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보도자료] 문단의 적폐, ‘친일문인기념문학상 이대로 둘 것인가’

2656

[보도자료] [자료집] [다운로드]

문단의 적폐, ‘친일문인기념문학상 이대로 둘 것인가’

민족문제연구소와 한국작가회의 자유실천위원회는 <문단의 적폐, ‘친일문인기념문학상 이대로 둘 것인가 – 조선일보 동인문학상 편> 세미나를 연다. 이번 세미나는 지난 2016년 11월 <친일문인 기념문학상 반대 긴급토론회 – ‘친일문인 기념문학상’ 이대로 둘 것인가?>에 이어 민족문제연구소와 한국작가회의 자유실천위원회가 공동으로 주최하는 두 번째 공론장이다.

지난 토론회가 시부문의 <미당문학상>을 중심으로 친일문인 기념문학상의 현황과 문제점을 진단했다면 이번 세미나는 소설부문 <동인문학상>의 문제점을 정면으로 응시한다.

현재 운영되고 있는 친일문인기념문학상은 동인문학상 외에도 미당문학상, 노천명문학상, 모윤숙문학상, 팔봉비평문학상, 조연현문학상, 동랑희곡상 등이 있지만 문단에 미치는 영향력과 상금 면에서 거대 언론사가 제정·운영하고 있는 동인문학상과 미당문학상이 단연 우위에 있다. 일제의 식민지배와 침략전쟁을 미화 찬양했던 친일예술인들에 대한 기념사업이 축소·중단되거나 기념 조형물 옆에 친일행적이 담긴 안내문이 설치되는 등 역사적 평가와 청산 작업이 일정하게 진행 중임에도 불구하고 유독 문단은 친일문제의 무풍지대로 머물고 있는 현실이다. 이런 와중에 지난 2016년 한국문인협회(문협)가 ‘육당문학상’과 ‘춘원문학상’ 제정을 시도하였으나 민족문제연구소와 역사정의실천연대 등의 반대로 제정이 무산된 것을 계기로 한국작가회의 자유실천위원회가 본격적으로 친일문인기념문학상 문제에 정면으로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그러면서 2017년 미당문학상 시상식장 앞 항의집회를 비롯해 2017년과 2018년 8월 15일 서대문형무소역사관에서 친일문인들의 친일 작품을 전시하며 시민들에게 친일문인기념문학상의 문제점을 직접 호소하고 나섰다. 그 결과 2006년 미당문학상 수상자인 김혜순 시인이 작년 5월 5·18 문학상 수상을 사양했고 같은 해 7월 송경동 시인은 미당문학상 후보를 거부했다.

최근 문단 내에서는 올해 미당문학상 시상식이 없을 것이라는 소식도 들린다. 미당문학상 주관사인 중앙일보사는 매년 8월 미당문학상 후보작품을 자사 홈페이지에 게시하며 세인들의 주목을 이끌고자 했으나 올해는 아무런 움직임이 없다는 것이 문학상 중단의 논거로 제시되고 있다.

이번 세미나의 기조발제를 맡은 임헌영 소장은 장준하의 <사상계>에 의해 1955년 처음 동인문학상이 제정된 당시 상황과 배경 그리고 일반에 잘 알려지지 않은 김동인의 친일행적을 밝히고 있다. 발표자로 나선 이명원 평론가(경희대)는 ‘동인문학상이 제정되던 시기에 심사자로 참여한 이들 면면을 보면 상당수가 친일행위를 했던 문인들로 ‘자기합리화’‘에 그럴 수 없이 좋은 계기였다고 비판한다. 또 오창은 평론가(중앙대)는 ‘동인문학상이 지속되는 한 후보자, 수상자, 심사위원 모두 역사를 왜곡시킨 공범자가 돼야하는 상황에 처하므로 마땅히 폐지되는 게 맞다‘며 ’친일행적만큼이나 나쁜 ‘묵인의 타락’이 한국사회에 만연해 있지 않나를 심사숙고해야 한다‘고 일갈한다. 최강민 평론가(우석대)는 1985년 폐지된 동인문학상을 조선일보가 다시 부활시킨 이유로 일제강점기 조선일보와 방응모의 친일행적 ‘세탁’에 있다고 주장한다. 2001년 동인문학상 후보를 거부했던 소설가 공선옥은 당시의 경험담과 거액의 상금이 걸린 문학상 앞에서 작가로서의 고뇌를 이야기하고 있다.

친일문학상_세미나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