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기사
[강원/중부권] 한눈에 보는 교육감 후보자 역사교육 관련 정책질의 답변
2014 교육감선거 후보에 대한 역사교육 관련 정책질의서 답변 결과 PDF 내려받기
[수도권] 한눈에 보는 교육감 후보자 역사교육 관련 정책질의 답변
2014 교육감선거 후보에 대한 역사교육 관련 정책질의서 답변 결과 PDF 내려받기
서정주, 친일은 하늘뜻에 따랐다?
▲ 가미카제 특공대원들. 서정주는 이 특공대원으로 죽어간 조선청년을 찬양하는 ‘송정오장 송가’를 썼다. ▲ ‘송정오장 송가’가 실린 <매일신보>( 1944. 12. 9.) ▲ 서정주(1915~2000) 서정주(徐廷柱, 1915~2000)는 적어도 이 나라에서는 ‘시인’을 대표하는 이름이다. 그의 서정시가 이른 성취는 곧 한국 현대시의 성취라고 해도 지나치지 않을 만큼. 교과서마다 다투어 그의 시를 싣고, 지역의 나이 지긋한 시인들 가운데 상당수가 그의 추천을 받아 문단에 나온 그의 제자들이다. 진보 문학 진영의 원로 고은도 그의 제자다. 그는 첫 시집 <화사집>(1941) 이래 <귀촉도>(1946), <시선>(1955), <신라초>(1960), <동천>(1968), <질마재 신화>(1975), <늙은 떠돌이의 시>(1993) 등 여러 권의 시집을 펴내면서 가히 ‘시선(詩仙)’의 지위를 얻은 듯하다. 그는 마치 우리 현대시단의 살아 있는 ‘표준’ 같은 존재로 보이기도 했다. 서정주는 ‘화사집’ 시대, ‘귀촉도’ 시대, ‘동천-신라초’ 시대 등으로 명명된 개인의 시사(詩史)가 버젓이 고교 교과서에 오를 만큼의 지위를 지닌 흔치 않은 시인이었다. 초기의 ‘악마적이고 원색적인 시풍’에서 ‘동양사상’과 ‘불교와 토착적 전통의 융화’를 거쳐 ‘우주와 공감할 수 있는 시적 깊이’까지 이른 미당 시세계의 변천은 그대로 우리 현대시사의 주요 흐름의 일부였던 것이다. 서정주의 시를 본격적으로 만나게 된 것은 고교 시절이다. 형이 사 온 민음사판 얄팍한 미당 시집이 있었는데 제목은 정확히 기억나지 않는다. 책머리에는 “스승의 시는 한 편도 뺄 수 없다”는 엮은이 고은 시인의 글이 실려 있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고은은 70년대에 민중시를
교학사 채택률 0.1%… 보수 교육감 후보들 “문제없다”?
역사정의실천연대, 전국 교육감 후보 72명 대상 정책질의서 결과 발표 전국 각 분야 465개 단체로 구성된 ‘친일·독재미화와교과서개악을저지하는 역사정의실천연대(아래 역사연대)’가 지난 29일 교육감 후보들에게 보낸 역사교육과 관련한 정책질의서에 대한 답변을 분석해 발표했다. 분석 결과, 보수적인 성향의 일부 후보들은 교학사 교과서 검정 통과에는 문제가 없으며, 한국사교과서 발행이 국정제로 가야 한다는 입장을 보였다. 반면, 진보성향의 교육감 후보들은 대체로 한국사 교과서 발행체제와 관련해 검정제에서 나아가 검인정제와 자유발행제로 전환하자는 입장을 보였다. 또 역사교육을 정상화하기 위한 정책으로 지역 특수 상황을 반영하는 현장 중심적인 교육안을 제시했다. 교학사 교과서 채택률 0.1%였는데, 보수 교육감 후보들 “문제없다“?역사연대는 지난 5월 21일 교육감 후보 등록을 마친 전국 총 72명의 후보들에게 ▲ 교학사 한국사 교과서의 검정통과 논란 ▲ 교육부의 한국사 교과서 발행 체제 방안 논란 ▲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 방안 ▲ 역사교육 정상화 정책 방안 등 역사교육과 관련한 4가지 항목에 대한 공개 질의서를 발송했다. 지난해 교학사 교과서 검정통과 논란으로 역사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상황에서도 단 31명의 후보만이 답변을 했다(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 참고). 서울교육감 후보 중에서 고승덕·문용린·이상면 후보는 응답하지 않았고, 조희연 후보만이 답변을 보내왔다. 경기 지역에서는 김광래·이재정·정종희 후보가 답했으며, 가장 많은 7명의 후보자가 나온 부산에서는 김석준, 신현철, 최부야 후보가 답변했다. 응답한 후보들 중 77%가 교학사교과서 검정통과가 “문제가 많다“고 판단했다. 대부분의 후보들이 수많은 오류와 친일독재를 옹호하는 관점을 지니고
교학사 채택률 0.1%… 보수 교육감 후보들 “문제없다”?
역사정의실천연대, 전국 교육감 후보 72명 대상 정책질의서 결과 발표 전국 각 분야 465개 단체로 구성된 ‘친일·독재미화와교과서개악을저지하는 역사정의실천연대(아래 역사연대)’가 지난 29일 교육감 후보들에게 보낸 역사교육과 관련한 정책질의서에 대한 답변을 분석해 발표했다. 분석 결과, 보수적인 성향의 일부 후보들은 교학사 교과서 검정 통과에는 문제가 없으며, 한국사교과서 발행이 국정제로 가야 한다는 입장을 보였다. 반면, 진보성향의 교육감 후보들은 대체로 한국사 교과서 발행체제와 관련해 검정제에서 나아가 검인정제와 자유발행제로 전환하자는 입장을 보였다. 또 역사교육을 정상화하기 위한 정책으로 지역 특수 상황을 반영하는 현장 중심적인 교육안을 제시했다. 교학사 교과서 채택률 0.1%였는데, 보수 교육감 후보들 “문제없다“? 역사연대는 지난 5월 21일 교육감 후보 등록을 마친 전국 총 72명의 후보들에게 ▲ 교학사 한국사 교과서의 검정통과 논란 ▲ 교육부의 한국사 교과서 발행 체제 방안 논란 ▲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 방안 ▲ 역사교육 정상화 정책 방안 등 역사교육과 관련한 4가지 항목에 대한 공개 질의서를 발송했다. 지난해 교학사 교과서 검정통과 논란으로 역사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상황에서도 단 31명의 후보만이 답변을 했다(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 참고). 서울교육감 후보 중에서 고승덕·문용린·이상면 후보는 응답하지 않았고, 조희연 후보만이 답변을 보내왔다. 경기 지역에서는 김광래·이재정·정종희 후보가 답했으며, 가장 많은 7명의 후보자가 나온 부산에서는 김석준, 신현철, 최부야 후보가 답변했다. 응답한 후보들 중 77%가 교학사교과서 검정통과가 “문제가 많다“고 판단했다. 대부분의 후보들이 수많은 오류와 친일독재를 옹호하는 관점을 지니고 있는 교과서가 검정을 통과한 것에 대해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응답한 후보 중 경북교육감 이영우 후보, 부산교육감의 신현철·최부야 후보, 울산교육감 김복만 후보는 교학사교과서 검정 통과가 ‘문제 없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이영우 후보는 “교학사 교과서가 국가의
민족문제연구소, 강모씨 등 5명 선거법위반 고발
body,table,td,input,select,textarea{font-family : verdana,굴림;font-size :9pt;line-height : 140%;}img{border : 0;}A:link {text-decoration:none; color:black;}A:visited {text-decoration:none; color:black;}A:hover { text-decoration:none; color:#3E8FFC;}P{margin-top:2px;margin-bottom:2px;} [신문고] 이계덕 기자 = 민족문제연구소는 연구소를 반국가단체 종북좌경단체로 규정하고 박원순 서울시장 후보가 연구소를 설립하였다는 등의 허위사실을 유포한 강모 씨 등 5명을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서울중앙지검에 고발했다고 29일 밝혔다. 민족문제연구소에 따르면 “최근 네거티브 선거운동이 노골화하고 있는 가운데 일부 극우세력의 연구소에 대한 비방 증상이 도를 넘었다고 판단하고 적극적으로 법적 대응에 나서기로 결정했다“며 “민족문제연구소가 강경 대응에 나서게 된 것은 최근 지방선거 과정에서 특정인을 낙선시키려고 연구소를 악용하는 심각한 상황이 일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연구소의 직책을 단 한 번도 맡은 적이 없음은 물론 방문한 사실조차 없는 박원순 서울시장 후보를 연구소 설립자로 포장해 흠집을 내려 기도하고 있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민족문제연구소 관계자는 연구소 “정치와 무관한 역사연구단체를 선거에 악용하는 이러한 행태를 두고 볼 수만은 없다.”면서 “우리 연구소의 정체성은 물론 사회 기강을 위해서도 ‘아니면 말고’식의 모략행위를 근절시키기 위해 모든 수단을 강구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민족문제연구소는 이른바 우파 논객 등을 비롯한 일부 네티즌들이 전혀 근거 없는 거짓 내용을 인터넷에 퍼뜨려 연구소의 명예와 신뢰도를 크게 훼손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연구소를 빨갱이 또는 좌파의 총본산이라고 색깔론으로 비하하거나 『친일인명사전』을 용공으로 매도하면서 박정희의 만주군관학교 지원 충성혈서를 조작이라고 강변하는 등 허위사실을 인터넷에 대대적으로 유포하고 있다고 사례를 공개했다. 연구소는 ‘박정희 혈서
[보도자료] 민족문제연구소 허위사실유포자 선거법위반 고발, 박정희혈서조작설에도 적극 대응
[보도자료] 민족문제연구소 허위사실유포자 선거법위반 고발박정희혈서조작설에도 적극 대응 민족문제연구소는 29일 연구소를 반국가단체 종북좌경단체로 규정하고 박원순 서울시장 후보가 연구소를 설립하였다는 등의 허위사실을 유포한 강모 씨 등 5명을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서울중앙지검에 고발했다. 최근 네거티브 선거운동이 노골화하고 있는 가운데 일부 극우세력의 연구소에 대한 비방 중상이 도를 넘었다고 판단하고 적극적으로 법적 대응에 나서기로 결정한 것이다. 민족문제연구소가 강경 대응에 나서게 된 것은 최근 지방선거 과정에서 특정인을 낙선시키려고 연구소를 악용하는 심각한 상황이 일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연구소의 설명에 따르면 연구소의 직책을 단 한 번도 맡은 적이 없음은 물론 방문한 사실조차 없는 박원순 서울시장 후보를 연구소 설립자로 포장해 흠집을 내려 기도하고 있다는 것이다. 연구소 관계자는 “정치와 무관한 역사연구단체를 선거에 악용하는 이러한 행태를 두고 볼 수만은 없다.”고 말하면서 “우리 연구소의 정체성은 물론 사회 기강을 위해서도 ‘아니면 말고’식의 모략행위를 근절시키기 위해 모든 수단을 강구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민족문제연구소는 이른바 우파 논객 등을 비롯한 일부 네티즌들이 전혀 근거 없는 거짓 내용을 인터넷에 퍼뜨려 연구소의 명예와 신뢰도를 크게 훼손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연구소를 빨갱이 또는 좌파의 총본산이라고 색깔론으로 비하하거나 『친일인명사전』을 용공으로 매도하면서 박정희의 만주군관학교 지원 충성혈서를 조작이라고 강변하는 등 허위사실을 인터넷에 대대적으로 유포하고 있다고 사례를 공개했다. 연구소는 ‘박정희 혈서 조작설’ 유포는 “객관성과 공정성을 생명으로 하는 학술연구기관의 신인도를 실추시키는 범죄행위”라고 비판하면서 “『친일인명사전』 발간 때 이미 법적
이순신 장군 초상화 어디로 갔을까
ㆍ일제 강점기 때 네 곳에 있던 초상화 국외반출·행방불명으로 사라져 일제 강점기까지 우리나라에는 네 곳 이상의 이순신 장군 사당에 오래된 초상화가 걸려 있었다. 여러 기록을 종합해 볼 때 통영 제승당과 여수 충민사, 아산 현충사, 여수 장군 영당에 오래 전부터 전해내려온 이순신 장군 초상화가 있었다. 하지만 이 초상화는 일제시대를 거치면서 모두 사라졌다. 현존하는 이순신 장군 초상화는 일제시대 이후 유명 화가들이 자료를 참고해 그렸거나 아니면 오래됐지만 출처가 불분명한 초상화 한 점(동아대 박물관 소장)뿐이다. 그리고 사라진 초상화의 사진이 겨우 존재하고 있다. 일제시대에 없어진 이순신 전래 초상화는 어디로 사라진 것일까? 여수 장군 영당(해신당)에 전해 내려왔던 이순신 장군 초상화는 <한국문화택리지 전남 동부>에 의하면 1943년 당시 여수경찰서 김차봉 형사부장이 가져간 것으로 기록돼 있다. 국사편찬위원회 소장 <내고장의 문화재(영당편)>에도 이 내용이 나오고 있다. 일제가 장군 영당을 훼손할 때 두 개의 초상화는 소각되고 두 개의 초상화만 개인이 빼돌렸다. 김차봉 형사부장이 가져간 이순신 초상화의 행방은 이때부터 묘연해졌다. 기록에 의하면 1960년대에 문교부에서 이순신 진영을 통일할 때 이 초상화가 가장 적합하다고 결정했다. 당시 제주시장이었던 김차봉 시장에게 연락해 확인했으나 골동품점에 매각했다고 한다. 이 기록들을 발굴 확인한 박종평 이순신 연구가는 “친일반민족행위 진상규명 보고서나 친일인명사전에 보면 김차봉이란 이름이 등장한다”면서 “해방 후 고향이었던 제주도로 가서 경찰 간부가 되었다”고 설명했다. 김차봉 전 시장은 이후 1960년과 1961년 제3대와 제4대
[2014.05.28] 장면정부와 민주혁명의 대충적 진출
라디오백년전쟁: [[05.28] 장면정부와 민주혁명의 대중적 진출] ☞[팟빵]: http://www.podbbang.com/ch/6647?e=21410050 ☞[다운]: http://file.ssenhosting.com/data1/guitarkirk/140528bns.mp3
[한국군 코멘터리]유명화가 작품들 걸린 ‘국방부 컬렉션’
국방부에는 유명 화가의 작품들이 꽤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화가들의 군을 묘사한 작품을 국무위원들 차원에서 구입해 전달했거나, 유력 인사들이 소장하고 있던 작품을 기증한 것들이다. 일반인들에게 잘 알려져 있지는 않지만 군에는 대작 미술품이 꽤 많다. 컬렉션이 그림이나 조각과 같은 미술 수집품의 의미라면 ‘국방부 컬렉션’으로 부를 만하다. 서울 용산구 국방부 신청사 1층 현관 정면에는 운보 김기창 화백(1914~2001)의 ‘적영’이란 그림이 걸려 있다. 적영(敵影)은 한자로 ‘적의 그림자’라는 뜻이다. 이 작품은 크기가 가로 2m, 세로 3m 정도로 한국군 부대의 베트남 파병 이후 가장 치열한 전투였던 베트남 638고지 전투, 일명 ‘안케 고개’ 전투를 묘사한 작품이다. 실제 그림을 보면 밀림을 뚫고 포복하면서 전진하는 맹호부대 장병들의 눈이 번뜩이고 있다. 그림 문외한이 봐도 한국군 장병의 눈에서 뿜어져 나오는 소위 ‘안광’이 일품이다. 한국과 베트남이 수교한 이후 베트남 국방장관이 첫 방한했을 당시 국방부는 잠시 고민에 빠졌다. 혹시라도 베트남 국방장관이 이 그림에 관심을 가지면 어떡하나 하는 고민이었다. 그림을 아예 치우기에는 부담스러웠던 국방부가 짜낸 아이디어는 작품의 배경을 설명한 ‘제목 동판’을 눈에 잘 보이지 않게 하는 것이었다. 지금도 동판 위에 새겨진 작품 설명은 자세히 보지 않으면 읽기가 쉽지 않다. 고 운보 김기창 화백의 1972년 작품 ‘초연’. | 공군 제공 운보는 1972년 6월 14일부터 7월 4일까지 베트남을 방문한 후 ‘월남전쟁기록화전’에 이 그림을 출품했다. 그리고 당시 국무위원들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