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huge collection of 3400+ free website templates, WP themes and more http://jartheme.com/ at the biggest community-driven free web design site.

주요기사

“재판장님, 친일 김백일 동상 철거하게 해주세요”

2013년 1월 16일 963

거제시민단체연대협의회, 부산고법 재판부에 탄원서 제출거제시민들이 ‘친일’ 김백일(1917~1951) 동상을 철거하도록 해달라며 법원에 탄원서를 냈다. 15일 거제시민단체연대협의회는 13명의 거제시의원을 비롯해 시민들이 서명한 탄원서를 부산고등법원 창원재판소 제1행정부(재판장 김필곤)에 낼 것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김백일 동상 철거 명령 처분사건과 관련해 시민들의 의지를 모아 동상철거명령과 철거대집행계고처분이 적법하게 지켜지기를 기대한다”며 탄원했다. 시의원과 시민단체 대표, 시민 등 300여명이 서명했고, 이들은 추가로 서명을 받을 예정이다. 이들은 탄원서에서 “김백일은 일제강점기 항일독립운동가를 탄압하고 무고한 민간인을 잔혹하게 학살하여 악명을 떨친 간도특설대 출신으로, 일제의 민족 말살 정책에 적극 협력하여 훈장까지 받은 친일반민족행위자”라고 밝혔다. ▲  거제 포로수용소 유적공원 안에 있는 김백일장군 동상 옆에 거제시시설관리공단은 ‘CC-TV 촬영중’이라는 안내문을 설치해 놓았다. ⓒ 윤성효 관련사진보기 이어 “민족의 혼이 서려있는 역사의 고장 거제에 김백일 동상이 건립하게 된 것은, 본래 강원도 속초에 건립하고자 했던 계획이 친일반민족행위자 동상건립을 반대하는 시민들에 의해 무산되었던 것을 난데없이 충절의 고장 거제에 건립되는 어처구니없는 일이 벌어졌다”고 덧붙였다. 1심에서는 동상을 세웠던 흥남철수기념사업회가 승소했는데, 이에 대해 탄원인들은 “거제시의 안일한 행정처리과정에서 빚어졌다는 점을 인정하지만, 기념사업회측 또한 이에 대한 상당한 책임을 면하기 어렵다고 여겨진다”며 “김백일이 친일행적을 이유로 이미 속초에서 동상 건립 시도가 무산된 바, 김백일에 대한 다면적이고 정확한 정보가 거제시와 거제시민에게 제공되었을 경우, 거제시의 김백일 동상 건립 승인은 어려웠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거제시민의 정서를 고려해 본다면 동상이 세워지기 전 상황에서는

급기야 고려대 앞에서 실제 결투가…

2013년 1월 15일 613

<한국일보>2013-1-15 [기사원문보기] 급기야 고려대 앞에서 실제 결투가…

日 아베·하시모토 ‘극우 회담’-헌법개정 등 공모 방안 논의

2013년 1월 11일 362

일본의 아베 신조 총리가 우익공약 실행을 가속화하고 있다. 오는 7월 참의원(상원) 선거를 앞두고 같은 우익 성향의 하시모토 도루 일본유신회 대표대행과 연대를 모색하는 등 ‘우익 지원군’을 규합하는 양상이다. 일부 우익인사들은 “집단적 자위권 행사를 서두르라”며 아베의 우익 공약 실행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아베 총리는 11일 오사카를 방문, 하시모토 시장과 공조 방안을 논의한다. 자민당과 일본유신회는 헌법 개정과 집단적 자위권 행사, 국방력 강화, 교육개혁 등에서 비슷한 정책을 내세우고 있다. 지난해 말 중의원(하원) 선거에서 자민당은 294석을 얻어 집권했고, 일본유신회는 54석을 확보해 민주당(57석)에 이어 제3당의 지위를 차지했다. 양당의 의석수를 합하면 중의원 의석의 3분의2(320석)가 넘는다. 참의원 선거에서 양당이 3분의2 이상의 의석을 확보하면 개헌을 발의할 수 있게 된다. 아베 정권은 먼저 헌법 96조를 고쳐 ‘중의원과 참의원 3분의2 찬성’으로 규정한 현행 헌법개정 발의 요건을 ‘중의원과 참의원 2분의1 찬성’으로 완화한 뒤 전쟁과 군대 보유를 금지한 평화헌법(헌법 9조)을 개정해 국방군을 보유할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일본 정부는 다음 주부터 미국과 ‘미·일 방위협력을 위한 지침’(이하 방위협력지침) 개정 작업을 시작한다. 오는 16일 도쿄에서 양국의 외교·국방 담당자가 참석한 가운데 방위협력지침 개정 협의에 나선다. 방위협력지침은 일본이 공격받는 경우 자위대와 미군의 역할 분담을 명시한 문서로 유사 시 양국군의 협력 ‘매뉴얼’이다. 최대 관심사는 아베 총리가 추진하는 집단적 자위권 행사의 용인 문제이다. 아베 총리는 동맹국인 미국이

“박근혜 기준은 박정희 명예 회복…역사 전쟁 벌일 것”

2013년 1월 10일 478

[새해 연속 인터뷰 ②] 안병욱 전 진실화해위원장 김덕련 기자,남빛나라 기자 2013년 새해가 밝았다. 이명박 정권이 막을 내리고 박근혜 정권이 닻을 올릴 날이 머지않았다.박근혜 당선인은 18대 대선 과정에서 이명박 정부의 실정을 비판했다. ‘박근혜 당선은 이명박근혜 정권의연장‘이라는 비판에 강한 거부감을 보이며 선을 그은 것이다. 하지만 ‘박근혜 정권이 이명박 정권과 본질적으로 다른 모습을 보일까’ 하는 세간의 의문은 사라지지 않고 있다.이명박 정권이 남긴 과제를 박근혜 정권이 얼마나 진정성 있게 풀어갈 것인지가 이 문제를 바라보는 중요한 기준이 될 것이다. <프레시안>은 언론, 역사, 노동의 세 주제를 중심으로 이 사안을 짚어보고자 한다. 말의 길을 열고, 과거사의 진실을 규명해 국민의 억울함을 풀어주며, 벼랑 끝에 내몰린 노동자에게 살길을 마련해주지 않는다면 박근혜 정권 역시 민주주의를 후퇴시킨 이명박 정권과 같은 길을 갈 수 있기 때문이다. <편집자> 새해 연속 인터뷰① MB에게 맞선 언론인 5인 “박근혜, 또 부역자 보내면…” 대통령 딸의 대통령 당선. 한국 현대사에서 처음 있는 일이다. 2012년은 그렇게 막을 내렸다. 박근혜 후보 당선 후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고 있다. 걱정스런 목소리가 나오는 대목 중 하나가 과거사 문제다. 박 당선인의 과거사 인식은 대선 과정에서도 여러 차례 논란이 됐다. 이 점은 부친인 박정희 전 대통령과 관련된 문제에서 두드러지게 드러났다. 박 전 대통령은 역사에 남긴 발자취의 강렬함만큼이나 찬반 여론이 확연히 갈리는 인물이다. 박 당선인이 청와대의 주인으로 정해지기 전에도 논란의 대상이었다. 논란은 박근혜

[보도자료]민족문제연구소 제4대 이사장으로 함세웅 신부 추대

2013년 1월 10일 1369

  민족문제연구소 제4대 이사장으로 함세웅 신부 추대 민족문제연구소는 10일 이사회와 운영위원회 비상연석회의를 열고 신임 이사장으로 함세웅 신부를 선출했다. 초대 이돈명 변호사, 2대 독립운동가 조문기 선생, 3대 김병상 몬시뇰에 이어 4대 이사장을 맡게 된 함세웅 신부는 민족문제연구소와 1991년 설립 때부터 지도위원 후원회장을 맡는 등 오랜 인연을 맺어왔다. 전임 김병상 이사장은 고령에 따른 건강 문제로 지난 해 말 사임서를 제출했으며 이날 회의에서 명예이사장으로 추대됐다. <민족문제연구소 제4대 이사장 함세웅 신부> 이사장 이취임식은 1월 29일(화) 오후 7시 조계사 내 전통문화예술공연장에서 열린다.   함세웅 아우구스티노 신부 1942년 6월 28일 서울 출생   학력사항 1960~1965   가톨릭대학교   1965~1968   우르바노대학교 대학원 신학석사, 사제 서품   1968~1973   그레고리오 신학대학교 신학박사(교부신학)      경력사항 1973.7~1973.12 천주교 연희동성당 보좌신부 1974~1992 가톨릭대학교 신학과 교수 1974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 창립 1976 천주교 정의평화위원회 인권위원장 1989.3 평화신문·평화방송 창립, 초대 사장 1993.7 민족화해와 통일을 위한 종교인협의회 공동대표 1998.12 민주개혁국민연합 상임대표 1999.3 국민정치연구회 자문위원 2004.10~2010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이사장 2008~2012.8 천주교 청구성당 주임신부 현재 안중근의사기념사업회 이사장, 기쁨과희망 사목연구원 원장   ▶ 보도자료-민족문제연구소 4대 이사장으로 함세웅신부 추대  [관련기사] 경향신문 : 민족문제연구소 신임 이사장 함세웅 신부 한겨레 : 민족문제연구소, 신임 이사장 함세웅 신부 서울신문 : 민족문제硏 이사장 함세웅씨 뉴시스 : 민족문제연구소, 신임 이사장에 함세웅 신부

“日, 양의 탈 벗나?”…美 동맹 핑계로 군국화

2013년 1월 10일 678

“미군 위기때 日이 도우려면집단적 자위권 행사 불가피”美·日 방위지침 재정의키로 일본이 미·일동맹 강화와 중국·북한 견제를 구실로 ‘군국주의로 가는 빗장 풀기’를 가속화하고 있다.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는 이달 말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정상회담에서 자위대와 미군의 협력 확대에 합의하고 이를 미·일 방위협력지침(가이드라인)과 국내법 제정으로 뒷받침할 계획이라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이 4일 전했다.이는 미·일동맹에 편승해 자위대의 역할을 확대하겠다는 속내를 드러낸 것으로 해석된다. 관련법이 제정되면 자위대는 수시로 해외에 병력을 파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파병 목적도 기존 원조 및 의료, 재해예방에서 벗어나 대테러 활동 등 사실상 ‘세계 경찰’과 같은 역할에 나설 수 있게 된다.자위대는 자국 방위에 치중하는 ‘전수(專守)방위’를 내걸고 있다. 이 때문에 국제평화유지활동(PKO)을 제외한 해외 파병에는 건건이 특별법을 만들어야 하는 제약이 따랐다. 이 같은 족쇄를 가이드라인 개정과 국내법 정비를 통해 끊겠다는 게 아베 정권의 의도다.자위대가 대테러 및 중동·아프리카 민주화 지원 활동을 강화하면 결국 집단적 자위권 행사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아베 총리도 “미군이 위험할 때 자위권을 행사해야만 미군을 보호하고 동맹도 유지할 수 있다”는 논리를 펴며 자위권 행사 용인을 미국 측에 요구했다.일본은 중국 및 북한의 위협에 대한 대응을 핑계로 국방력도 키우고 있다. 아베 정권은 2013회계연도 방위예산을 애초 방위성이 요구한 금액(4조5851억엔)보다 1000억엔 이상 증액하며 자위대 정원을 늘리고 센카쿠제도(중국명 댜오위다오) 주변의 F-15전투기를 보강하기로 했다고 산케이신문이 보도했다.아베는 앞서 오노데라 이쓰노리 방위상에게 올 여름 이후 방위계획대강과 중기 방위력정비계획을 수정하는 작업을 본격화해 올해 안에 수정안을 만들라고

독립 다큐 ‘백년전쟁’ 김지영 감독 “신화 뒤에 가려진 이승만·박정희 되짚었다”

2013년 1월 7일 5034

ㆍ사건·사고독립 다큐 ‘백년전쟁’ 김지영 감독 인터뷰   이승만·박정희 두 전직 대통령을 비판적으로 다룬 인터넷 다큐멘터리영화 <백년전쟁>이 최근 관람객 200만명을 돌파했다. 독립 다큐멘터리가 관객 1만명을 동원하기도 어려운 현실에서 이례적인 인기라는 평을 받고 있다.  이 영화를 만든 김지영 감독(46)은 4일 경향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이 영화의 흥행 이유에 대해 “박정희 전 대통령의 딸인 박근혜 후보가 유력한 대선후보였던 상황에서 공개된 이 영화가 가려진 역사의 진실을 알고 싶어하는 사람들의 욕구를 충족시켜줬기 때문인 것 같다”고 말했다.  민족문제연구소 주관으로 제작된 <백년전쟁>은 동영상 공유사이트인 ‘유튜브’나 ‘역사정의실천 시민역사관 누리집’(http://ibuild.tistory.com)에서 무료로 볼 수 있다.    ▲ 친일 역사 소개·왜곡된 신화에 반기 인기몰이는 ‘진실에의 욕구’ 반영  <백년전쟁>은 본편 4부와 번외편 ‘프레이저 보고서’ 2부로 나뉜다. 현재 공개된 본편 1부 ‘이승만의 두 얼굴’은 이승만 전 대통령이 순수한 독립운동가가 아닌 반민족적 인물이었다는 내용이다. 본편 2부에서 4부까지는 이 전 대통령 하야부터 박정희 전 대통령 시기, 전두환-이명박 전 대통령 정권까지 영화제목처럼 100년에 이르는 역사를 다룰 예정이다. 번외편은 박 전 대통령이 한국 경제 성장의 주역이라는 기존의 신화를 깨는 내용이다. 현재까지는 번외편 ‘프레이저 보고서-누가 한국경제를 성장시켰는가’ 1부까지 제작돼 공개된 상태다. 김 감독은 2011년 한 지상파 방송에 나온 이 전 대통령 관련 다큐멘터리를 보고 이 전 대통령을 미화하고 있다는 생각에 충격을 받았다고 했다. 김 감독은 “이때부터 민족문제연구소 연구원과 학계 사람들을

독도 관련예산 국회서 모두 삭감

2013년 1월 4일 472

새정부 일본과 마찰 우려한 듯 … 간접투자 지원은 전액반영 박근혜 정부의 독도정책 가늠자가 될 올해 독도영유권 강화예산에서 독도 직접투자 예산이 모두 배제됐다. 일본과의 마찰이 예상되는 ‘뜨거운 감자‘는 피해간 것으로 보인다. 3일 경북도에 따르면 도는 지난해 정부에 독도영유권 강과 관련 12개 사업에 980억6000만원의 예산배정을 요구했다. 그러나 최종 확정 예산은 627억원에 그쳤다. 나머지는 중앙부처 예산편성에서 빠졌거나 국회에서 누락됐다. 도가 요청한 독도입도지원센터 건설예산 21억원은 국토해양부 예산에서 빠졌다가 국회 상임위 예산심의에서 살아났지만 최종 예산안에서는 전액 삭감됐다. 독도방파제 건설 예산 40억원도 국토부에서 5억원이 반영됐고 국회 상임위에서 40억원으로 늘어났지만 최종 예산에서는 제외됐다. 27억원을 요청한 국립 울릉도·독도 생태체험관 예산도 국회 예산심사의 벽을 넘지 못했다. 그나마 울릉도 등에 투자되는 예산은 대부분 반영돼 경북도의 체면은 살려줬다. 반영 예산은 안용복기념관 운영비 3억9000만원, 독도관리선 운영비 7억원, 독도주민숙소 운영비 1억원, 독도박물관 운영비 5억원, 울릉도·독도 세계지질공원 등재 추진사업비 1억5000만원, 독도의용수비대기념관 건립 8억6000만원 등이다. 특히 울릉도 주민들의 숙원사업인 사동항 2단계 개발 사업비 315억원과 울릉 일주도록 미개통구간 개설사업비 170억원 등은 국회상임위 책정 예산보다 증액돼 반영됐다. 독도종합해양과학기지 예산 115억원도 편성돼 올해 안에 기지 설치가 가능하게 됐다. 경북도 관계자는 “정부와 국회가 독도영유권 강화사업 예산을 책정하면서 일본을 불필요하게 자극할 예산은 대부분 유보했다”며 “우리의 요구수준에는 못 미치지만 각종 사업을 추진하는데 큰 어려움은 없을 것 같다”고 말했다.최세호 기자 seho@naeil.com <내일신문>2013-1-3

일본인 67% “독도는 일본땅”

2013년 1월 4일 410

[본지-도쿄신문 공동 여론조사] 일본인 67% “독도는 일본땅” 히로시마大 김미경부교수 조사   일본인 10명 가운데 7명 꼴은 독도를 일본 땅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3일 일본 히로시마시립대 평화연구소 김미경 부교수에 따르면 지난해 4월과 8∼11월 두 차례에 걸쳐 일본 시마네·오이타·히로시마현 주민과 리쓰메이칸 아시아·태평양대학 학생 등 일본인 440명을 상대로 조사를 벌인 결과, “다케시마(독도의 일본식 명칭)는 일본 땅”이라고 생각한다는 응답자는 67%(293명)에 달했다. 반면 “다케시마가 일본 땅이 아니다”라는 응답은 2%(7명)에 불과했으며, 27%(118명)는 “모른다”고 답했다. 응답자의 91%(399명)는 “독도 분쟁에 대해 들은 적이 있다”고 응답했고, “독도의 위치를 알고 있다”는 응답은 76%(336명)로 조사됐다.  “독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일 간에 무력 분쟁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없다”는 응답이 43%(187명)로 가장 많았지만, “모른다”거나 “있다”는 답변도 각각 30%(134명), 22%(96명)를 차지했다.  중·일 간의 센카쿠 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영유권 분쟁에 대해서는 96%(423명)가 “들은 적이 있다”고 답변했고, 69%(305명)는 센카쿠를 일본 영토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센카쿠 열도의 위치를 알고 있다는 이들은 81%(355명)로 조사됐다. 센카쿠 분쟁으로 인해 중국이 일본을 공격할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는 “있다”(33%)와 “없다” (30%)로 양분됐다.  도쿄 이종락 특파원 jrlee@seoul.co.kr <서울신문>2013-1-4 body,table,td,input,select,textarea{font-family : verdana,굴림;font-size :9pt;line-height : 140%;}img{border : 0;}A:link {text-decoration:none; color:black;}A:visited {text-decoration:none; color:black;}A:hover { text-decoration:none; color:#3E8FFC;}P{margin-top:2px;margin-bottom:2p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