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행자를 위한 에세이北>에 재미난 구절이 많다고 말씀해 주셨는데, 혹 한두 개 정도 소개해주세요.
● 책에 보면 이런 구절이 있어요. 시각의 차이라고 볼 수 있는 대목인데, 어느 분교에서 17년 동안 졸업생 7명을 배출했대요. 선생님이 있고, 교장 선생님도 있는 그런 학교죠. 어떤사람은 ‘대단하다. 진짜 사람을 위한 교육을 하고 있네’라고 평할 것이고. 다른 시각의 어떤 사람은 ‘아니 그런 학교를 없애지 않고 왜 그냥 놔두지?’라고 평하는 사람도 있겠죠. 이런 상반된 시각에 대해서 내 의견을 담아 책에 실었어요,. 그런 건 가능한 거잖아요? 그것이 작가로서 당연한 의무이기도 하고요.
또 하나는 종교에 대한 생각을 적은 구절이 있어요. 북에 종교의 자유가 있느냐? 부터 시작해서 왜 기독교는 북에서 뿌리를 내리지 못하는가? 라고 적은 구절이 있는데요. 우리는 그것이 북의 종교탄압의 증거라고 말해왔고, 또 그렇게 알고 있었죠. 그런데 제가 알아본 바로는 북에서 종교탄압의 흔적은 찾아보기 쉽지 않아요.
그런데 미국이란 나라가 기독교를 신봉하는 나라잖아요. 한국전쟁 당시 미국이 북에 어마어마하게 폭탄을 투하해요. 기독교를 믿는 사람이든 믿지 않는 사람이든 구분없이 많은 사람들이 그 폭탄에 의해 희생을 당했어요. 그런 기억이 생생히 남아 있는 사회에서 미국을, 또 기독교를 이야기하고 종교를 믿어보라 권유한다면 그 사람들에게 씨알이 먹히겠어요?
그는 이렇게 두 가지 에피소드를 이야기했다. 교육과 종교라는 두 가지 사례로만 살펴봐도 북은 우리가 이해하기 어려운 사회다. 소위 합리성과 효율이란 이름으로 무장한 자본주의의 남과 사회주의 체제를 고수하고 있는 북은 애시당초 비교대상이 아니라 연구대상일 수밖에 없고, 그래서 둘이 하나가 되기 위한 과정은 번갯불에 콩 구워먹듯 일시에 가능한 것이 아니라 오랜 시간 서로의 체제를 인정하는 가운데 대화하고 교류하며 물 흐르듯 천천히 이루어 나가야 할 과제일 것이다.
<여행자를 위한 에세이北>은 북의 사회제도에 대한 측면과 우리 사회와 너무나도 이질적이 어서 현재 대한민국에서 살고 있는 사람이라면 고개를 갸우뚱할만한 북의 문화에 대해 적은 책이다. 말하자면 북을 좀 더 내밀하게, 쉽게 이해하기 위해 펴낸 교양서라 할 만하다. 아무튼 출간된 지 이제 1년하고 3개월 정도 지난 책이지만 재미나게 읽을 수 있는 책이다. 민족문제연구소 회원들, <민족사랑>을 탐독하시는 분들이라면 일독을 권한다.
솔직히 책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며 책에 대한 이야기보다 탈북민들에 대한 이야기, 또 종편에 대한 이야기를 더 길고 다양하게 나누었다. 대표적으로 TV조선에 출연하고 있는 자칭 북한 전문가라 칭하는 탈북민의 말을 액면 그대로 신뢰할 수 있느냐의 문제부터 학자입네 하며 온갖 교양을 떨어가며 검증되지 않은 정보들을 설파하는 사람들의 이야기, 또 중앙정보부 시절에나 만들어졌을 법한, 이제는 박물관에 보관하기에도 부끄러운 북의 종교의 자유가 있느냐, 없느냐에 대한 논쟁까지 곁들여 이야기했지만 그 이야기 전체를 지면에 싣지는 못했다.
그는 벌써 세 권의 책을 출간한 작가다. <사람을 노래하다>, <스파시바, 시베리아>, 그리고 지금껏 이야기 나누었던 <여행자를 위한 에세이北>까지 총 세 권의 책을 출간했다. 그동안 책이 얼마나 많은 이들에게 읽혔는지 궁금했다.
● 지금까지 책을 총 세 권을 출간하신 걸로 알고 있는데요? 세 권의 책 중 가장 많이 판매되고 대중들에게 사랑받는 책은 어떤 책인가요?
● 첫 번째 책하고 두 번째 책은 오래 되어서 기억이 가물한데, 두 권 모두 3쇄씩 찍었어요. 그러니까 최소 4천 권 이상은 팔렸다고 봐야죠. 그리고 새로 나온 책은 2천 권 정도 판 매된 듯해요.
● 인문학 서적이 거의 판매가 안 되는 점을 감안하면 그래도 많이 나간 편이네요?
● 그런 셈이죠. 그런데 그게 참 희한해요. 오래 전 음반시장이 호황이라고 할 적에도 제 음반은 한 3천 장 정도밖에 안 나갔어요. 서태지가 200만장을 팔았네 하던 시절에도 제 음반은 안 나갔어요. (웃음) 전 무얼 해도 3~4천정도? 그 정도로 지금껏 먹고 살고 생활을 꾸려왔죠. 그냥 알음알음 그렇게 판매되었고, 그 3~4천이란 숫자가 나를 도와주고 지금의 내 생활을 책임져 준 사람들이라고 생각하고 있어요. 고마운 일이죠. 그런데 혹시 <스파시바, 시베리아>는 읽어 보셨나요?
● 예. 읽어 봤습니다. 그런데, 그 책을 읽으면서 한국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로망 중 하나인 대륙철도 타고 시베리아 거쳐 유럽까지 가고 싶다는 생각을 했어요. 특히 서울역에서 기차표 끊어서 기차 타고 프랑스 파리, 런던까지 가는 꿈도 꾸었고요. 거의 모든 사람이 다 그렇지 않나요?
● 내가 그 책에 적은 내용들을 생각해 보면 내 당위일 수 있어요. 내용이 독특한 상상이라거나 새로운 것이 아니라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 내가 지극히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내용들을 열거한 거라서요. 죽은 사람 추모하고 우는 사람 위로하고 그런 사람들 이야기를 엮어서 책으로 만든 거니까 제 입장에선 당연한 거죠. 우리나라 같은 현실에서는 독립군 활동했던 사람들의 이야기가 책에 실리는 게 자연스러운 거 아닌가요? 그런데 TV나 라디오 같은 데엔 그런 이야기가 안 나오잖아요. 그게 이상한 거지, 내가 이상한 건 아니잖아요? 그러니 나라도 기록을 해야지 하는 마음으로 책에 실은 거죠.
● 그럼 시베리아엔 몇 차례나 다녀오셨나요?
● 한 열두 차례 정도 되는 것 같은데요.
● 직접 가서 보시니까 기분이 어떠셨어요?
● 시베리아를 직접 눈으로 확인하는 순간 뭐랄까… 우리가 이렇게 쪼잔하게 살아도 되는 건가? 싶죠. 거긴 말 그대로 광야예요. 끝이 보이지 않는 그런… 우리나라에서 그런 데를 보려면 그나마 호남평야 정도나 되야 가능하려나? 그런데 찬찬히 생각해 보면 (호남평야의 땅은) 다 누군가의 소유잖아요? 소유관계에 따라서 개발되고 경작되고 하는 거잖아요. 그게 누군가에게는 이익 구조지만 또 누군가에게는 착취 구조인 거죠. 시베리아에는 그런 게 없어요. 그 넓은 대지와 강에 콘크리트가 없어요. 콘크리트를 쓴다는 건 경계를 쌓는다는 거예요. 콘크리트로 경계를 나눈다는 건데, 거긴 그냥 강과 산으로 경계를 확인할 수 있지 인위적인 것들이 없어요. 돌이켜 생각해 보면 그곳은 자연에 묻혀서 어우러져 사는 곳이지 자연을 개발한다는 개념이 없는 거죠. 그곳에 가면 소위 반성이란 것들이 자연스러워지죠. 생명이니 평화… 이런 개념들이 시베리아에 가면 말 그대로 자연스러워지니까요.
이후에도 자연을 재산 삼아 살아가는 시베리아 사람들의 이야기, 땅 한 평 가지기 위해 매일을 사람과 투쟁하는 우리와 매일이 대자연과의 투쟁인 그들의 이야기, 1년의 2/3가 겨울인 그곳에서의 생존방법 등등 대한민국에서 사는 보통의 존재들인 우리와는 사뭇 다른 시베리아 사람들의 삶의 방식과 자세에 대해 두런두런 이야기를 나누었다.
이지상 씨는 시베리아에서 보고 배운 것도 많았지만 우리가 그동안 이 땅에서 어떻게 살아왔는지에 대한 반성의 시간을 가지게 된 것이 <스파시바, 시베리아>를 쓰게 된 계기이자 그것이 책의 내용이라고 말해 주었다. 끝으로 최근에 발매한 그의 6집 앨범에 대해 이야기가 자연스럽게 넘어갔다.
● 최근에 앨범을 새롭게 발매하셨는데, 제목이 특이한 것들이 몇 곡이 있네요. “윤치호에게 쫓겨난 소녀”도 그렇고, “기차는 그 새벽을 떠났다”도 그렇고요.
● 채광석이란 시인이 작년에 시집을 새로 출간했고, 출판기념회에 저를 초대했어요. 그 시인과 일면식도 없는데 말이죠. 초대를 받아 가는 자리인데, 그냥 가기는 모양새가 좀 그래서 시집을 먼저 읽어보니 채광석 시인이 연해주에 다녀와서 쓴 이야기들을 시로 써 놓은 것들이 있더군요. 읽어보니 역사적 관점이 저랑 비슷해서 그의 시 두 개를 곡으로 썼죠. 그게 바로 질문했던 곡들이에요. 오래 전부터 한번 곡으로 만들어야지 했던 것들을 게으름 피우느라 못 쓰고 있었던 걸 이때다 싶어 일사천리로 곡을 만들었죠.
● 그럼 혹시 6집 앨범 만들면서 특별히 곡을 만들 때 고심하며 만드신 곡, 공을 들여서 만든 곡이 있으실까요?
● 노래를 만들 때 고심하고 공을 들이지 않은 곡이 따로 있을까요? (웃음) 다만 6집 앨범중에 가장 고심하며 곡을 만든 것이 무어냐고 묻는다면 타이틀곡인 “나의 늙은 애인아”가 아닐까 하네요. 그 노래의 가사는 최광림 시인의 시인데, 시가 아주 길어요. 그 긴 것을 가지치기 하고 정리해서 엑기스만 모아서 가사를 만들었죠.
● 원래 있던 시를 토대로 곡을 만드셨다고 하는데, 혹시 누구를 염두에 두고 쓰신 건가요?
● 특정인을 염두에 두고 쓴 건 아니고요. 우리 같은 사람들, 그러니까 동시대를 살아왔던 사람들에게 하고 싶은 이야기? 권고와 같은 노래죠. 우리 나이쯤 되면 누군가는 성공했다고 우쭐대기도 하고, 또 누군가는 찌질하게 움츠러든 사람도 있고 그렇거든요. 그런데 이야기를 하다 보면 젊은 시절에 가지고 있었던 지향들은 여전히 유효하고 비슷하거든요. 하지만 물리적으로 나이 먹고 늙어가는 것을 인정한다면 도드라지진 않더라도 느긋하게, 하지만 뜨끈함을 잃지 말고 살아가자는 그런 노래죠. 그러니까 애인이라는 대상이 특정한 개인이 아니라 동시대를 살아왔던 우리 모두를 지칭한다고 봐야겠죠.
힘겹게 경쟁의 틈바구니에서 생존의 방도를 찾고 있는 청춘들의 이야기를 노래한 곡들은 많지만 이제 노년으로 향하는 중년 아저씨, 아줌마들에게 들려주고 싶은, 아니 그냥 우리들의 이야기를 담은 노래라니 다시 한번 이야기를 새기며 들어봐야겠다 생각했다. 이후 민족문제연구소와의 인연이 언제부터였는지, 또 내년이 연구소 창립 30주년임을 주지시켜 드리고 기나긴 대화를 마쳤다. 인터뷰 원고에는 제대로 반영이 안 되었지만 대화는 즐겁고 유쾌했다. 역시 오랜 세월 한 우물 파며 사람과 시대를 노래한 가객의 풍모가 느껴지는 시간이었고, 이런 공식적인 기회가 아니더라도 따로 자리를 마련해 더 많은 이야기를 청해 듣고 싶게 만드는 시간이었다. 귀한 시간을 내주신 이지상 씨에게 글로나마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