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리보는 시민역사관

집단처형 장면마저 풍속사진엽서로 제작 배포한 일본인들의 고약한 상술

4954

[소장자료 톺아보기•3]

 

집단처형 장면마저 풍속사진엽서로

제작 배포한 일본인들의 고약한 상술

 

‘한국풍속’ 교죄처분(絞罪處分)이라는 제목이 붙어 있는 집단처형 사진엽서이다. 오른쪽 아래에 ‘1909.8.8’로 표시된 소인이 남아 있어서 제작연대를 가늠할 수 있다. 연구소 소장자료

‘조선풍속’ 교죄(絞罪)라는 제목을 달고 반복 유통된 집단처형 사진엽서이다. ‘조선’이라는

표현은 이 엽서가 경술국치 이후의 시기에 제작된 것임을 말해준다. 연구소 소장자료

 

1994년에 펴낸 『한국독립운동의 진상』이라는 소책자에 수록된 참고도판은 집단처형지에서 포착된 또 다른 사진자료가 남아있을 가능성을 제시해주고 있다. 특히 사진아래에 남아있는 ‘글씨 흔적’은 이 사진의 정체를 밝혀줄 새로운 단서가 될 수도 있다. ⓒ국가보훈처

 

여느 사람들이라면 똑바로 응시하기도 힘든 처참한 광경을 담아낸 두 장의 사진엽서가 여기에 있다. 열 명 남짓한 죄수들이 집단적으로 교수대에 걸려 최후를 맞이한 모습이 자못 섬뜩하면서도 애처로운 느낌을 자아내게 한다. 가만히 살펴보면 여러 개의 지게들이 주변 바닥에 흩어져 있는 것이 보이는데, 이는 교수형 집행을 위해 발판용 도구로 사용한 것인 듯하다.
이들 엽서는 동일한 내용을 담고 있으면서도 아래쪽에 각각 ‘한국풍속’과 ‘조선풍속’이라고 시리즈명칭을 다르게 달고 있는 것이 눈에 띈다.
‘한국’이냐 ‘조선’이냐 하는 표현은 해당엽서의 제작시점이 1910년 경술국치의 이전인지 이후인지를 구분하는 잣대가 된다. 실제로 ‘한국풍속’으로 표시된 엽서에는 ‘SEOUL, COREA, 1909년 8월 8일자’의 통신일부인(通信日附印)이 붙어있는 것이 이를 잘 입증해주고 있다. 도저히 풍속이라는 범주에 넣기 어려운 집단처형장면까지 거듭 사진엽서로 제작하여 버젓이 유통시키는 일본인들의 행태가 가증스러울 따름이지만, 이사진 자체는 이러한 사진엽서 이외에도 이미 여러 출판물의 형태로 반복하여 재생산되어 온 사실이 드러난다. 예를 들어, 이 사진은 일찍이 1907년 4월에 일본 우익단체 흑룡회(黑龍會)가 발행한 기관지 <흑룡>에 수록된 사실이 확인된다. (이에 관해서는 <경향신문> 1987년 8월 15일자에 소개된 강덕상 선생의 자료발굴 관련기사를 참고할 수 있다) 이보다 약간 앞서 1906년 9월과 1907년 3월에 걸쳐 우리나라를 두 차례 방문했던 일본주재독일공사관의 무관 헤르만 산더(Hermann Gustav Theodor Sander) 중위가 수집한 자료묶음(국립민속박물관 전시도록, <1906~1907 한국·만주·사할린, 독일인 헤르만 산더의 여행>, 2006)에도 이 사진이 등장한다. 여길 보면 오른쪽 하단에 ‘486’이라는 일련번호가 붙어 있는데, 이로써 이런 종류의 사진엽서가 서울에서 개업한 일본인 사진관을 통해 판매용으로 제작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또한 <한국 평양명소풍속사진첩 제1집>(평양 와키자카상점 발매, 1907년 이전발간)과 <한국풍속풍경사진첩>(경성 일한서방 발행, 1910년 추정), 그리고 <남한폭도대토벌기념사진첩>(임시한국파견대 제작, 1910)에도 이 사진이 실려 있다. 이로 인해 여기에 포착된 광경 이 관련 연구자들에 의해 더러 ‘의병(義兵)’을 집단 처형하는 장면으로도 해석되는 경향이 없지 않았다. 하지만 이 부분에 대해서는 몇 가지 더 짚어보아야 할 부분이 남아 있다.
우선은 이 사진이 정확하게 어느 시기에 촬영된 것인지를 가려낼 필요가 있다. 일단 사진 그 자체가 말해주는 단서를 추출하면, 무엇보다도 처형 장면을 주변에서 지켜보는 구경꾼들의 옷차림이 주목된다. 이들 가운데 많은 사람이 백의(白衣, 흰옷)에 백립(白笠, 흰갓)을 착용하고 있는데, 일반 백성들이 백립을 쓰고 있다는 것은 이 당시가 국상(國喪) 기간이었다는 것을 말해준다.
1897년에 거행된 명성황후 민씨(明成皇后 閔氏)의 국장을 예외로 한다면, 대한제국 시기에는 단 두 번의 국상 기간이 있었다. 1904년 1월 2일(음력 11월 15일) 헌종의 계비 ‘명헌태후(明憲太后)’ 효정성황후 홍씨(孝定成皇后 洪氏, 1831~1904)가 세상을 떠나자, 이에 따른 복제(服制)에 따라 “사서인(士庶人)은 백의, 백립, 백대(白帶) 차림으로 하고 기년(朞年)이 되면 벗도록” 정한 것이 첫 사례였다. 하지만 이 기간이 종료되기 이전에 또 다른 국상이 발생하였다. 황태자비순명비 민씨(純明妃 閔氏, 1872~1904)가 1904년 11월 5일(음력 9월 28일)에 세상을 떠난 것이다. 이에 따라 새로운 복제가 추가되어 사서인(士庶人)의 경우 백의, 백립, 백대 차림을 하는기간이 그로부터 다시 1년 더 늘어나게 되었다.
그 이후 1905년 10월 26일(음력 9월 28일)에 순명비의 기신제례(忌辰祭禮) 봉행과 더불어 일반 신민의 복기(服期)가 지났으므로 개정 복색에 따라 이날부터 청색, 흑색, 감색, 자색 등의 옷을 입는 것이 다시 허용되었다. 이상의 국상 기간은 우연의 일치인지 모르겠지만 러일전쟁 때와 거의 겹치는 것으로 드러난다. 이러한 잣대에 비춰 보면 집단처형이 바로 러일전쟁 시기에 이뤄진 사실만큼은 최소한 유추가 가능한 상태이다.
그렇다면 이 사진이 촬영된 장소는 도대체 어디인 것일까? 하지만 아쉽게도 이 부분에 대해서는 아무런 단서도 찾아낼 수 없다. 다만, 지난 1994년에 국가보훈처에서 발간한 <한국독립운동의 진상>이라는 책자를 보다 보니 이 책의 56쪽에 수록된 참고도판이 위의 사진엽서에 나오는 곳과 동일한 공간을 담아낸 또 다른 앵글의 사진이라는 사실이 포착된다. 특히, 사진 아래에는 무슨 글씨의 흔적 같은 것이 남아 있어서 원본 확인이 이뤄진다면 그것이 새로운 단서가 될는지도 모를 일이다.
현재 상태로서는 이 집단처형 장면이 여러 가지 의문투성이인 상태로 남아 있는 셈이다. 이것이 적법한 절차에 의해 이뤄진 교수형인지, 그리고 이처럼 공개적인 형태로 교수형을 집행한 사례가 얼마나 있었는지도 의문이 아닐 수 없다. 또한 이 사진에는 으레 함께 등장할 만한 형 집행자의 모습도 보이지 않는 상태이므로 일본 군인들에 의한 소행인지의 여부도 제대로 가늠하기가 쉽지 않아 보인다. 요컨대 이들 죄수의 신분이 과연 ‘의병’인지조차 아직까지는 속단하기 어려워 보인다. 지금으로서는 무엇보다도 정확한 사실관계의 규명을 위해 추가적인 자료확인이 긴요한 일이라 할 것이다. 이들의 정체가 무엇으로 드러나든 간에 집단처형 장면마저 공공연하게 사진엽서로 제작하여 유통시키는 그들의 고약한 심보는 적잖은 분개심을 자아내게 하는 장면이 아닐 수 없다.
• 이순우 책임연구원

<저작권자 ⓒ 민족문제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