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사랑

일본 개신교의 가마쿠라보육원으로 변신한 후암동 ‘전생서’ 옛 터 결국 양화진외국인묘지에 묻힌 소다 카이치 원장

3760

[식민지비망록 54]

일본 개신교의 가마쿠라보육원으로 변신한 후암동 ‘전생서’ 옛 터
결국 양화진외국인묘지에 묻힌 소다 카이치 원장

이순우 책임연구원

전의감(典醫監), 전옥서(典獄署), 전원국(典圜局), 전선사(典膳司), 전설사(典設司), 전생서(典牲署), 전교서(典校署), 전농사(典農司), 전연사(典涓司), 전비사(典備司), 전함사(典艦司)등등 ……
. 여기에 나열한 것들은 ‘전(典)’자 돌림으로 시작하는 조선시대의 관아 명칭이다.

‘전’이라는 것은 “무엇 무엇을 관장한다”는 뜻을 지니고 있다. 이 가운데 ‘전생서’의 생(牲)은 우리가 흔히 ‘희생양’이라고 부르는 관용구에 등장하는 것과 동일한데, 이는 곧 여러 제향(祭享)에 쓸 희생(犧牲, 제물로 바칠 짐승)을 기르는 일을 관장하는 관아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조선의 개국 초기에는 전구서(典廐署)가 설치되어 이 일을 맡았으나, 세조 때에 이르러 이곳이 ‘전생서’로 개칭된 것으로 알려진다.
순조 때의 인물인 유본예(柳本藝, 1777~1842)가 지은 『한경지략(漢京識略)』에는 전생서의 항목이 이렇게 정리되어 있다.

 

전생서는 숭례문 밖 남부 둔지방(南部 屯智坊) 목멱산 남쪽에 있다. 개국 초에 창설하였고, 희생을 기르는 일을 맡았다. 정청(正廳)은 간줄헌(看茁軒)이라 하며, 곁에 연못이 있어 정자를 일컬어 불구정(不垢亭)이라 한다. 사천 이병연(槎川 李秉淵)의 간줄헌기(看茁軒記)가 있다.
살피건대 우리나라에는 양(羊)이 없으나 이곳에서만 양과 고력(羖䍽, 흑염소)을 길러 제향에 공급하였다. 지금에 와서는 단지 염소만 있고 양이 없다고 한다. 생우(牲牛)로는 종묘(宗廟)에는 검은 소를 쓰고, 문묘(文廟)에는 성(騂, 붉은 소)을 쓴다.

 

이곳 전생서는 도성 남쪽 일대에서는 유달리 그 존재감이 두드러진 곳이었으므로, 두텁바위(蟾巖, 두껍바위)에서 유래한 후암동(厚巖洞)이라는 지명이 정착되기 전에는 전생동(典牲洞)의 사용빈도가 압도적이었다. 실제로 일제강점기로 접어든 직후 1914년 4월 1일에 시행된 행정구역개편 당시 일본식 지명인 ‘삼판통(三坂通, 지금의 후암동)’ 구역은 종전의 ‘갈월리(葛月里) 일부’와 ‘전생동’을 합쳐 만든 것이라고 표시되어 있다.
더구나 전생서 앞을 지나는 길은 한강나루로 이어지는 주요한 교통로의 하나였다는 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고산자 김정호(金正浩)가 정리한 <대동지지(大東地志)>의 정리고(程里考) ‘성문분로(城門分路)’에 표시된 내용에 따르면, 서울 도성 숭례문에서 벗어나 부산 동래(4대로)를 향하는 이들이 거쳐야하는 행로가 이렇게 소개하고 있다.

 

숭례문 남쪽으로 이문동을 지나 주교, 청파역, 석우참까지 4리이다. ○ 석우참 동남쪽으로 둔지산을 지나 서빙고진에 이르기를 6리(한강진 아래에 있고 숭례문에서 10리 거리)이다.
(4대로를 보라) ○ 이문동에서 도저동을 경유하여 남묘, 이태원을 지나 곧장 서빙고에 이르는 것이 이것의 지름길이다. (崇禮門南經里門洞舟橋靑坡驛石隅站四里○石隅站東南經屯之山至西氷庫津六里在漢江鎭之下卽漢江津距崇禮門十里○見四大路○自里門洞由桃楮洞經南廟利泰院直至西氷庫此捷路)

 

여기에서 보듯이 동래 방향으로 내려가는 행로는 본디 청파배다리, 돌모루, 둔지산을 거쳐 서빙고나루에 닿는 것이 보통이지만, 때로 남묘와 이태원을 거쳐 바로 서빙고로 가는 샛길이 활용되기도 했던 것이다. 이 경우 남묘 앞을 경유하지 않고 곧장 우수현(牛首峴, 雨水峴)을 넘어오는 방법을 택할 수도 있지만, 어쨌거나 전생서 앞길을 거쳐 가는 것은 마찬가지였다.

 

수선전도(首善全圖)에는 숭례문을 빠져나와 남묘, 이태원을 거쳐 서빙고에 이르는 전생서 앞길(지름길)의 행로가 잘 묘사되어 있다.

 

이러한 내력을 지닌 전생서는 갑오개혁 당시 궁내부의 종백부(宗伯府) 소관이 되었다가 이내 혁파(革罷)되었고, 희생을 기르는 일은 1897년 1월 29일 이후 봉상사(奉常司)의 소임으로 넘겨졌다. 그러다가 1902년 4월에는 포달(布達) 제82호를 통해 궁내부 소속 직원으로 내장원 전생과(內藏院 典牲課)를 증치(增置)했다는 기록이 보이는 것을 마지막으로 그 흔적이 더 이상 드러나지 않는다.
그리고 오래지 않아 일제강점기로 접어든 직후 옛 전생서 터는 본격적으로 공간해체의 위기에 몰리는 상황을 맞이하기에 이른다. 이와 관련하여 『순종실록부록(純宗實錄附錄)』 1911년 11월 29일 기사에는 “중부 황토현 기념비각(記念碑閣), 북부 관광방 옛 도서과(元圖書課) 및 부속지, 남부 둔지방 전생서 기지(典牲署 基址), 중부 황토현 옛 기로소(耆老所) 토지 건물이 총독부에 인계되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그런데 <조선총독부관보> 1914년 7월 11일자에 게재된 ‘불필요 관유재산 입찰불하공고(不必要 官有財産 入札拂下公告)’의 내용을 보면, 여기에 전생서 터에 포함된 토지와 건물 일체가 매각대상에 나왔던 사실이 드러난다. 여기에 표시된 택지면적(宅地面積)을 단서로 살펴볼 때 ‘ 삼판통 370번지(1,028평, 국유지)’가 전생서 터였다는 것은 분명히 확인되지만, 부속지로 표기 된 곳이 어딘지는 아쉽게도 구체적인 지번까지 확인할 수 없는 상태이다.

 

경성부 용산 삼판통 원 전생서(元 典牲署) (조서 제328호)
一 택지면적 1,078평(坪) 2합(合) 8작(勺)
이 자리 안에 있는 조선식 기와건축은 9동(棟), 136평 6합 8작
경성부 용산 삼판통 원 전생서 부속(附屬) (조서 제330호)
一 택지면적 232평 5합 7작
이 자리 안에 있는 조선식 기와건축은 2동, 33평 6합 6작

 

<매일신보> 1914년 7월 12일자에 수록된 ‘관유토지건물 입찰불하공고’ 내역에는 옛 전생서 터와 부속지에 대한 내용이 나란히 등장한다.

 

이때의 공매처분은 응찰이 이뤄지지 않았던 것인지 끝내 무산되었고, 그 후 1917년에 이르러 무상대여의 형태로 이곳을 차지한 주체는 일본 기독교 계열의 사회사업기관인 ‘재단법인 가마쿠라보육원 경성지부(財團法人 鎌倉保育園 京城支部)’였다. 이 단체의 연혁에 대해서는 조선총독부 내무국 사회과 편, <조선사회사업요람(朝鮮社會事業要覽)>(1924)에 잘 기술되어 있다

 

재단법인 가마쿠라보육원 경성지부
△ 소재지 : 경성부 삼판통 370번지
△ 설립 : 대정 2년(1913년) 8월 11일
△ 연혁 : 본원(本園)은 가나가와현(神奈川縣) 가마쿠라보육원의 지부이다. 원주(園主) 사타케 오토지로(佐竹音次郞)는 대정 원년, 2년(1912, 3년)에 걸쳐 조선시찰의 결과 신개지(新開地)에서 고아구제(孤兒救濟)의 필요를 느끼고, 동 2년(1913년) 8월 본부 출신의 남녀 2명씩을 동반하여 경성으로 와서 장곡천정(長谷川町, 지금의 소공동) 일본기독교회(日本基督敎會)에서 결혼을 시키고 곧장 한 부부를 남만주 여순(南滿洲 旅順)으로 파견하여 그곳에서 보육(保育) 및 개간(開墾)의 사업을 개시하도록 했으며, 다른 부부를 당지(當地)에 남겨 지부를 창설하도록 했다. 부부, 즉 전 주임(前主任) 사타케 곤타로 부처(佐竹權太郞 夫妻)는 한강통(漢江通) 삼각지(三角地) 부근에 협소한 집을 빌려 사업을 개시하
였는데, 이보다 앞서 인천(仁川, 내지인)으로부터 소아(小兒) 5인에 대한 구호신청이 있어서 사업개시와 동시에 이들을 인수하여 양육하여 왔으나 지부의 방침은 오로지 조선인 고아의 수용을 목적으로 하였으므로 이들 내지인 아동은 가마쿠라 본부로 옮기고 그 후 조선인만의 수용에 주력하였다. 대정 4년(1915년)에 이르러 한강통 일본기독교회의 신축 이전에 따라 그 터를 빌려 이전하였다. 당시 가족(家族; 본원은 고아 및 종사자를 전부 일가족으로 부른다)은 21명이다.
대정 6년(1917년) 8월 총독부에게서 경성 삼판통 옛 한국정부 전생서 터의 토지가옥을 무상대하(無償貸下)를 얻어 이곳으로 이전하였다. 이 자리는 천여 평의 면적을 지녔고, 커다란 건축물이었을 뿐만 아니라 남산(南山)의 남록(南麓)에 있어서 조망이 좋아 대단한 건강지(健康地)여서 이 사업을 위해서는 실로 천여(天與)의 호적지(好適地)이다. 후에 가옥을 수선하고 증축하여 대정 7년(1918년) 경성부에서 수용 구호했던 빈아(貧兒)와 기아(棄兒)의 양육업무를 넘겨받아 해마다 사업을 확장시켜 현재에 이르고 있다. 그리고 지금은 소다 카이치(曾田嘉伊智) 씨 부처에 의해 경영되고 있다. (하략)

 

이곳에서는 경성부에서 맡겨지는 조선인 아동들을 양육하는 것을 주된 일로 삼았다. 여기에는 고아(孤兒, 홀로 된 아이)뿐만이 아니라 미아(迷兒, 길 잃은 아이)와 기아(棄兒, 버려진 아이)도 포함되는데, 서울 지역에서 해당 사례가 발생하면 대개 이곳 가마쿠라보육원이나 ‘옥천동 126번지’에 자리한 경성보육원(京城保育院, 1920년 1월 3일 창립)으로 나뉘어 수용되는 것이 보통이었다.

 

<조선사회사업요람> (1927)에 수록된 가마쿠라보육원 경성지부의 모습이다. 건물 전면에 ‘간줄헌(看茁軒)’ 편액이 또렷이 보이는 것을 보면 이때까지도 옛 전생서 건물이 그대로 잘 보존되어 있었다는 사실을 파악할 수 있다.

소다 카이치 내외가 가마쿠라보육원 원생들과 나란히 기념촬영을 한 사진자료이다. 뒤로 보이는 건물은 옛 전생서의 정청(正廳)이다. (조선총독부, <Thriving Chosen>, 1935)

<매일신보> 1916년 5월 19일자에 수록된 가마쿠라보육원 탐방기사에는 이곳에 수용된 조선인 고아들이 죄다 일본 복장에다 조선어는 잊어버린 상태라고 소개하고 있다. 이 당시는 아직 전생서 터를 무상 대여하기 전이므로, ‘일본기독교회 터 (한강통 13번지)’에 있던 시절의 모습으로 봐야 할 것이다.

 

또한 이보다 앞선 시기의 자료이긴 하지만, <매일신보> 1916년 5월 19일자에 수록된 「일본화(日本化)된 가련아(可憐兒)」 제하의 보육원 탐방기사를 통해 또 다른 운영 실태를 엿볼 수 있다.

 

지나간 8일에 경기도청에서 다년 자선공공에 종사한 점으로 표창된 용산의 ‘가마쿠라보육원’ 지부 사타케 곤타로(佐竹權太郞) 씨를 방문하여 씨의 다년 진력하여 오던 소아보육 사업을 구경 갔더니 마침 사타케 씨는 집에 없고 부인이 정답게 면회하여 이층 위 한 방으로 인도하는데 창문 밖에는 뚝뚝 덧는 녹음이 어우러졌으나 방안에는 월계의 조화 하나 밖에 아무 장식품도 없더라.
부인은 근신하는 태도로 말하여 왈(曰) “지금 아이들은 열여섯 명 있는데 다 조선 아이들이나 아주 일본 아이들 모양이 되었고 또 말도 조선말은 잊어버리고 일본말을 잘 합니다.
제일 큰 아이가 열여덟 살이요 제일 어린 아이가 네 살인데 다 말도 잘 듣고 조용히 잘 있습니다. 하는 일은 별로 없어요. 돝(돼지)과 닭을 치는 이외에는 아무 일도 없고 아침저녁에는 찬미가를 노래하고 기도를 할 뿐입니다. 또 매일 냉수목욕을 시키는데 전체가 다 건강은 합니다. 조선 아이들은 일본 아이들과 같지 아니하여 재주들이 있고 공부를 시키면 한나절이고 하루 동안이고 싫어하지 아니하고 잘 합니다. 일본 아이들과는 달라요. 풍금같은 것이라도 하나 있었으면 아이들을 위로하여 주겠다고 생각합니다. 또 저녁때는 큰 아이들이 어린 아이를 데리고 의좋게 산보를 다닙니다.
뜰에 나가본즉, 등꽃이 곱게 피어있는 아래에서 아이들이 닭의 모이도 주고 군대의 남은 밥을 얻어다가 돝을 기르기도 하는 옆에서 조그마하나 아이가 모래 장난을 하고 있는 모양이 참 평화한 지경을 이루었더라.

 

약간 특이한 점은 이곳이 이른바 ‘사회사업기관’이라고 하여 해마다 기원절(紀元節, 2월 11일)을 기려 일본 천황이 하사하는 ‘사회사업장려’ 명목의 내탕금(內帑金)을 수령하는 수혜기관의 명단에 가마쿠라보육원이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는 사실이다. 또한 1934년 4월 6일에는 당시 우가키 가즈시게(宇垣一成) 조선총독이 엄창섭(嚴昌燮) 총독부 학무국 사회과장의 안내를 받아 직접 이곳을 시찰한 일도 있었다.

 

<황성신문> 1906년 10월 4일자에 게재된 ‘황성기독교청년회 학원 모집광고’에 일본어 교사 ‘소다 카이치’의 이름이 등장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가마쿠라보육원이라고 하면 으레 함께 떠올려지는 인물은 앞서 연혁 설명에서 나온 소다 카이치(曾田嘉伊智, 1867~1962)이다. 그의 행적에 관한 자료를 뒤져보니 일찍이 1906년 이래로 황성기독교청년회관(종로YMCA)에서 일본어 교사로 활동한 사실 정도가 우선 눈에 띈다.
그 후 가마쿠라보육원의 운영을 떠맡게 되는 시기는 명확하지 않지만, <윤치호일기> 1919년 7월 10일자의 기록에는 옛 전생서 터였던 가마쿠라보육원 지부를 방문한 일과 관련하여 당시 이곳의 운영자로 일본인 기독교도인 사타케 곤타로(佐竹權太郞, 본부 원주인 사타케 오토지로의 아들)를 언급하고 있다. 이러한 사실에 비춰보면, 소다가 선임자인 사타케에 뒤이어 두 번째 주임으로서 이곳에 처음 부임한 때는 최소한 1920년을 넘어가는 시점이 아닌가 짐작할 수 있다.
그리고 1938년 5월 8일에 “내선인 기독교인의 단결을 도모하고 서로 협력하여 기독교 전도의 실효를 선양하고 황국신민으로서 총후보국의 정성을 다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내선인기독교연합회(內鮮人基督敎聯合會)가 결성될 때 평의원(評議員)의 한 사람으로 이름을 올린 사실이 드러나지만, 그에 관한 여타의 행적에 대해서는 자세히 알려진 바 없다. 1940년에는 원산(元山)으로 옮겨가서 그곳에서 전도사업에 주력하다가 일제의 패망을 맞이한 것으로 전해진다.

<동아일보> 1962년 3월 29일자에 수록된 소다 카이치의 사망 기사이다. 그는 전년도인 1961년 5월 7일에 입국한 지 10개월여 만에 옛 가마쿠라보육원 경성지부 자리인 영락보린원에서 숨졌다.

<경향신문> 1950년 1월 16일자에 수록된 소다 타키코 여사(소다 카이치의 처)의 사망기사이다.

 

해방 이후 소다 카이치는 1947년 가을에 일본으로 되돌아갔으나 그의 처인 소다 타키코(曾田瀧子, 1878~1950)는 홀로 잔류하였다가 1950년 1월 14일 세브란스병원에서 숨졌다. 이때 사회부장관이 장의위원장이 되어 소다 원모(院母)의 사회장이 거행되었고, 유해는 ‘홍제동 화장장’으로 옮겨진 바 있었다.

양화진외국인묘지에 자리한 ‘고아의 자부’ 소다 카이치의 묘소 전경이다. 오른쪽은 소다 카이치의 묘비이고, 왼쪽은 1987년에 사타케 신(佐竹伸)이 건립한 소다 카이치와 강진형(姜振馨, 가마쿠라보육원의 조선인 주임) 묘역 참배 기념비이다.

 

이로부터 다시 10년의 세월이 흐른 다음 1961년 5월 7일, 이번에는 90세를 훌쩍 넘긴 소다 카이치가 여생을 한국에서 보내기 위해 김포공항을 통해 서울로 들어왔고, 해를 넘겨 1962년 3월 28일 영락보린원(永樂保隣院; 1947년 가마쿠라보육원 터 불하, 1948년 서울보육원 인가, 1956년 영락보린원 개칭)으로 전환된 옛 전생서 터이자 가마쿠라보육원 경성지부터에서 심장마비로 세상을 떠났다. 25년 가량에 걸쳐 조선인 아동들에 대한 보육활동을 한 그에게는 ‘이례적으로’ 문화훈장이 주어졌으며, 그는 ‘고아(孤兒)의 자부(慈父)’라는 수식어와 함께 양화진외국인묘지에 묻혔다.

 

1947년 이후 서울보린원을 거쳐 영락보린원으로 변신한 옛 가마쿠라보육원 경성지부 터의 현재 전경이다. 정문 앞쪽에는 ‘전생서 터’ 표석 하나가 다소곳하게 놓여 있다.

<저작권자 ⓒ 민족문제연구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