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사랑

식민지역사박물관에 가보자!

1009

[기고]

식민지역사박물관에 가보자!

도노히라 유코(殿平有子) 일러스트 작가

 

도노히라 유코(殿平有子)

작년 12월, 3년 만에 서울에 방문할 기회가 있었습니다. 짧은 방문이었지만 친구이자 가족처럼 지내는 김영환 씨가 활동하고 있는 ‘식민지역사박물관’이 서울 시내에 만들어졌다는 소식을 듣고 기대하고 있었습니다. 그날은 시간이 별로 없어 택시를 타고 기사님께 스마트폰 지도를 보여주며 향했습니다. 식민지역사박물관 주변에는 꽤 가파른 비탈길이 있습니다. 상쾌한 날씨여서 다음번엔 지하철로 천천히 이곳저곳 둘러보면서 가고싶은 곳에 있었습니다.
박물관 입구에는 한글과 영어로 박물관의 이름이 쓰여 있습니다. 영어로는 ‘Museum of Japanese Colonial History in Korea.
’ 왠지 꾸밈없는 이 이름에 나는 깊은 감명을 받았습니다. 나를 포함하여 많은 일본인들은 이 역사에 대해 정부의 방침에 휘둘리듯 에둘러 교육을 받아왔습니다. 그다지 복잡하지 않은 역사임에도 ‘어려운 것’이라 생각하고 피해왔습니다. 동시에 100여 년 이상 전에 시작된 이 고통의 역사가 내가 살고 있는시대에 이렇게 교류와 배움의 공간이 되어 있다고 생각하니 가슴이 뜨거워집니다.

현관문을 열자 1층 공간에는 학생들로 보이는 단체가 특별전시에 관한 해설을 듣고 있었습니다. 나는 2층의 상설전시장으로 향했는데 그곳에도 한국 학생들이 관람을 하고 있었습니다. 한국의 젊은이들은 어떤 생각을 갖고 이 전시를 접하고 있을까 궁금합니다. 전시 설명은 대부분 한글로 쓰여 있지만, 일본어 가이드북이 있어 참조하면서 순서대로 전시를 둘러볼 수 있습니다.

“일제는 왜 조선을 침략했는가?” 전시공간에 들어서면 먼저 눈에 들어오는 이 표제. 그 아래설명은 구미를 필두로 세계적인 식민지화와 노예제도 등의 움직임 속에서 일제에 의한 침략이라는 문맥으로 짧게 정리되어 있습니다. 이 침략의 역사를 일본과 조선이라는 두 나라 사이의만의 문제로 생각하여 그 역사를 접한 우리들 개인까지가 피해와 가해라는 범주로 이분화되어버리는 일이 많은데, 이 설명에서는 정체성을 중심으로 사람들을 나누지 않고, 책임의 근본에 있는 구조적인 권력의 시스템을 알기 쉽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전시공간에 빼곡히 전시되어 있는 자료와 유물은 내용으로도 양적으로도 충실합니다. 특히 조선 전역에 수없이 있었던 경찰서에 관한 사진과 문헌이 상세히 전시되어 있는 것이 흥미로웠습니다. 신사(神社)의 설치도 그렇습니다. 일본이 서양을 본받아 폭주한 아시아 침략과정에서 조선에서는 창씨개명과 천황숭배 등 식민지 지배의 기초 작업을 위해 비참하고 비인도적인 방법이 이용되었습니다. 최근에 주변 친구들과 함께 하고 있는 공부 모임에서 자본주의 발전을 위해 인종차별, 토지약탈, 성차별 등의 폭력을 이용한 ‘자본의 본원적 축적’에 관한 문헌을 다소간 읽을 기회가 있었습니다. 그때 배운 것을 떠올려보면, 일제의 지배로 인한 인간의 비극은 단지 우연처럼 ‘일어났다’가 아니라 필요한 폭력으로 자본의 발전을 위해 사용되고 지배하는 측과 착취당하는 측의 분단을 명확히 확립한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조금이라도 저항을 표현한 사람들은 경찰의 과도한 단속을 받은 것이 자본과 국가가 깊은 관계를 맺고 있다는 증거입니다. 이 지배의 구조는 지금 사회에도 줄곧 이어지고 있을 것입니다. 특히 자본의 힘이 약해지고 있는 지금, 사람들은 자국이 내건 경제대책에만 의존할 수밖에 없는 상태에 빠져 내셔널리즘적인 사상이 고양되고 외국인과 소수자가 된 사람들에게 책임이 전가됩니다. 전시 후반에는 식민지시대에 목숨을 걸고 일본에 저항한 사람들과 최근의 다양한 운동에 관한 소책자와 사진이 전시되어 있어 오늘날에도 시사하는 바가 많은 저항사(抵抗史)를 접할 수 있습니다.

끝으로 기억을 전한다는 것에 대해 생각하게 된 내용을 조금 쓰고 싶습니다. 전시 가운데에 ‘한 평으로 체험하는 식민지: 학교・감옥’이란 작은 코너가 있습니다. 낡은 목제 책상과 의자가 놓여 있고, 벽에는 심문관의 실루엣이 그려져 있어 감옥의 심문실을 재현한 듯합니다. 몇 개의 단추를 누르면 심문내용을 재현하여 녹음한 음성이 흘러나오도록 되어 있습니다. 거기서 흘러나오는 것은 3·1운동 당시 잡혀온 사람들의 목소리라고 생각합니다. 일본어 번역문이 비치되어있어 귀중한 체험을 들을 수 있었는데 가슴이 뭉클했습니다. 지금의 시대를 살아가는 나에게는 역시 사람들의 저항의 역사에 가장 마음이 끌리기 때문입니다. 그날 밤 한국에서 운동사를 연구하고 있는 학생과 박물관에 대해 이야기를 나눌 기회가 있었습니다. 그는 박물관 자체는 평가하지만 심문 장면의 그 전시는 약간 지나치지(표현의 지나친 극화) 않은가 말했습니다.

저는 한국어로 흘러나오는 음성을 이해할 수 없어 별로 마음에 두지 않았고, 그 전시가 실제로 무엇이 문제인지 확실히는 이해할 수 없습니다만, 분명히 사람들의 체험을 제3자가 전하고자 할 때 강조하고 싶은 부분을 조금 과장해서 극적으로 표현하는 일이 있을지도 모릅니다. 이 심문 장면은 실제로 식민지 시대의 정부기관 자료를 바탕으로 한 것입니다. 연극의 퍼포먼스와 달리 문장을 읽는 것만으로는 얻을 수 없는 현장감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본래 그것이 박물관의 역할이라 할 것입니다. 그것으로 공감이 일어나지 않을까. 이를 위해 어떤 표현이 가장 좋은것일까요. 역사로부터 배운 것을 오늘의 운동에 살리기 위해 중요하게 생각하고 싶습니다.

또한 한 사람 한 사람에게 자신밖에 느낄 수 없는 고통이라는 것이 있음을 잊지 말아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이 박물관에는 이러한 개인의 체험을 접할 수 있는 자료와 구조적 폭력을 분석한 자료가 함께 있어 귀중한 공간이라 생각합니다.
박물관 개관과 운영에 관계한 많은 사람들에게 연대와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 싶습니다. 꼭 다시 가고 싶습니다.


※ 도노히라 유코(殿平有子) 씨는 일본 홋카이도(北海道) 출신. 1997년 홋카이도 슈마리나이(朱鞠內)에서 강제동원 희생자의 유골을 발굴한 한일공동워크샵(현재 동아시아워크샵)에 참가했고 2000년 미국으로 건너갔다. 현재는 뉴욕에서 일러스트 작가로 활동하면서 이민운동에 관여하고 있다.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