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huge collection of 3400+ free website templates, WP themes and more http://jartheme.com/ at the biggest community-driven free web design site.

화보

식민지역사박물관 개관식 (8.29)

2018년 9월 5일 2206
▲ 개관식 참가 전 전국에서 모인 회원들과 시민들이 효창공원 안에 있는 임정요인, 삼의사, 백범 묘소를 참배했다 ▲ 식전 공연으로 항일음악을 노래하고 있는 광주지부 회원들 ▲ 사회 노기환 ▲ 순국선열에 대한 묵념 ▲ 경과보고하는 윤경로 식민지역사박물관 집행위원장 ▲ 박물관 건립까지의 과정을 영상으로 상영했다 ▲ 인사말을 하는 이이화 건립위원장 ▲ 건립기금 마중물 2억원을 쾌척한 송기인 신부 ▲ 문재인 대통령의 축전 ▲ 축사하는 조광 국사편찬위원장 ▲ 여러 재능기부자들을 대표해 공로패를 받는 최규필 회원 ▲ 5천여명의 발기인들을 대표해 감사장을 받는 이기문 회원 ▲ 감사 인사하는 함세웅 이사장 ▲ 감사 인사하는 임헌영 소장 ▲ 개관식에는 약 500명의 회원, 발기인, 시민들이 참석했다 ▲ 박물관 현판 제막 ▲ 전시관을 관람하는 시민들 ▲ ‘임종국’ 드로잉을 하는 그라피티 작가 ‘레오다브’ ▲ 고경일 상명대 교수가 참석자들의 캐리커처를 그려주었다 ▲ 박물관 옥상 ‘푸른언덕’에서 맥주를 즐기는 시민들 ▲ 박물관 입구에는 5천여명의 기부자들의 이름을 새겨져 있다

‘부민관 폭파의거’ 73주년 기념 행사(7.21)

2018년 7월 24일 1661

일제강점기 마지막 의열투쟁 ‘부민관 폭파의거’ 73주년 기념 행사

신흥무관학교 107주년 기념식(6.8)

2018년 6월 10일 3009
▲ 처음으로 육사에서 열린 신흥무관학교 설립 기념식(화랑연병장) ▲ 처음으로 육사에서 열린 신흥무관학교 설립 기념식(화랑연병장) ▲ 기념사를 하는 윤경로 신흥무관학교기념사업회 상임대표 ▲ 육사 군악대 ▲ 앞줄 왼쪽부터 윤경로 기념사업회 상임대표, 이항증·황원섭 기념사업회 공동대표, 차영조 동암 차리석 선생 후손, 김순흥 민족문제연구소 광주지부장 ▲ 기념식에 참석한 육사 지휘부 및 생도 대표들 ▲ 신흥무관학교 경과보고를 하는 주동욱 전 경희총민주동문회 신흥무관학교100주년기념사업준비위원장 ▲ 신흥무관학교 교가 제창 ▲ 분열하는 육사 생도들 ▲ 신흥무관학교 홍보 영상을 시청하는 생도들 ▲ 기념식에 참석한 기념사업회 임원, 유족 및 시민들 ▲ 신흥무관학교 설립 107주년 기념 항일음악회의 사회를 보는 방학진 민족문제연구소 기획실장 ▲ 육사 을지강당에서 항일음악회를 관람 육사 생도들 ▲ 공연 중인 오단해 등 젊은 음악인들 ▲ <안중근 옥중가>를 낭독하고 있는 차영조 선생 ▲ <신흥학우단가>를 노래하는 육사 성악병들 ▲ 폐식사를 하고 있는 육사 생도대장 김태진 준장 ▲ 육사 충무관 1층 로비에서 <독립군·광복군에서 대한민국 육군으로>라는 제목의 전시회를 관람하는 기념사업회 관계자들과 시민들 ▲ 지난 3월 1일 충무관 앞에 제막된 독립전쟁영웅 5인(이회영, 홍범도, 지청천, 김좌진, 이범석)의 흉상 ▲ 지난 3월 1일 충무관 앞에 제막된 독립전쟁영웅 5인(이회영, 홍범도, 지청천, 김좌진, 이범석)의 흉상

‘4·27 판문점 선언’과 한반도의 미래

2018년 5월 28일 1643

[특별대담] ‘4·27 판문점 선언’과 한반도의 미래 지난 5월 18일 오후 2시 민족문제연구소 5층 교육장에서, 한국 역사학계 원로로 한국근현대사와 통일문제에 천착해온 강만길 고려대 명예교수와 국민의 정부에서 통일부 장관을 역임한 남북관계 최고 전문가 정세현 한반도평화포럼 이사장이, 남북 정상의 ‘4·27 판문점 선언’이 지니는 역사적 현실적 의미를 진단하고 나아가 북미회담의 향방과 동북아 평화체제 구축, 경제공동체의 성립 등을 전망하는 대담이 열렸다.

제8회 일제하 강제동원희생자 합동추모제

2018년 5월 8일 1560

“빼앗긴 어버이를 그립니다” – 태평양전쟁피해자보상추진협의회(사무국 민족문제연구소)는 어버이날을 맞아 제8회 일제하 강제동원희생자 합동추모제를 천안 망향의 동산에서 열고 있습니다. 전쟁과 식민지배, 강제동원에 어버이를 잃은 유족 30명이 참석했습니다.

보추협 2018년 정기총회 (4.6)

2018년 4월 9일 1669
▲ 태평양전쟁피해자보상추진협의회('보추협') 2018년도 정기총회가 4월 6일 민족문제연구소 5층 교육장에서 열렸다. 총회개회와 인사 (공동대표 이희자) ▲ 총회 개회와 인사말 (공동대표 이희자) ▲ 회계, 업무 감사보고 (감사 박남순) ▲ 회원사업보고 (공동대표 이희자) ▲ 태평양전쟁피해자보상추진협의회('보추협') 2018년도 정기총회가 4월 6일 민족문제연구소 5층 교육장에서 열렸다. ▲ 임원소개 (운영위원장 최낙훈) ▲ 임원소개(부회장 김문식) ▲ 임원소개 (부회장 박진부) ▲ 야스쿠니 합사쳘폐소송 보고 (민족문제연구소 대회협력팀장) ▲ 야스쿠니 합사철폐소송 보고 (원고 이병순) ▲ 신임감사 임명 (감사 이명구) ▲ 회원 팔순 축하

게임을 통한 역사대중화를 위한 협약식

2018년 3월 19일 1530
▲ 재단법인 게임인재단은 3월16일 사단법인 민족문제연구소, 재단법인 통일시대민족문화재단과 함께 ‘게임을 통한 역사 대중화’ 협약식을 했다. ▲ 임헌영 민족문제연구소 소장(좌측부터), 정석원 게임인재단 사무국장, 신용옥 통일시대민족문화재단 상임이사 ▲ 임헌영 민족문제연구소 소장(좌측부터), 정석원 게임인재단 사무국장, 신용옥 통일시대민족문화재단 상임이사 ▲ 임헌영 민족문제연구소 소장(좌측부터), 정석원 게임인재단 사무국장, 신용옥 통일시대민족문화재단 상임이사 ▲ 재단법인 게임인재단은 3월16일 사단법인 민족문제연구소, 재단법인 통일시대민족문화재단과 함께 ‘게임을 통한 역사 대중화’ 협약식을 했다. ▲ 재단법인 게임인재단은 3월16일 사단법인 민족문제연구소, 재단법인 통일시대민족문화재단과 함께 ‘게임을 통한 역사 대중화’ 협약식을 했다. ▲ 재단법인 게임인재단은 3월16일 사단법인 민족문제연구소, 재단법인 통일시대민족문화재단과 함께 ‘게임을 통한 역사 대중화’ 협약식을 했다.

독립투사 조문기 선생 10주기 추모식

2018년 2월 5일 1908

<사진제공 : 장이근 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