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리보는 시민역사관

황금물결 출렁이는 빼앗긴 들

963

군산세관과 군산항에 산적해 있는 쌀, 우편엽서 ①
군산세관과 군산항에 산적해 있는 쌀, 우편엽서 ②
쌀을 이출하기 위해 가마니를 쌓아 놓은 함북 웅기항의 모습, 우편엽서
양곡공출명령서, 1940년대
서천군에서 발행한 가마니 공출할당통고서, 1941
수확한 쌀을 도쿄, 오사카로 이출하기 위해 검사하는 장면, <농업과 토지개량사업성적>, 1929 ①
수확한 쌀을 도쿄, 오사카로 이출하기 위해 검사하는 장면, <농업과 토지개량사업성적>, 1929 ②
가마니를 제작하여 공출하는 모습, <寫眞報道 戰ふ朝鮮>, 1945 ①
가마니를 제작하여 공출하는 모습, <寫眞報道 戰ふ朝鮮>, 1945 ②

황금빛 들판으로 변해가는 수확의 계절 10월. 농촌은 한 해 농사의 결실에 힘든 줄도 모르고 일에 여념이 없을 시기다. 그러나 풍성한 들판을 보고도 웃지 못할 때가 있었다.

일제가 강제 병합한 1910년 이후 조선의 쌀 가격은 일본의 시장과 연동되어 일본이 쌀가격을 마음대로 책정하게 되었다. 지속되는 전쟁 속에 일본 국내에서 쌀 수요가 폭증하자, 일제는 1920년부터 1934년까지 식민지 조선에서 대대적인 산미증식계획을 실시했다. 산미증식계획의 명분으로 조선농촌의 경제적 향상을 내세웠지만, 실상은 일본 국내의 쌀 부족 현상을 타개하기 위해 조선을 식량기지화하는 것이었다. 일제가 역점을 둔 사업이 토지개량사업이었는데 그중에서도 핵심적인 사업이 수리조합사업이었다. 쌀 증산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수리시설의 안정화와 경작지의 확대가 필요했기 때문이다. 쌀 생산량이 증가하게 되면서 싼 가격에 일본으로 쌀 이출(移出)이 크게 늘어났다. 그 결과 조선은 극심한 식량난에 직면하게 되었다.

일부 지주들은 배를 불리는 반면 대부분의 농민은 초근목피로 근근이 생활하였다. 부족한 조선인의 식량은 만주산 잡곡으로 보충하였지만, 결국 생활고를 견디지 못한 농민들은 농촌을 떠날 수밖에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선총독부는 조선의 식량문제가 점점 악화되자 이를 타개하기 위해 수요를 억제하기 시작했다. 국민총력조선연맹을 중심으로 대대적인 식량 절약 운동을 전개하여 조선인의 생활은 더욱 힘들어졌다. 빼앗긴 들에 봄이 올 때까지 버티고 또 버티는 삶을 살았다. 불과 80여 년 전의 일이다.

• 강동민 자료팀장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