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기사

3·1혁명 100주년, ‘친일행적 단죄비’ 세운 거제시민들

1073

거제포로수용소유적공원 내 김백일 동상 옆에 ‘친일행적 단죄비’ 건립

0302-1

▲ “친일 김백일 동상 철거 거제범시민대책위원회”는 3월 1일 거제포로수용소유적공원 내 김백일 동상 옆에 “김백일 친일행적 단죄비”를 세웠다.ⓒ 윤성효

0302-2

▲ “친일 김백일 동상 철거 거제범시민대책위원회”는 3월 1일 거제포로수용소유적공원에서 “김백일 친일행적 단죄비 건립식”을 열었고, 류금렬 집행위원장이 기념사를 하고 있다.ⓒ 윤성효

시민들이 3·1혁명 100주년이 되는 날 친일반민족행위자의 행적을 낱낱이 새긴 ‘단죄비’를 세웠다. 1일 경남 거제포로수용소유적공원에 ‘김백일 친일행적 단죄비’를 건립한 것.

친일김백일동상철거거제범시민대책위원회(집행위원장 류금렬, 아래 대책위)는 이날 낮 12시 “김백일 친일행적단죄비 건립식, 3·1운동 100주년 기념식”을 열었다.

거제포로수용소유적공원 내 흥남철수작전기념비 앞에 김백일 동상이 세워진 때는 2011년 5월 27일. 흥남철수작전기념사업회가 “김백일 장군은 한국전쟁 때 흥남 철수 과정에서 미군을 설득, 피란민 10만여 명을 배에 태운 인물”이라며 동상을 세웠다.

그런데 당시 동상은 행정 절차를 제대로 거치지 않았다. 거제포로수용소유적공원은 경남도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어, 이곳에 동상을 건립하려면 경남도과 ‘문화재 형상변경 검토’ 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당시 거제시가 이를 이행하지 않았던 것이다.

당시 경남도는 동상 철거를 요청했다. 이에 흥남철수작전기념사업회는 거제시를 상대로 동상철거 명령이 부당하다며 소송을 냈다. 1심에 이어 2심에서도 거제시가 패소했고, 이는 2013년 10월 11일 대법원(당시 대법원장 양승태)에서 그대로 받아들여졌다.

거제지역 시민사회단체들은 2018년 9월 대책협의회를 구성해 동상 철거운동을 다시 벌이기로 했다. 38개 단체가 참여해 ‘대책위’가 결성되었다. 대책위는 지난 2018년 10월부터 지난 2월 28일까지 거제시청 앞에서 117일 동안 동상 철거를 위한 집회와 1인시위를 이어왔다.

그리고 대책위는 김백일 동상 옆에 ‘친일행적 단죄비’를 세우기로 하고, 거제시와 거제시의회, 유적공원을 관리하는 거세지해양관광개발공사 등과 간담회를 열어 논의해 왔다.

대책위는 경남도와 단죄비 설치에 따른 ‘문화재 형상 변경 검토’ 과정을 거쳤다. 2011년 당시 거제시의 잘못된 행정과 대법원의 판결로, 친일 김백일의 동상을 철거할 수 없게 되자 우선 그 옆에 ‘단죄비’를 세운 것이다.

단죄비는 김백일 동상과 같은 3미터 높이로 되어 있다. 단죄비에는 ‘김백일 친일행적 단죄비 건립취지문’과 함께, ‘김백일 친일행적 단죄비’라고 적혀있다. 그 옆에 단재 신채호 선생이 남긴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는 말을 새겨 놓았다.

그리고 단죄비에는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밝힌 김백일의 친일행적을 새겨 놓았고, ‘연도별 친일행적’과 ‘간도특설대 죄상’도 적혀있다.

0302-3

▲ 이종우 통영거제환경운동연합 상임의장이 3월 1일 거제포로수용소유적공원에서 열린 “김백일 친일행적 단죄비 건립식”에서 취지문을 읽고 있다.ⓒ 윤성효

0302-4

▲ “친일 김백일 동상 철거 거제범시민대책위원회”는 3월 1일 거제포로수용소유적공원에서 “김백일 친일행적 단죄비 건립식”을 열었고, 참가자들이 <독립선언문>을 낭독하고 있다.ⓒ 윤성효

0302-5

▲ “친일 김백일 동상 철거 거제범시민대책위원회”는 3월 1일 거제포로수용소유적공원에서 “김백일 친일행적 단죄비 건립식”을 열었다.ⓒ 윤성효

기념식에서 이종우 통영거제환경운동연합 상임의장은 취지문을 읽었다. 취지문에는 “3·1독립운동 100주년, 광복 70년이 지난 대한민국에 아직도 친일반민족행위자의 동상이 버젓이 서 있다”며 “김백일은 일제 괴뢰국인 만주국 간도특설대 중대장으로 일제의 침략전쟁에 적극 협력하고 훈장까지 받은 자”라는 내용이 담겨있다.

대책위는 “우리는 3·1독립운동 100주년 전에 김백일 동상 철거를 위해 노력했으나 그 뜻을 이루지 못하여 거제시민들의 힘을 모아 이 단죄비를 건립하였다”며 “우리는 김백일의 동상이 철거될 때까지 ‘단죄비’를 세움으로써 이곳을 찾는 모든 이들에게 역사의 진실을 알리고자 한다”고 했다.

또 대책위는 “국회가 ‘친일반민족행위자현양행위금지법’ 등을 제정하도록 하여, 전국의 모든 친일반민족행위자의 기념물이 철거되고 다시는 건립되지 못하도록 노력해 나갈 것”이라며 “역사를 바로 세우기 위한 우리의 운동은 멈추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김동성 금속노조 거제통영고성조선하청지회장은 경과보고를 통해 “38대 참가단체의 헌신적 노력과 류금렬 집행위원장의 집요한 노력이 단죄비 설치를 가능하게 되었다”며 “하지만 아직 우리는 성과를 논하고 공로를 치하할 수 없다. 우리 앞에는 친일반민족행위자 김백일의 동상이 아직 버젓이 서 있기 때문”이라고 했다.

그는 “그래서 대책위의 역할은 끝나지 않았고 동상이 철거될 때까지, 친일반민족행위자현양행위금지법이 제정될 때까지 부단한 활동을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류금렬 집행위원장은 기념사를 통해 “오늘 이 자리에 모인 분들은 이 시대의 독립운동가들이다. 여러분이 이 시대의 애국지사다”고 말했다.

그는 “일제시대에 친일하지 않은 사람이 어디 있느냐고 말한다. 그 말은 틀렸다. 일제강점기 때 친일하지 않은 사람이 훨씬 많았다”며 “단죄비는 친일행적에 대한 단죄이고 교육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했다.

류 집행위원장은 “김백일 동상이 근본적으로 없어져야 한다. 그의 유족들이 부끄럽다며 스스로 동상 철거를 요구하길 기대하고, 아니면 우리의 노력에 의해 동상을 없애도록 해야 한다. 민족문제연구소와 함께 동상 철거를 위한 소송 진행도 검토하겠다”고 했다.

이날 행사에는 ‘파라미타’ 청소년들이 참석해 <독립운동가>를 불렀고, 참가자들이 <독립선언서>를 낭독하기도 했다.

원종태 집행위원은 “단죄비 건립은 그동안 비공개로 진행되었고, 건립에 필요한 재정은 모금으로 충당하기로 했다”며 “어제(2월 28일) 단죄비 건립 계획을 공개했다. 혹시나 단죄비 건립에 반대하는 사람들이 있을까 싶어 대책위 몇 분이 어제 저녁부터 밤새도록 이곳을 지켰다”고 말했다.

김백일은 1938년 12월 일제 간도특설대 창설 창설요원이었고, 일제 침략에 적극 협력한 공로로 1943년 9월 일제 ‘만주국’ 정부로부터 ‘훈5위 경운장’을 받았으며, 해방 이후 육군사관학교 교장과 육군5여단장, 육군보병학교 교장, 육군3사단장 등을 지냈다.

0302-6

▲ “친일 김백일 동상 철거 거제범시민대책위원회”는 3월 1일 거제포로수용소유적공원 내 김백일 동상 옆에 “김백일 친일행적 단죄비”를 세웠다. ⓒ 윤성효

0302-7

▲ “친일 김백일 동상 철거 거제범시민대책위원회”는 3월 1일 거제포로수용소유적공원에서 “김백일 친일행적 단죄비 건립식”을 열었고, 청소년들이 <독립운동가>를 부르고 있다. ⓒ 윤성효

0302-8

▲ “친일 김백일 동상 철거 거제범시민대책위원회”는 3월 1일 거제포로수용소유적공원에서 “김백일 친일행적 단죄비 건립식”을 열었고, 류금렬 집행위원장이 기념사를 하고 있다. ⓒ 윤성효

0302-9

▲ “친일 김백일 동상 철거 거제범시민대책위원회”는 3월 1일 거제포로수용소유적공원에서 “김백일 친일행적 단죄비 건립식”을 열었다. ⓒ 윤성효

0302-10

▲ “친일 김백일 동상 철거 거제범시민대책위원회”는 3월 1일 거제포로수용소유적공원에서 “김백일 친일행적 단죄비 건립식”을 열었다. ⓒ 윤성효

0302-11

▲ “친일 김백일 동상 철거 거제범시민대책위원회”는 3월 1일 거제포로수용소유적공원에서 “김백일 친일행적 단죄비 건립식”을 열었다. ⓒ 윤성효

0302-12

▲ “친일 김백일 동상 철거 거제범시민대책위원회”는 3월 1일 거제포로수용소유적공원 내 김백일 동상 옆에 “김백일 친일행적 단죄비”를 세웠다. ⓒ 윤성효

<2019-03-01> 오마이뉴스 

☞기사원문: 3·1혁명 100주년, ‘친일행적 단죄비’ 세운 거제시민들 

※관련기사 

☞연합뉴스: 거제시민들, 김백일 장군 동상 옆에 ‘친일’ 단죄비 세워 

☞프레시안: 거제 김백일 동상 옆에 ‘친일단죄비’ 세웠다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