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huge collection of 3400+ free website templates, WP themes and more http://jartheme.com/ at the biggest community-driven free web design site.

주요기사

“근현대사 비중 축소, 역사교육 장악·통제 의도”

2015년 5월 13일 366

박한용 실장 “독재 문제 제대로 가르치지 못하도록 하는 것” 【팩트TV】 2018학년도부터 적용되는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에서 근현대사 비중이 기존 50%에서 40% 로 줄어드는데 대해,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친일·독재 등을 미화한 교학사 역사교과서와 국정화 논란 이후에 또다시 현 집권세력이 역사전쟁을 선포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박한용 민족문제연구소 연구실장은 13일 “전체적으로 정치적 의도성이 강하고, 국가 역사 교육 장악과 통제라는 부분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고 지적했다.  박 실장은 이날 오전 CBS <박재홍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 “(지금 정부가 주장하는 것은) 근현대사에서 불리한 내용들이 많다. 근현대사들을 자기네 방향으로 가지 않는다면 줄여서라도 감축하겠다는 얘기가 아닌가”라며 이같이 말했다. 지난 2008년에도 MB정부는 다수의 한국근현대사 교과서에 대해 ‘좌편향 교과서’라면서 저자에게 수정명령을 지시하기도 했다. (사진출처-YTN 뉴스영상 캡쳐) “친일했던 사람이 건국 주역 된다는 논리도 정당하게 만들어주려는 것” 박 실장은 “뉴라이트와 이명박 정부는 현재 대한민국은 임시정부 보편성을 이어 받은 게 아니라 해방 이후 좌우 투쟁 속에서 찾는다는 식으로 얘기하고 있다. 그래서 (2008년)건국절을 제정하려고 하지 않았냐”면서 “이렇게 하면서 대한민국의 동맹 등이나 임시정부를 보편성과 분리시켰던 것이 교학사 교과서 파동이나 뉴라이트 파동이었다.”며 뉴라이트와 현 정부 세력의 역사왜곡 시도를 지적했다. 그는 이어 “이번 교과서 개정시안도 많은 학자들과 독립운동가, 유족들이 문제제기를 하고 있음에도 학습분량을 핑계대고, 이념논쟁으로 몰아가면서 독립운동을 축소시키고 임시정부가 제대로 다루어지지 않고 있다.”면서 “그렇게 되면 오늘날 우리나라는 독립을 통해서 이룬

애국지사 기념물 바로 옆에 친일파 기념물

2015년 5월 13일 497

ㆍ일제 찬양한 주요한 시비, 세종로 조선어학회 한글수호 기념탑 곁에 서울 광화문 정부서울청사 옆 세종로 공원 안쪽에 조선어학회 한글수호 기념탑이 서 있다. 지난해 8월 서울시가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희생된 애국선열들을 기리기 위해 세운 것이다. 이 탑에는 1942년 10월 조선어 사전을 펴내려 했다는 이유로 투옥된 33인의 이름과 한글을 지키려 했던 이들의 투쟁기가 적혀 있다. 기념탑 비문에 따르면 33인 중 2명은 옥사했고, 이극로 등 5명은 모진 고문을 받다가 해방이 되고 난 이후에야 풀려날 수 있었다. 탑에서 약 20m 떨어진 곳에는 일제 강점기 시절 시인이자 해방 이후 국회의원을 지낸 주요한의 시비가 서 있다. 한글학회에 따르면 현재의 조선어학회 기념탑 자리에 원래는 주요한 시비가 설치돼 있었다고 한다. 평범한 기념탑으로도 보인다. 앞면에는 주요한의 ‘빗소리’란 시가 적혀 있고 뒷면에는 그의 생애가 간략히 적혀 있다. 문제는 주요한이 일제 강점기 시절 ‘마쓰무라 고이치(松村紘一)’라는 이름으로 일제를 찬양하던 친일 시인이었다는 점이다. 애국지사의 기념물 바로 옆에 친일파의 기념물이 서 있다. 정부서울청사 옆 세종로 공원에 위치한 주요한 시비의 뒷면. 그의 친일 행적에 대한 설명은 빠져 있다. | 백철 기자 백선엽·김성수 등 4명 보훈처가 관리 일제 강점기 초기 주요한은 임시정부에서 활동하는 등 독립운동에 투신했으나 1937년 수양동우회 사건으로 체포된 뒤 친일파로 전향했다. 1942년 1월 발표한 ‘명기하라 12월 8일’은 1941년 12월 8일(일본 시간) 진주만 공습으로 태평양전쟁이 시작된 것을

제노사이드 진실을 좇는 사람들

2015년 5월 12일 922

“종교·인종청소 광기의 역사, 진실과 마주해야 상처 치유” “악을 숨기거나 부인하는 것은 상처를 지혈하지 않고 계속 피 흘리게 하는 것과 같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지난달 12일(현지시간) 아르메니아 학살 100주기 특별미사에서 참혹한 역사를 직시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20세기는 ‘학살의 100년’이었다. 1915∼1923년 오스만 제국(터키의 전신)에 의해 아르메니아인 최대 150만명이 떼죽음을 당한 것을 시작으로 1940∼1945년 제2차대전 중 나치 독일이 약 600만명의 유대인을 살해한 홀로코스트, 1994년 르완다 후투족이 경쟁관계의 투치족을 최대 100만명 학살한 사건 등 광기 어린 집단 살육이 꼬리를 물고 이어졌다. 역사학자 라파엘 렘킨이 제노사이드(genocide·집단학살)라는 용어를 만들 정도였다. 터키 아르메니아계를 대변하는 아고스지를 창간한 흐란트 딘크(왼쪽). 그의 조카인 마랄 딘크 아고스 기자. /슈피겔 제공 이에 유엔은 1948년 ‘민족, 인종, 종교, 국가 등 특정집단을 겨냥한 의도적이고 체계적인 학살행위를 금지한다’는 협약을 맺었다. 하지만 제노사이드는 계속됐다. 사담 후세인 이라크 정권은 1980년대 18만명 이상의 쿠르드족을 살해했고 1990년대 유럽 발칸반도를 휩쓴 민족·종교 갈등에 따른 무력충돌로 20만여명이 희생되기도 했다. 금세기도 지난 세기와 크게 다르지 않다. 중동에선 이슬람국가(IS)의 타 종파·종교인 학살이 자행되고 미국에선 흑백 갈등, 유럽·아프리카에선 제노포비아(외국인 혐오증)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큰소리치는 가해자, 침묵 강요받는 피해자 교황이 꼽은 3대 제노사이드의 진실을 규명하고 이를 세상과 후대에 전하기 위해 평생을 바친 사람들이 있다. 고통스러운 기억을 감내해야 하는 이들은 “지난 상처를 괜히 헤집지 말라”는 주변의 만류와 “증거를

독일과 일본의 과거사 그림자, 그리고 야스쿠니의 망령

2015년 5월 11일 472

베를린서 한·일·독 정치인·학자·시민단체 종전기념 大토론 (베를린=연합뉴스) 고형규 특파원 = 그들은 꼬박 열 시간 동안 한 자리를 지켰다. 흐트러짐 없이 군국주의 파시즘과 나치즘의 광기 어린 과거사와 마주하면서다. 그 과거는 오늘의 일본을 비추는 거울이자 내일로 향하는 독일이 경계를 늦출 수 없는 너울이다. 독일 신사회미술협회(nGbK) 주최로 베를린에 있는 이 단체 건물에서 7일(현지시간) 열린 세미나 주제는 ‘야스쿠니 신사의 독일 참나무’였다. 토론자로 나선 한국, 일본, 독일의 정치인, 학자, 비정부기구(NGO) 활동가와 교포 등 청중 90여 명에게도 낯선 타이틀이었다. 범상치 않은 이 제목은 1970년 당시 요한네스 슈타인호프 독일 공군 중장이 선물한 야스쿠니 경내 식수에서 연원했다. 독일 해군은 야스쿠니 신사를 참배하고서 야스쿠니의 은행나무 묘목 세 그루를 가져와 킬 군항의 높이 85m 위령탑 옆에 심었고, 그 답례로 참나무를 일본에 줬다. 나치에 앞장서 충성하고도 전후에 출세를 거듭한 장성이 선물한 나무가 야스쿠니 안에 심어진 것이다. 토론회에서 발제하는 이희자 대표 (베를린=연합뉴스) 일반인들에게는 거의 알려지지 않은 이 이야기는 이날 토론회의 부제 ‘종전 70주년 그리고 동아시아와 유럽의 끝나지 않은 과거의 그림자’를 보여주는 생생한 사례다. 이 예화를 들려준 즈시 미노루 ‘야스쿠니 불행에 저항하는 평화의 빛’ 공동대표는 작년 8월 15일 야스쿠니 경내에 전쟁 시기 나치 군복 차림으로 하켄크로이츠(나치 상징) 깃발을 든 일본인 코스플레이어가 등장한 사실도 꺼냈다. “나치를 위령하러 왔다”고 한 그를 야스쿠니신사는 쫓아내지 않았다는 점에 그는

[재판으로 본 현대사](31) 김재규의 10·26 사건 (上)

2015년 5월 11일 944

ㆍ‘궁정동 총격’ 내란살인죄 기소된 김재규 “민주주의 회복 목적” ■ 헬기에 놀란 사슴의 횡사 박정희 대통령이 1979년 10월26일 오후 7시50분, 김재규 중앙정보부장이 쏜 총탄에 맞아 사망했다. 궁정동 안가 정보부 식당에서 박 대통령과 김 부장, 김계원 대통령 비서실장, 차지철 대통령 경호실장이 만찬을 하던 자리에서 일어난 사건이었다. 그때 김 부장과 차 실장 사이에 언쟁이 벌어졌고, 김 부장이 차 실장과 박 대통령에게 연달아 권총을 발사하여 두 사람을 사망케 하였다. 대통령의 궐위에 따라 최규하 국무총리가 그 권한대행에 취임했으며, 27일 오전 4시를 기해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에 비상계엄이 선포되었다. 이것이 사건 다음날 아침 7시20분, 김성진 정부 대변인이 발표한 세칭 ‘김재규 사건’ 또는 ‘10·26 사건’의 줄거리였다. 운명의 그날 오전 10시, 박 대통령은 충남 아산만에서 열린 삽교천 방조제 준공식에 참석했다. 이어 오찬 장소로 예정된 도고호텔 마당에 박 대통령이 탄 헬기가 내릴 때, 마당 한구석의 사슴 우리 안에 있던 사슴들이 놀라서 벽에 마구 부딪치다가 그중 한 마리가 죽는 흉사가 일어났다. 불길한 징조였다. (당시 동행했던 동자부 장관 이희일의 회고. <비록 한국의 대통령>, 조선일보사, 1993) 서울에선 또 이런 일도 있었다. 사건이 나던 그날, 대통령 정무 제2수석비서관이던 고건은 청와대 사무실에 남아 있었다. 박 대통령이 돌아온 뒤 별 지시사항이 없자 청와대 본관을 걸어 나오는데, 길모퉁이에 있는 큰 백합나무 위로 갑자기 회오리바람이 불더니 나뭇잎이 떨어져

동학혁명에서 경상도 역할은”…영남대서 학술대회

2015년 5월 9일 389

조선 후기에 유림 영향력이 막강했던 경상도 일대에서 동학을 창시하고 전파한 과정을 밝히고 그 의미를 되돌아보는 학술대회가 열린다. 동학학회는 오는 15일 영남대 법학전문도서관에서 ‘동학의 글로컬리제이션:대구 감영과 1894년 경상도 지역 동학농민혁명’을 주제로 학술대회를 개최한다. 동학농민 혁명사에서 대구와 경상감영이 차지하는 역사적 위상을 사료 연구로 실증적으로 밝힘으로써 한국 근대사 발전 과정에서 경상도 지역이 기여한 바를 규명하자는 취지로 마련했다. 이이화 전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이사장이 ‘영남지역 동학농민 혁명과 한국 근대사회 변화’를 테마로 기조 강연을 한다. 이어 서울대 이상면 교수, 경희대 임형진 교수, 충북대 신영우 교수 등 역사학, 정치학, 종교학, 철학, 국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 동학 관련 전문가들이 주제 발표를 하고 토론을 벌인다. 최민자 동학학회 회장은 “이번 학술행사는 한국 근대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경상도 동학농민 혁명의 의의와 가치를 21세기 글로컬 시대 시각으로 재조명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2015-05-07> 한국대학신문 ☞기사원문: “동학혁명에서 경상도 역할은”…영남대서 학술대회

함세웅 신부, ‘민주와 통일을 말하다’ 특강

2015년 5월 9일 323

“안산과 팽목항을 광주와 함께 민족의 구원과 정화를 위한 성지로 만들어야 한다.” 함세웅 신부(안중근기념사업회 이사장)의 말이다. 함 신부는 7일 저녁 안산시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안산통일포럼 주최 평화통일지도자과정 ‘남북의 화해와 민주주의 실현을 위한 실천과제-민주와 통일을 말하다’ 제목의 특강에서 “세월호 참사는 민족사에서 순교의 의미가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 함세웅 신부가 7일 저녁 안산시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안산통일포럼 주최 평화통일지도자과정에서 ‘남북의 화해와 민주주의 실현을 위한 실천과제-민주와 통일을 말하다’를 주제로 특강을 하고 있다. ⓒ안산통일포럼 ▲ 함세웅 신부의 특강이 끝난 뒤 평화통일지도자과정 수강생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안산통일포럼 평화통일지도자과정은 다음달 18일까지 매주 목요일 열린다. 5월 14일엔 ‘미중 패권경쟁, 한반도 어디로 가나?’를 주제로 김종대 디펜스21플러스 편집장이 강의를 한다. <2015-05-07>유코리아뉴스 ☞기사원문: 함세웅 신부, ‘민주와 통일을 말하다’ 특강

韓日獨 NGO “징용시설 유산 등재땐 어두운 역사도 기록해야”

2015년 5월 9일 800

ㅣ세계유산 등록 유력한 하시마 (서울=연합뉴스) 조선인 강제징용의 한이 서린 일본 산업시설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록이 유력해졌다. 사진은 미쓰비시 해저 탄광이 있던 하시마(端島.일명 ‘군함도’). (출처:위키피디아 ) 세계유산위 의장에 의견서 보내…민간 첫 국제연대 대응 “기념비·위령비 건립 등 필요”…독일서 전시회·집회도 계획 (베를린=연합뉴스) 고형규 특파원 = 한국, 일본, 독일의 비정부기구(NGO) 활동가와 학자 등 민간 인사들은 8일(현지시간) 일본 정부가 조선인 강제노동 현장이 포함된 일본 산업시설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하려는 것과 관련해 독일인인 마리아 뵈머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WHC) 의장에게 어두웠던 역사도 함께 보존하고 기억해야 한다는 내용의 의견서를 보냈다. 이희자 태평양전쟁피해자보상추진협의회 공동대표, 서 승 일본 리쓰메이칸대 석좌교수, 한정화 독일 코리아협의회 대표 등 ‘야스쿠니반대촛불행동’ 관계자 9명은 이날 오전 독일 외교부를 방문해 뵈머 의장 앞으로 보내는 이런 내용의 서한을 동아시아 담당관에게 전달했다. 이들은 전날 ‘야스쿠니반대독일촛불행동’ 주도의 세미나 참석자 50여명의 서명을 곁들인 의견서에서 “하시마 탄광, 미쓰비스 조선소, 일본제철 등은 근대 일본이 주변국을 침략해 식민지와 점령지 주민들을 노예적 상태로 만드는 일에 경제 방면에서 핵심적 역할을 했던 전범기업이고, 식민지 조선의 주민 6만여 명과 중국인 노동자 등을 강제동원해 노예노동에 가까운 인권 침해를 한 역사적 사실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그러나 일본 정부가 이런 사실을 삭제한 채 ‘메이지 시대 산업혁명 유산’이란 미명 하에 편법을 사용해 세계유산으로 등재하려는 것은 강제동원·강제노동의 피해자는 물론 유네스코의 창립정신을 기만하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의견서는 “우리는

[김호기·박태균의 논쟁으로 읽는 70년](5) 친일파 논쟁

2015년 5월 7일 793

ㆍ제때 해결 못한 친일파 청산… ‘민족 문제’가 ‘정치 논쟁’으로 ㆍ박정희 정권 땐 금기어 80년대 ‘해전사’로 촉발 식민지근대화론과 연결 해방 70년간 해결 못해 ㆍ사실 규명·정의 실현 차원…친일파 문제 똑바로 봐야 해방 70년 동안 한국 사회의 가장 뜨거운 이슈 중 하나는 ‘친일파’ 문제이다. 1945년부터 시작돼 7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논쟁이 계속되고 있으니 말이다. 식민지 잔재를 청산하고 제국주의의 통치와 전쟁에 협력한 사람들을 정치무대에 다시 서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는 사실을 설명하는 것은 국민들에게 화사첨족(畵蛇添足)일 것이다.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기 이전인 1947년 우익과 중도파 정치인들로 구성되었던 남조선과도입법의원은 ‘민족반역자, 부일협력자, 전범, 간상배에 대한 특별법’을 제정했고, 대한민국은 헌법에 근거해 1948년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반민특위)를 조직했다. 미 군정도 1946년 소위 ‘추수폭동’이 부일 경력을 가진 경찰의 쌀수집으로 인해 일어났다는 점을 인정할 정도로 친일잔재 척결은 광복 후 한국 사회가 해결해야 할 가장 중요한 과제였다. 하지만 모든 노력은 수포로 돌아갔고, 친일파 척결의 상징이었던 김구마저도 ‘빨갱이’라는 소리를 들으며 안두희의 총탄에 쓰러졌다. 일본 제국주의에 협력했던 인사들이 다시 정부의 요직에 올랐다. 일본 왕에게 충성했던 경찰과 군인들이 다시 한국 사회를 지배하고 있다는 것을 누구나 알고 있었지만, 역설적이게도 역사학이나 정치학이 아닌 문학 전공의 선구적인 연구자 임종국이 1966년 <친일문학론>을 출간할 때까지 ‘친일’이라는 용어의 사용은 금기시되었다. ㅣ1949년 반민특위에 체포돼 압송되고 있는 경성방직 사장 김연수(가운데)와 ‘3·1 독립선언문’에 서명한 민족대표 33인 중 한명인 최린. ㅣ?1907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