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문제연구소와 근현대사기념관이 기획하고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가 주관하는 2018년 하반기 서울자유시민대학 강좌가 9월 12일부터 11월 28일까지 총 10주 동안 매주 수요일 오전 10시부터 2시간 동안 덕성여자대학교 대강의동 104호에서 진행 중이다.
이번 강좌는 반민특위 설립 70주년을 기념하여 ‘반민특위의 좌절과 부활’이라는 주제로 개설되었다. 서울평생교육포털을 통해 사전에 강좌를 신청한 수강생은 30여 명이었으나, 현장에서 추가 접수가 이어져 세 차례의 강좌가 진행되는 동안 매 회 실 수강 인원은 30명을 웃돌았다.
강의는 전체 10강을 1, 2부로 나누어 1부에서 친일파 청산의 좌절과 그 영향을 역사적 맥락에서 다루고, 2부에서 친일청산운동의 전개와 의의를 중심으로 현재 역사정의를 실천하려는 사회적 움직임의 발자취를 더듬는다.
첫 번째 강좌는 김민철 책임연구원(경희대 후마니타스 대학 교수)이 ‘해방공간의 친일파 인식’을 주제로 진행했다. 두 번째 강좌는 〈반민특위 연구〉를 저술한 이강수 국가기록원 수집기획팀장이 반민특위의 활동과 해체과정을 상세히 다루었다. 특히 반민특위가 피의자를 조사하기 위해 관계기관에 자료를 요청했으나 침수, 분명치 않음, 군법상 등 이유로 자료를 내지 않은 정황을 소개하며 정부 차원에서의 자료제출을 거부했던 실례를 언급했다. 세 번째 강좌는 2013년 EBS에서 반민특위를 다룬 다큐멘터리 〈다큐프라임-나는 독립유공자의 후손입니다〉의 제작이 중단된 데 사표를 제출하고, 현재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교수로 재직 중인 김진혁 PD가 맡았다. 반민특위의 좌절이 현재 사회의 역사정의를 어떻게 지연시켰는지 본인의 경험에 비춰 생생한 강연을 진행했다.
이후 강좌는 박수현 연구실장이 ‘독재정권과 친일세력의 구조화’를, 이용창 편찬실장이 일제강점기 ‘친일’과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훈장’의 관계를 주제로 1부를 마무리한다. 이어지는 2부는 반민특위 설립 70주년을 맞아 친일 청산의 노력과 한계를 검토하고, 향후 해결해야 할 과제를 함께 고민하고자 임헌영 소장, 조세열 상임이사, 방학진 기획실장, 이준식 독립기념관장 마지막으로 식민지역사박물관 김승은 학예실장이 연사로 나서 친일인명사전의 편찬 등 친일과 독재로 굴곡진 과거사의 청산에 앞장서고 시민의 모금으로 식민지역사박물관을 개관한 연구소의 활동의 의미를 살펴본다.
해방 73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완전히 청산하지 못한 친일청산의 문제를 반민특위의 활동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향후 역사정의의 실현과 민주주의의 정착을 위하여 해결해야 할 과제를 탐구하는 현장에 많은 시민의 관심과 참여를 기대한다.
• 최인담 근현대사기념관 학예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