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사랑

식민지역사박물관 관람을 마치고

704

[후원회원 마당]

 

식민지역사박물관 관람을 마치고

김선태

효창공원에서 백범묘소, 삼의사 묘소와 임정요원 묘소까지 둘러보면서 참배도 하고나자, 이제 우리 일행을 식민지역사박물관으로 안내하였다. 우리 역사의 아픈 매듭이자 가장 슬픈 역사가 되어야 할 일제침탈의 역사를 살피고 그 아픔을 새겨 민족의 앞날을 밝히자는 뜻의 박물관이지만, 참으로 슬픈 ‘식민지’라는 이름이 미리 그 아픔을 전달하고 있었다.
식민지역사박물관을 찾아가는 길은 대로변도 아닌 이곳 청파동 골목길 중에서 중앙이라 할 숙대앞길에서 다시 골목길로 들어서서도 한참이나 더 들어가야 하였다. 슬픈 이름의 박물관이 위치까지도 ‘이건 아닌데…’하는 마음이 절로 들게 만들었다. 멀리에서도 알아볼 수 있을 만한 ‘식민지역사박물관’이란 간판을 보고 반가운 마음으로 걸음을 재촉하였다.
입구에 들어서는데 눈길을 사로잡은 동판에는 이 식민지역사박물관을 건립하는데 도움을 주신분들의 이름을 새긴 것으로 모두 10개 안팎이나 걸려서 여기 이름을 올리지 못한 나에게 ‘부끄러워하라’고 소리치는 것만 같아서 위압감을 주었다. 박물관으로 들어서기 전에 입구 한 켠에 ‘반민특위터’를 알리는 표지석이 전시되어 있었다. 너무 뜻밖이어서 의아하였는데, 본래 있던 자리에 새로 호텔건물을 짓고 있는데, 그래도 다행스럽게 공사장에서 연락해주어서 여기에라도 보관하고 있는 것이라며, 호텔이 완성되면 다시 제자리로 돌려보내고 싶지만 과연 받아줄 것인지 의문이란다. 호텔이라면 외국 손님들이 드나들게 되고 거기엔 일본사람들도 있을 텐데 호텔 측에서 리스크를 안고 이 표지석을 세워주려 할는지 걱정이란다. 국가에서 지정하여 세우면 모르지만 학술단체인 민족문제연구소에서 그럴만한 힘이 없어서 걱정이란다. “보훈처나 문광부 같은 정부기관에서 추진해 주어야 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방학진 님의 간단한 박물관 소개와 민족문제연구소 직원들의 소개를 한 다음에 “박물관이 협소하여 한꺼번에 많은 인원이 함께 관람이 어려우므로 반으로 나누어서 일부는 먼저 관람을 하시고 절반은 여기에서 잠시 대기하고 계시다가 관람을 하시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관람을 하실 분은 손들어 주세요.” 하
여 먼저 출발하였다. 나는 손자를 독촉하여 얼른 우리도 따라 가자고 하여 첫 해설사를 따라 나섰다. 얼른 마치고 국립중앙박물관의 석조물 정원에 있는 <홍제동 5층 석탑>을 찾아가서 사진도 찍고 자료를 수집하여 와야 하기 때문이었다. 관람 순서에 따라 중점적으로 해설해주셨지만 40분 정도면 자세한 해설의 1/3 수준이므로 무척 바쁘고 하고 싶은 말을 다 할 수 없는 시간이었다.
순서에 따라 1부 일제는 왜 한반도를 침략했을까라는 전시장에서는 제국들의 전쟁터가 된 한반도라는 패널을 중심으로 청일전쟁과 러일전쟁의 상황 들을 해설해주는데, 러일전쟁시에 독도가 중요 거점이 되어서 러시아 극동함대를 일본이 격파하였다는 전황을 이야기 해주었다. 재작년 11월 동북아역사재단에서 모집하는 독도체험관 해설사 교육을 받고 울릉도와 독도를 답사할때에 일본이 러일전쟁 시에 울릉도에 설치하였던, 4개의 일본해군 관측소 <석포전망대 외3>가 있어서 러시아 함대의 움직임을 몰래 관측하였다는 곳들을 돌아보았는데, 독도에도 이런 관측소를 마련하여 러시아 함대를 공격하는데 큰 힘이 되었다고 들었다. 이어서 조선총독부에 관한 자료들이 있었고, 특히 우리 국민을 괴롭힌 새로운 지배자, 조선총독에 관한 자료들이 전시되어 있었다.
다음 코너에서는 <총칼로 누르고 동화와 차별로 어르다>라는 주제로 어린이들의 놀이판으로 만든 조선 침략의 길, 그리고 일본화하기 위한 놀이판 등까지 수집이 되어 있었다. 마지막 코너 <빼앗긴 들, 황폐한 삶>에서는 일본의 수탈을 알리는 여러 가지 자료들이 있어서 한참을 바라보게 만들었다. 마지막으로 ‘1평으로 체험하는 식민지 : 학교 · 감옥’은 독립문 서대문형무소 역사관의 지하에 있는 고문과 형틀 등을 전시한 곳에서 보았던 작은 형틀(1인감옥 ; 서 있게 만든 것과 쭈그려 앉게 만든 것)을 생각케 만들었다.
2부 일제의 침략전쟁, 조선에서는 무슨 일이 일어났을까라는 전시장에서는 맨 먼저 우리 민족을 배반한 대표적인 친일언론의 민낯을 보여주는 코너로 <‘천황’을 위해 기쁘게 목숨을 바쳐라>라는 주제로 그들의 친일행적을 전시하여 두었다. 다음으로 <숟가락 하나도 남김없이 총동원하라>는 코너에서는 일본이 전쟁 물자를 대기 위해 밥그릇까지 모두 빼앗아 갔던 이야기이다. 이때 우리 할아버지께서는 놋그릇들과 먹을 식량을 지붕 위에 멍석을 깔고 용머리를 들추고 지붕의 이엉을 파내고서 그곳에 쌀과 그릇들을 감추시었다는 지혜로운 분이셨다. 그리하여 그릇들을 지키셨고, 10여 명이나 되는 가족들이 굶주리지 않고 살아남을 수 있었단다. 이런 생각을 하면서 또 하나 독립기념관을 개관할 때에 내가 <공출보국(供出報國)>이라는 글씨가 써진 사기 밥그릇을 기증하였었는데, 갑자기 그 그릇 생각이 났다. 놋쇠 밥그릇을 빼앗아 가고 대신에 밥을 담아 먹으라고 준 그릇이었다니 말이다. 다음 <청춘만장 앞세우고 끌려간 사람들>과 <돌아오지 못한 영혼, 남겨진 사람들>에서는 일본군으로 징병되어 끌려가는 사람들의 이야기가 전시되어 있는데, 이때 “살아 돌아오라는 염원을 담아 입혀 주었던 옷에 새겨진 글씨 무운장구(武運長久)와 천인침(천사람이 한 뜸씩 바느질을 한 허리띠)을 만들어서 꼭 살아 돌아오라는 염원을 담아 보냈지만, 수없이 사라져 버린 우리 젊은이들의 모습과 유품들이 전시되어 있었다.
3부 한 시대의 다른 삶 – 친일과 항일라는 전시장에서는 이 코너는 민족문제연구소에서 펴낸 웹툰 책의 제목과 같은 것이어서 일단은 대충 둘러보며, 같은 시대에 부끄러운 친일을 하고 살아생전 호사를 누리던 친일파들과 끝까지 지조를 지키며 나라를 위해 몸을 바친 구국의 투사들의 삶을 비교하고 있다. <망국의 한 독립의 꿈>에서는 독립운동을 한 의사, 열사, 지사들의 삶을 그리고 마지막으로 <나라를 팔아 부귀영화를 누린 그들>에서는 친일인명사전에 오른 사람들의 친일행각을 그리고 그들의 벼슬, 자손들의 대한민국에서의 출세와 권세를 부리며 살았던 자들을 소개하고 있다. <‘천황’의 신민으로 거듭난 그들>은 친일 행각으로 벼슬을 한 사람들과 작위를 받은 사람들을 보여주며 마지막으로 <고백과 성찰을 위한 기록, 친일인명사전> 편에서는 인명사전의 기초 작업을 하셨던 임종국 선생 사진과 그 육필원고가 전시되어 있어서 그 연구자의 엄청난 노력에 머리가 숙여졌다.
4부 과거를 이겨내는 힘, 지금 우리는 무엇을 할 것인가라는 전시장에서는 <반민특위의 좌절, 친일파의 귀환>에서 친일파들의 재등장의 역사를 보여주며, 입구에 있던 반민특위의 터조차 지키지 못하고 있는 대한민국의 현실을 깨닫게 해주었다. <분단과 독재, 지연된 역사정의>에서는 친일정권의 40년 집권의 흔적과 그런 사이 우리 민족정신의 망가짐을 일깨우고 있었고, <공감과 연대의 힘> <나는 싸우고 있다> 등에서는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일깨우고 있다. 중간에 영상으로 보여주는 <내가 역사의 증인이다>는 수많은 영상을 교대로 보여주고 있는데, 가장 관심이 가는 것들은 <살아있는데 야스쿠니에 합사된 강제동원피해자, 故 김희종 할아버지>와 <강제동원 피해자 유족 이희자 “김학순 할머니 이야기”> 그리고 일제와 끝까지 싸우고 계시는 <일본제철 재판 원고 故 김규수 할아버지>, <야하타 제철소 노무동원 주석봉> 등이 눈길을 끌었다, 물론 영상을 골라서 볼 수는 없었고, 시간에 쫓겨 다 보고 있을 시간도 없어서 차분하게 하루쯤 잡아서 보아야겠다고 다짐하였다. 장손 윤재가 유난히 관심을 가지고 해설을 열심히 들어 주어서 고맙고 감사하였다.

※ 6월 후원회원 초대의 날 참석 후기로 김선태 회원의 네이버 블로그 ‘70대 수퍼맨의 아름다운 노년’에 실린글이다. https://blog.naver.com/ksuntae/222408001759 김선태 회원은 78세로 이날 손주와 참석했다. 디지털문학 전자출판사를 운영했고 노년유니온 위원장, 국가인권위원회 노인인권지킴이 등을 역임했다.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