 수출’로 반영되었다가, 국정교과서에선 ‘일본으로 반출’되었다는 중립적 용어가 사용됐다. 이준식 민문연 연구위원은 “뉴라이트에서 주장하는 정상적인 경제 행위로 수출되었다는 표현이 교학사 교과서에도 나왔다가 여론에 뭇매를 맞고 국정교과서에선 반출이라는 중립적 표현으로 쓰였다”면서 “국정교과서에선 수탈이라는 표현도 쓰긴 하지만 면피용 서술로 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민족주의 우파 진영이 내세운 실력양성운동에 대해선 ‘민족실력양성운동’이라는 신조어를 내세운 교학사 교과서의 서술을 그대로 답습했다. 이준식 연구위원은 “이 용어는 학계에서도 쓰지 않고, 검정 8종 교과서 중 교학사만 유일하게 사용한 용어”라면서 “자본가들이 참여한 민족주의 진영을 띄우려는 의도가 의심된다”고 지적했다. 박한용 민문연 교육연구실장도 “역사학에서는 용어가 중요한데 ‘10월 유신’을 ‘10월 민주
국가 대개혁 토론회…”반헌법 행위자 행적정리 반드시 필요”
더불어민주당 오영훈 국회의원(제주시 을)은 16일 오후 3시 국회의원회관 제7간담회의실에서 2017민주평화포럼과 공동주최로 ‘국가 대개혁과 이행기 정의 실현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토론회는 함세웅 2017민주평화포럼 상임대표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한홍구 성공회대 교수가 ‘헌법질서와 민간인 학살 등 국가범죄의 불처벌 문제’, 허상수 세계섬학회 제주4·3의 정의를 통한 사회적 치유위원장이 ‘국가 대개혁과 이행기 정의 실현방안’에 관해 주제발표를 했다. 정구도 노근리국제평화재단 이사장, 조시현 민족문제연구소 연구위원이 지정토론자로 나섰다. 한홍구 교수는 주제발표를 통해 “내란·학살·고문조작·부정선거 등 반헌법행위를 일삼은 자들의 행적을 정리하는 작업은 늦었지만, 반드시 필요한 일”이라고 주장했다. 허상수 위원장은 “대학민국은 과거의 비정상 국가에서 정상국가로, 불의사회에서 정의사회로, 환경파괴국가에서 환경생태국가로 일대 전환을 도모해야 한다”며 “새로운 민주공화국으로 전진하려는 꿈과 국가비전, 정책대안을 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오영훈 의원은 인사말을 통해 “우리사회의 민주화와 과거사 청산, 이행기 정의 실현 과정에서 한국 전쟁전후 민간인학살사건 및 제주4·3사건의 진상규명과 명예회복이 갖는 의미는 매우 심중하다”며 “국가 대개혁시대에 이행기 정의실현을 위한 남은 과제를 살펴보고 바람직한 대안을 모색하는 자리가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헤드라인제주> 원성심 기자 headlinejeju@headlinejeju.co.kr ☞기사원문: 국가 대개혁 토론회…”반헌법 행위자 행적정리 반드시 필요”
[보도자료] 대안교과서-교학사교과서-국정교과서, 뉴라이트의 역사인식 그대로 답습
[보도자료] [다운로드] 무엇이 무엇이 똑같아요? 대안교과서 – 교학사교과서 – 국정교과서가 똑같아요 역사쿠데타의 세 가지 버전, 뉴라이트의 역사인식 그대로 답습 교육부와 국사편찬위원회는 2월 7일 역사교육연대회의가 공개 지적한 오류 등을 수정한 뒤 연구학교에 배포할 국정역사교과서를 다시 찍기로 했다고 밝혔다. 또 3월 개학 이후에도 오는 10월까지 인터넷을 통해 국정교과서에 대한 의견을 수렴해 계속 수정하겠다고 했다. 나아가 3억 8000만원을 투입해 교과서를 상시 수정・보완할 수 있는 체제를 갖추고 수정 민원이 들어오면 검토해 수시로 오류를 바로잡아 매달 연구학교에 통보하겠다고 밝혔다. 최종본을 공개하고도 계속해 수정 작업을 해나가겠다는 공언은 도저히 정부부처의 공식 입장이라고 하기에는 믿을 수 없는 후안무치의 극치를 보여준다. 교육부가 스스로 졸속제작된 불량품임을 자인하고도 책임을 지기는커녕 국민은 안중에도 없는 뻔뻔한 태도로 일관하고 있는 것이다. 교육부는 최소한 1,000여 곳 이상 오류가 있는 엉터리 교과서를 수정하였으며 그것마저도 축소해서 발표함으로써 국민을 상대로 기만행위를 서슴지 않았다. ‘올바른 교과서’를 표방하며 내놓은 국정교과서는 한마디로 교학사 교과서를 능가하는 수준 미달의 교과서에 지나지 않는다. 더 심각한 문제는 바로 뉴라이트 역사쿠데타 10년의 결과물이 바로 국정교과서라는 사실이다. 민족문제연구소는 2008년 뉴라이트 교과서포럼이 발간한 『대안교과서 한국근・현대사』와 2013년 교학사 『고등학교 한국사』 그리고 〈국정 역사교과서 최종본〉을 비교 분석하여, 국정역사교과서가 이명박 박근혜 정부와 극우세력이 지난 10년간 줄기차게 추진해온 역사변조의 결정판이며 뉴라이트의 비뚤어진 역사인식을 그대로 담고 있는 위험한 교과서임을 입증했다. 1. 뉴라이트 대안교과서의
[보도자료] 국정교과서 수록 삽화, 사진 오류 또 있어
[보도자료] [다운로드] 국정교과서 수록 삽화, 사진 오류 또 있어 정확한 사료검증이나 원출처 확인이 없이 교과서에 수록해 또 오류 민족문제연구소는 연구학교 지정을 또 연장하는 교육부의 꼼수에 국정교과서의 오류를 추가로 공개하기로 했다. 이번에 공개하는 오류는 교과서에 수록된 사진, 삽화와 관련된 것이다. 정확한 사료검증이나 원출처 확인 없이 인터넷 등으로 쉽게 유통되는 사진들을 마구잡이로 실은 부실함이 여기서도 드러나고 있다. 근현대사에서 사진자료는 고대사에 있어서 곧 유물과 마찬가지인데 제대로 원형도 확인하지 않고, 그 출처도 오리무중인 도굴품을 교과서에 실은 격이다. 고등학교 한국사 174쪽 갑신정변의 현장 ‘우정총국’ 건물사진 설명문에 “우정총국(복원) …… 현재 서울 종로에 복원되었다”고 적고 있다. 하지만 현존하는 우정총국 건물은 갑신정변 당시의 것으로 이러한 설명은 잘못이다. 문화재청에서 설치한 안내문에도 “…… 본채를 제외한 부속건물은 모두 불에 탔다”고 하여 당시의 건물이 남아 있음을 밝히고 있다. 전차개통식 관련 사진(186쪽)에 대한 설명문에도 “1899년 서대문과 청량리 사이에 최초로 전차를 가설하였다”고 적고 있으나, 전차개통구간의 서쪽 종점은 서대문이 아니라 경교(京橋, 지금의 적십자병원 앞)라고 표시해야 한다. 『황성신문』 1899년 5월 19일자(사진)에 수록된 한성전기회사의 광고문에도 전차운행구간을 경교, 종로, 동대문, 청량리 등으로 표기하고 있지만 서대문이라는 표시는 나오지 않는다. 을사늑약의 강제성을 풍자한 ‘한일협약도(韓日脅約圖)’ 삽화(189쪽)의 경우, 원출처를 『코리안 뉴스페이퍼』라고 적고 있으나 이러한 명칭의 간행물은 현재까지 확인한 결과 존재하지 않는다. 국정교과서에 기재된 이 삽화의 출처는 박도의 『개화기와 대한 제국』를 출판한 눈빛출판사에서
연구학교 신청 학교 ‘0’곳, 국정교과서 운명은?
<2017-02-08> 한국일보 ☞기사원문: 연구학교 신청 학교 ‘0’곳, 국정교과서 운명은? ※관련기사 ☞아시아경제: 일선 학교도 외면한 국정교과서.. 연구학교 신청한 학교 ‘0’ ☞폴리뉴스: 국정교과서, 연구 신청학교 ‘0’ 사실상 무용지물 ☞쿠기뉴스: 국정교과서 신청 학교 ‘0곳’…유은혜 “연구학교 신청 기간 변경은 교육부 ‘꼼수’” ☞경향신문: 국정교과서 연구학교 신청 없자 기한 연장 ☞연합뉴스: 학교서 외면받는 국정교과서..연구학교 신청 ‘0곳'(종합) ☞이투데이: 국정교과서 연구학교 신청 ‘0’… 교육부, 신청기한 5일 연장 ‘꼼수’
“교육부, 국정교과서 오류 축소 발표…1천곳 이상 고쳐”
민족문제연 ‘최종본’ 분석해 지적 “오류 760곳 외에 312곳 더 고쳐” 검정 집필진·‘위안부’피해자들 ‘국정교과서 폐기’ 릴레이 행동 교육부가 지난달 31일 국정 역사교과서 최종본을 발표하며 현장검토본의 오류 등 760건을 수정·보완했다고 밝혔으나, 실제로는 최소 1천건 이상을 고치고도 오류를 축소 발표했다는 지적이 나왔다. 민족문제연구소는 “고교 <한국사> 국정교과서 최종본 5~7단원(164~298쪽)과 지난해 11월 공개된 현장검토본을 비교·분석한 결과, 교육부가 발표한 내용 외에도 312건이 추가로 수정된 사실을 확인했다”고 7일 밝혔다. 이 연구소 관계자는 “고교 교과서 중 일부만 분석한 결과가 이런데 고교 교과서 전체와 중학교 <역사1> <역사2>까지 포함하면 교육부가 고치고도 누락한 부분이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분석 내용을 보면, 교육부가 단순 오·탈자를 수정한 부분도 있지만, 단원 소제목을 바꾸거나 사실관계에 대한 서술을 고치고도 수정대조표에서 누락한 부분이 다수였다. 현장검토본에서 ‘새마을 운동의 전개’라는 소제목을 최종본에서 ‘새마을 운동과 산림녹화 사업’(270쪽)으로 고치고, ‘장면 내각의 수립(1960.8.23)’이란 사진설명을 ‘장면 내각의 1961년 국무 위원 시무식 기념사진(1961.1.1)’(262쪽)로 고친 것이 대표적이다. 이산가족 상봉을 설명하며 “2000년부터 2015년까지 ‘50000명’ 정도가 상봉의 기회를 얻을 수 있었다”고 한 부분도 ‘2만3천여명’(287쪽)으로 수정했다. 특히, 북한의 대남 도발을 설명하며 “서해 북방 한계선(NLL)을 북한이 세 차례 침범하여 다수의 희생자가 발생하였다”고 쓴 대목을 “북한은 서해 북방 한계선(NLL)을 침범함으로써 세 차례에 걸쳐 남북간 교전을 야기하였고, 다수의 희생자가 발생하였다”(288쪽)로 바로 잡았는데도 수정 사실을 밝히지 않았다. 연구소는 “사실관계를 고치고 문장을 완전히
『2017 통일문제 이해』, ‘대한민국 수립’ 표기 강행
통일부, “국정 역사교과서와 궤를 같이하기 위한 것” 통일부가 발간한 『2017 통일문제 이해』에 ‘대한민국 수립’으로 표기됐다. 정부가 국정 역사교과서를 통해 고착시키려는 대한민국 건국절을 각 분야로 확산시키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통일부는 7일 『2017 통일문제 이해』와 『2017 북한 이해』를 발간했다. 학교 현장에서 교사들이 통일교육을 하는 데 교재로 활용하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갖고 있다. 그런데 『2017 통일문제 이해』는 ‘남북의 분단과 대한민국의 발전’ 편에서 ‘대한민국 수립’이라고 표기했다. 그리고 “이승만 대통령은 정부를 구성하고 광복 3주기가 되는 1948년 8월 15일에 대한민국의 수립을 국내외에 선포했다”고 서술했다. 이는 국정 역사교과서가 ‘대한민국 수립’이라고 표기하고, “대한민국 정부가 구성됨으로써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법통을 계승한 대한민국이 수립되었다”라는 내용과 동일하다. 다만, 두 교재 모두 당시 사진의 설명은 ‘대한민국 정부 수립 국민 축하식’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통일부 관계자는 “『2017 통일문제 이해』의 대한민국 수립 표기는 국정 역사교과서와 궤를 같이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통일부의 ‘대한민국 수립’ 표기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2010년부터 발간한 『통일문제 이해』는 ‘대한민국 건국’이라고 표현했으며, 이번에는 ‘수립’으로 표현만 바꿨을 뿐이다. 여기에 『2016 통일문제 이해』는 김구와 김규식 등의 통일정부수립 노력을 담았지만, 이번에는 그마저도 빠졌다. 박한용 민족문제연구소 교육홍보실장은 “정부가 건국절을 일방적으로 밀어붙이면서 역사교과서를 중심으로 여러 방면의 책으로 확산시키면서 건국절이 모든 학계의 정설인 것처럼 호도하고 있다”고 우려했다. 그리고 “『2017 통일문제 이해』의 대한민국 수립 서술은 분단고착적 사고”라며 “용어도 사실과 부합하지 않지만,
[보도자료] 교육부 국정 고교 한국사 수정한 곳 300여건 축소해 발표
[보도자료] [다운로드] 교육부 국정 고교 한국사 수정한 곳 300여건 축소해 발표 지난 1월 31일 교육부는 ‘사실상’ 최종본이라는 국정교과서를 공개하면서 각계 의견을 수렴하여 760곳을 수정했다고 밝혔다. 이미 역사교육연대회의가 지적했듯이 수정 내용 대부분은 오․탈자, 띄어쓰기 등 단순한 표기 오류들이었다. 작년 현장검토본이 나왔을 때 역사학계가 오류로 적시했던 서술은 물론 모두 수정했다. 그런데 교육부가 수정 건수를 축소해 발표했음이 드러났다. 현장검토본과 최종본 국정교과서를 꼼꼼히 대조 분석중인 민족문제연구소는 근현대사에 해당하는 5장, 6장, 7장에서 특이점을 발견했다. 수정대조표에는 없는 무수히 많은 수정사항들이 눈에 띈 것이다. 교육부(국사편찬위원회)는 무려 312곳을 몰래 수정하고도 고의로 이를 집계에서 누락시켰다. 162쪽부터 295쪽에 걸친 책의 절반 가까운 분량에서 300여 개가 추가로 발견되었으니 드러난 것만 해도 국정교과서 최종본은 적어도 1000여 건이 넘는 수정을 거친 셈이다. 그 자체로 교과서가 얼마나 부실하게 제작되었는지를 자인한 것이다. 단순한 띄어쓰기, 오․탈자 수정 뿐 아니라 문장의 주어를 바꾸거나, 아예 문장 표현을 바꾼 사례도 있다. 심지어 소제목의 제목을 바꾸거나 사실 관계의 서술을 바꾸고도 수정대조표에서 빼기도 했다. 특히 ‘새마을 운동의 전개’라는 소제목을 ‘새마을 운동과 산림녹화 사업’으로 바꾼 것은 새마을운동 미화라는 비판을 의식한 것으로 보이지만 왜 이런 사실을 숨기려고 했는지 의문이며 거꾸로 산림녹화사업이라는 게 소제목에 들어갈 만큼 중요한지에 대해서는 이론의 여지가 있다. 띄어쓰기 수정은 44개나 집계에서 누락되었다. 중복으로 사용된 단어를 수정하면서 수정 쪽수를 모두 기재하지
진주 용산고개, 한국전쟁 민간인 학살유해 발굴
공동조사단, 4차 발굴지로 선정… 오는 24일 개토제 시작부터 발굴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학살지 유해 발굴이 재개된다. 7일 ‘한국전쟁기 민간인학살 유해발굴 공동조사단’은 오는 24일부터 3월 2일 사이 경남 진주시 명석면 용산리 산 241번지 일대에서 유해발굴조사를 벌인다고 밝혔다. 이곳은 지난 2014년 2월에 있었던 1차 발굴에 이어 두 번째로 진행되는 것이다. 1차 발굴 때는 유해 35구와 버클, 탄두, 탄피, 옷핀, 단추 등 82점의 유품이 나왔다. 2차 발굴지는 1차 발굴지 바로 옆에 있다.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학살지 유해발굴은 노무현정부 때 진행되다 이명박정부 들어 중단되었다. 이에 한국전쟁유족회와 4․9통일평화재단, 민족문제연구소,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 민주화운동정신계승국민연대, 역사문제연구소 등 단체들이 공동조사단을 구성해 2014년 출범했다. 공동조사단은 2014년 2월 경남 진주 명석면 용산고개(1차)에 이어 2015년 2월 대전 동구 산내 골령골(2차), 2016년 2월 충남 홍성 광천읍 담산리(3차)에 대한 유해발굴을 했고, 이번에 4차 발굴을 하게 되었다. 공동조사단은 진주 명석과 대전 낭월동, 경북 경주, 충북 아곡리를 대상으로 검토와 사전조사를 거쳐 이번에 4차 발굴지역을 선정했다. 이번 발굴단장은 박선주 충북대 명예교수(고고미술학)가 맡고, 안경호(총괄진행), 노용석·송장건(발굴팀) 위원 등이 맡는다. 오는 24일 발굴 시작을 알리는 개토제를 연 뒤, 곧바로 발굴작업에 들어가고, 3월 1일 현장설명회를 열 예정이다. 안경호 위원은 “그동안 세 차례 유해발굴이 후원과 시민들의 모금으로 성공리에 마칠 수 있었고, 이번에 4차 발굴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공동조사단은 지난 1차 발굴 때 나온 유해와
“국정교과서 최종본 ‘한국사’ 한 권에서만 오류 653개 발견”
ㆍ역사교육연대회의, 일부 공개 국정 역사교과서의 전체 오류는 대체 얼마나 될까. 역사교육연대회의가 국정 역사교과서 고교 <한국사> 최종본의 오류를 분석해 3일 일부를 공개했다. 중학교 <역사1> <역사2>를 제외하고 <한국사>에서 발견된 오류만 653개로, 역사교육연대회의는 이중 대표사례 29개를 선정해 자료를 배포했다. 오류는 고대사부터 현대사까지 다양했다. 폐기된 학설을 쓰거나 명칭, 날짜를 틀리는 등 기초적인 사실 오류가 많았다. 항일운동과 관련해 틀린 내용을 담거나 이승만·박정희 전 대통령을 미화하고 왜곡한 사례도 나왔다. 고교 <한국사> 최종본 18쪽에는 “한반도와 주변 지역의 신석기 문화는 시베리아의 북방 신석기 문화와 관계가 깊다. 특히 빗살무늬토기는 북방의 여러 지역에서 나타나는 토기와 비슷한 점이 많다”고 나온다. 연대회의는 “일제 관변학자들이 주장하고 한국고고학 초창기 시절에나 통용되던 말”이라고 밝혔다. 또 80쪽의 “후삼국 통일 이후 태조는 조세 감면을 실시했다”는 내용도 “고려 태조(왕건)가 조세 감면을 한 것은 건국(918년) 직후부터였기 때문에 틀린 기술”이라고 밝혔다. 교육부는 1948년을 ‘대한민국 수립’이라고 기술하고도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정통성을 부정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그러면서 임시정부의 활동은 틀리게 기술했다. 고교 <한국사>는 212쪽에 “임시정부는 김규식을 전권대사로 임명하고 파리 위원부를 설치해 임시정부의 승인과 한국의 독립을 위한 외교활동을 전개하도록 했다”고 썼다. 그러나 연대회의는 “임시정부가 김규식을 외무총장으로 임명했고 김규식이 파리 대표위원이기도 했지만, 전권대사로 임명되었다는 자료, 임시정부의 승인을 위해 활동했다는 자료는 없기에 추가 확인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항일운동 관련 기술도 틀렸다. 1929년 광주 학생 항일운동을 소개하며 222쪽에 “학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