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기사

[영남일보] [토크 人사이드] 대한광복단기념사업회 정윤선 회장 “국내 첫 무장항일 단체 대한광복단 역사 재조명 목표”

1160
정윤선 대한광복단기념사업회 회장은 “올해는 대한광복단 초대 단장 소몽 채기중 선생의 순국 100주년이다. 제대로 빛을 보지 못한 수많은 독립운동가와 대한광복단의 역사성을 재조명하겠다”고 말했다.

“국내 최초 무장 투쟁 독립운동단체인 대한광복단의 10년사를 기록으로 남기고, 나라를 위해 장렬히 산화하신 고귀한 대한광복단 단원 한 분 한 분을 재조명하는 것이 저의 목표입니다.” 제66회 현충일인 지난 6일 오후 경북 영주시 풍기읍에 있는 대한광복단기념공원 내의 사무실에서 만난 정윤선(여·68) <사>대한광복단기념사업회 회장은 이같이 말했다. 충북 영동에 거주하는 그녀는 서울대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하이델베르크 대학 이학박사를 수료했다. 또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한국건설기술연구원 등에서 연구원으로 활동해 왔다. 오랜 독일생활을 마치고 한국으로 돌아왔을 당시 큰오빠를 통해 민족문제연구소의 존재를 알게 된 정 회장은 이 연구소의 제천단양 지회장을 맡기도 했다. 그러던 중 대한광복단기념사업회 측으로 사업회의 요청으로 이사직을 맡았다. 그녀는 사업회가 후손이 없는 독립운동가의 묘소를 관리하며 제(祭)를 지내는 것을 보고 감동했다고 그 당시를 회상했다. 이후 10년 가까이 이사직을 맡았던 그녀는 2019년 6월10일에 회장에 취임했다.

광복단, 채기중 선생 중심 10년간 활동
일본군과 전투·광복군 창설 등 큰 영향
기념사업회, 독립운동가 묘소 관리 맡아

올해 초대 지도부 처형 당한 지 100년
광복절 300여 순국선열 추모제 계획
역사 반추 ‘약사비’ 제막식도 열 예정

▶올해 8월은 대한광복단 초대 단장 소몽(素夢) 채기중(蔡基中) 선생의 순국 100주년이다.

“취임 후 처음으로 한 일은 ‘대한광복단 약사비’를 새로 세운 일이다. 지난 3월 영주시의 지원을 받아 약사비 설치를 완료했고, 오는 광복절에 제막식을 열 예정이다. 약사비 제작이 대한광복단의 역사에 대해 반추하는 계기가 됐다. 특히 대한광복단의 역사가 어떻게 발굴됐던 가를 알게 된 것이다. 1910년대 국내 무장독립운동에 대한 연구 초기 대한광복단은 풍기광복단으로 불리며 1915년 대구 달성공원에서 결성된 광복회의 지역적 전신 정도로만 간주했다. 그러나 해를 거듭하면서 자료발굴과 연구를 통해 대한광복단이 1913년 창립 당시부터 전국적이었고 국제적인 조직이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제대로 빛을 보지 못한 수많은 독립운동가와 대한광복단의 역사성을 재조명하겠다. 초대 단장이신 채기중 선생 등 지도부가 서대문감옥·대구형무소 등에서 처형당한 지 100년이 되는 올해 광복절에 나라를 되찾기 위해 목숨을 바친 대한광복단 소속 300여 순국선열들의 위패를 모시고 추모제를 계획하고 있다.”

▶대한광복단이 광복회·의열단·한인애국단·광복군 등의 수많은 무장 항일 투쟁 단체 중 최초라고 하는데.

“대한광복단은 1913년 정월, 경북 풍기에서 결성된 자칭 ‘비밀결사 혁명기관’이다. 초대 단장인 소몽 채기중 선생을 중심으로 구한말 의병 장군들을 포함해서 8도의 동지들이 모여 만든 국내 최초의 무장 독립운동단체다. 대한광복단은 투쟁상황에 따라 1915년 광복회, 1916년 다시 대한광복단, 1918년 지도부가 체포된 뒤에는 남은 단원들에 의해 광복단결사대·암살단 등으로 이름을 바꿔가며 약 10년간 국내에 존재했다. 이후 남은 단원들은 만주나 상하이 등지로 옮겨갔다. 이들은 의열단, 만주에서의 일본군과의 전투, 광복군 창설 등에 큰 영향을 미쳤다.”

▶대한광복단의 창설과 역사적 의미는.

“1913년 대한광복단의 창설은 초대 단장인 채기중과 동지들의 1년여 집중적인 조직사업의 결과였다. 이로써 민국을 지향하며 무장투쟁을 통한 항일과 독립전쟁을 준비·이행하는 혁명기관이 처음으로 광복이라는 기치를 내걸고 국내에 탄생한 것이다. 대한광복단은 처음부터 전국적이고 국제적인 조직이었으며, 독립전쟁의 서막을 알리는 신호탄이었다. 국내의 강점세력에 대해 정면투쟁을 선포하며, 거의 10년간 그 세력을 유지했다는 의미에서도 대한광복단은 독립전쟁사에서 뚜렷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대한광복단 초기 결성 과정은.

“채기중은 수년간 치밀하게 준비해 갔다. 만주를 여러 번 드나들던 그가 1912년 봄에 서간도에서 조성호에게 거액 500원을 건넸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이미 그 이전부터 동지규합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적극적인 조직사업은 1912년 봄 이후다. 의병장 출신 지사들, 젊은 용사들, 풍기 주변의 지인들이 참여했다. 채기중은 모험용사대의 양성에 특히 큰 노력을 기울여 80여 명의 인원이 확보됐다. 이는 양한위 선생의 ‘양벽도공제안실기’라는 책에 기록돼 있다.”

▶당시 재정기반과 동지규합은 어떻게.

“채기중·김원식·정성산 세 사람이 자신의 재산을 내놓았고, 팔도에서 모인 유창순·장두환·유장렬·김병렬·한훈·정운기·정진화·강순필·김상옥·정만교 등이 창립 단원으로 참여했다. 양제안·양한기·양한위 삼부자와 예산의 김한종 등은 이름을 알리지 않은 채로 협조했고, 충청·전라·평안도의 지사들이 지속해서 영입됐다. 1914년에는 밀양의 황상규·김대지 등이 합류했고 단원 수가 200여 명에 달했다고 한다. 풍기학교훈도인 박제선, 춘양교원 류명식·박계양·정의극·이교덕·권영목 등을 통해 재산이 있는 이들을 망라해 영주 읍내에 ‘대동상점’을 차렸고 이를 통해 모은 자금 수만원으로 만주를 통해 무기를 사들였다.”

▶대한광복단이 1915년 광복회로, 1916년 다시 대한광복단으로 개칭됐다는데.

“대한광복단 단장이던 채기중과 박상진의 1915년 만남은 조직의 새로운 전기를 이뤘다. 양제안의 조언으로 박상진은 이복우와 함께 풍기의 채기중을 방문했고, 이들의 의기투합으로 대한광복단은 군대식으로 재편성되며 1915년 음력 7월 15일 대구 달성공원에서 광복회로 거듭난다. 박상진을 총사령, 이석대를 부사령으로 하고 각 지역의 지부가 결성됐다. 지부장은 경기 김선호·황해 이관구·강원 김동호·평안 조현균·함경 최봉주·경상 채기중·충청 김한종·전라 이병찬 등이 맡았다. 12월에는 만주 본부 성격을 갖는 ‘길림광복회’가 설립됐다. 이석대가 전사한 뒤에는 김좌진이 부사령을 맡았다. 채기중과 박상진은 수시로 연락하며 모험용사대와 연결했다. 하지만 박상진 등 대구 조직원들이 6개월의 옥고를 치르며 조직의 정체기가 오자 채기중·한훈·노백린·김좌진 등이 조직을 재정비해 다시 대한광복단으로 개칭하게 된 것이다. 이는 해방 후 몇 안 되는 생존 창립단원 중 한 분인 한훈 선생이 기록하고 있다. 이 시기 단원들에 의해서도, 일본 경찰의 기록에도 광복단과 광복회라는 명칭이 혼용돼 쓰였다.”

▶대표적 무장 항일 투쟁 활동은.

“이들의 목표는 무기 구입과 훈련으로 독립전사를 양성하여 무력이 완비되는 대로 일인섬멸전을 단행하는 것이었다. 자금 확보를 위해서는 주로 일본인이 불법징수하는 세금을 압수하거나, 부호에게 의연금을 요청하고 거절 시 탈취하는 활동을 하였다. 이들의 활동을 보면 △제천 근북면사무소 습격(강순필) △충남 직산 금광잠입, 군자금모집 시도(김대지) △영주 대동상회 개설(박제선·권영목) △경주 광명리 세금마차 습격(우재룡·권영만) △보성과 벌교의 양재학, 서도현 처단 및 보성 헌병대 습격(한훈·김상옥·유장렬) △조선총독 데라우치 암살 시도(이관구·성낙규·조선환) △평북 영변에서 동양금광회사 수송마차 습격 (이석대·조맹선) △칠곡 친일부호 장승원 처단(채기중·유창순·강순필·임세규) △아산 도고 친일 면장 박용하 처단(김한종·김경태) △암살단 조직, 조선총독 사이토마코토 암살 등 시도(한훈·김상옥) △종로경찰서 폭탄 투척(김상옥) 등 1913년에서 1923년까지 약 10년간 활발한 무장 투쟁활동을 진행했다.”

▶올해가 대한광복단 초대 단장인 채기중 선생의 순국 100주년이라는데.

“채기중 선생은 1873년 경북도 함창 소암1리에서 태어났다. 1906년 그가 34세가 되든 해, 봄에 그는 가족을 데리고 풍기면 서부리 한림동으로 이사를 했다. 선생은 1907년 8월의 풍기·순흥전투를 경험했고, 또 11월에는 민긍호 부대의 치열한 죽령전투도 경험했다.

꼼꼼하고 치밀한 성격의 선생이 1913년에 비밀결사 혁명기관인 대한광복단을 조직해 단장을 맡은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양한위의 기록을 보면 ‘풍기에 혁명기관을 설치하고 의병잔당과 모험용사를 불러 대사를 도모하는 의기충천한 문사’라고 했다. 선생은 1918년 7월14일에 전라도 목포에서 군자금 모집 활동을 하다 체포됐다. 이후 1919년 2월28일에 공주지방법원에서 사형 판결을 받았고, 1920년 3월1일 고등법원에서 상고가 기각되며 사형이 확정됐다. 1921년 음력 7월8일에 선생은 동지 강순필·임세규 등과 함께 서대문감옥에서 형장의 이슬이 됐다. 올해가 선생의 순국 100주년으로 특히 선생이 숨을 거둔 음력 7월8일이 오는 8월15일 광복절이다.”

▶대한광복단 10년사와 대한광복단 소속 단원들의 업적 기록 계획은.

“당시 비밀결사 조직으로 활동했기 때문에 단원들에 대한 자세한 기록은 많이 남아 있지 않다. 1917~1918년 많은 단원이 투옥되면서 일본 경찰과 검찰에 의해 남겨진 자료가 거의 유일할 정도다. 경찰에 쫓기던 단원들과 가족들은 보유하고 있던 자료를 아궁이에 넣고 태우기에 급급했다고 한다. 그런데도 자료는 지금도 꾸준히 조금씩 발견되고 있다. 발굴된 자료를 해석하는 것도 큰일이다.

현재까지 기념사업회는 세 차례의 학술회의를 통해 대한광복단의 역사에 대한 가치 진작에 힘써 왔다. 그러나 대한광복단 활동의 전모를 알 수 있는 작업은 이뤄지지 않았다. 올 하반기부터는 ‘대한광복단-광복회-광복단결사대-암살단-의열단’에 이르기까지 대일독립전쟁의 서막인 ‘대한광복단 10년사’를 찾아내고 정리하는 작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할 계획이다.”

글·시진=손병현기자 why@yeongnam.com

<2021-06-23> 영남일보

☞기사원문: [토크 人사이드] 대한광복단기념사업회 정윤선 회장 “국내 첫 무장항일 단체 대한광복단 역사 재조명 목표”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