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삼웅의 인물열전 / 정의의 구도자 함세웅 신부 평전 58] “친일잔재를 청산하지 못한 그게 가장 큰 문제가 아니었나”
71세인 2012년 8월 28일, 청구성당 주임신부를 끝으로 현장사목에서 물러났다. 정년퇴임한 것이다. 때로 보호막이고 굴레가 되기도 했던 사제생활 44년의 마무리다. 하지만 그는 “너는 멜키세덱의 사제 직분을 잇는 영원한 사제이다”(히브리 5,6)라는 성경말씀 대로 영원히 사제일 뿐이다.
퇴임을 앞두고 언론 인터뷰에서 “한국사회에서 지금 시급한 일은 뭐라고 보십니까?”라는 질문에 답한다. “가치관 정립을 했으면 좋겠어요. 가까이는 친일잔재를 청산하지 못한 그게 가장 큰 문제가 아니었나. 결국 박정희 같은 친일자가 대통령이 되고 박근혜까지 이어 오고 있잖아요.” (주석 1)
퇴임 5개월 후인 2013년 1월 31일, 그는 친일잔재 청산의 전위 단체인 민족문제연구소(민문연) 이사장으로 취임한다. 의협심이 없이는 가능하지 않는 자리였다. 조ㆍ중ㆍ동을 비롯 수구세력이 가장 적대시하고, 검찰ㆍ사법부가 박근혜 정권의 사냥꾼 노릇을 하던 시절이다.
민문연의 임헌영 소장은 “함 신부는 1970년대부터 한국 민주화운동에 핵심적인 역할을 해오셨고, 민주주의와 역사 정의에 대한 굳은 신념을 가지고 있다”면서 “회원들의 만장일치로 추대한 함 신부의 활동으로 역사 정의를 바로 세우는 일이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함세웅은 1991년 민문연의 지도위원, 1993년에는 후원회장을 맡는 등 민문연과 이미 끈끈한 인연을 맺어왔다. 이돈명ㆍ조문기ㆍ김병상에 이어 4대 이사장에 취임한 그는 언론과 인터뷰에서 소신을 밝혔다.
“한국은 지금 ‘역사전쟁’ 중입니다. 친일잔재를 청산하지 못한 게 가장 큰 잘못입니다. ‘바로 잡지 못한 역사는 다시 되풀이 된다’고 하지요. 민족문제연구소가 역사를 무기로 새로운 역사를 만드는 데 앞장 설 겁니다.”
주임신부로 봉직했던 상도동성당에서 만난 함 이사장은 “이명박 정부 들어 노골화한 역사 왜곡을 바로잡는 데 힘을 보탤 생각”이라고 말했다. 박정희 대 반(反) 박정희의 구도로 치러진 지난 대선은 많은 국민들에게 후유증을 남겼다. 함 이사장은 “수구보수 신문이나 방송이 한 개인의 역사인식을 공적으로 강요한 것이 가장 큰 문제였다”고 말했다. 함 이사장은 이어서 “식민지시기를 빼놓고는 우리 역사를 이야기할 수 없어요. 그런데도 식민역사를 제대로 보여주는 기념관 한 곳이 없다는 게 말이 됩니까. 식민역사박물관이 건립되면 일제 청산이 얼마나 중요한 과업이고 우리 삶과 얼마나 밀접히 연관 돼 있는지 보여줄 겁니다.”
“민족의 얼이 없으면 그 민족은 죽은 거나 마찬가지죠. 이 때문에 자유와 해방, 독립을 위해서 몸 바친 사람들을 기억해야 합니다. 항일운동가들, 민주주의와 통일을 위해 애쓰신 순국선열들의 뜻을 기려 정말 아름다운 민족공동체를 만들었으면 좋겠습니다.”라는 포부를 밝혔다. (주석 2)
천주교는 민문연과 ‘악연’의 고리가 있었다. 민문연과 소속기관인 친일인명사전편찬위원회(편찬위)가 2008년 4월 29일 출간 예정인 친일인명사전에 수록할 친일인물 4,800여 명의 명단을 공개했다.
천주교(가톨릭) 인사는 노기남 대주교, 김명제ㆍ김윤근ㆍ신인식ㆍ오기선 신부, 장면ㆍ남상철 등 7명이다. 천주교는 다음날인 4월 30일 천주교 서울대교구 대변인ㆍ문화홍보국장 허영업 신부 명의로 〈가톨릭 인사 ‘친일명단’ 발표에 유감을 표한다〉는 성명을 발표했다.
일제강점기 당시 서울대교구에 한국인인 노기남 주교가 계신 것은 가톨릭 신자뿐만 아니라 우리 민족에게 큰 자부심을 주었던 것이 사실이다. 일제 치하에서 한국 가톨릭교회 최초로 한국인 주교가 임명되었다는 점은 민족적으로 대단히 뜻 깊은 사건이 아닐 수 없었다. 겉으로 드러나는 단편적인 면만을 보고, 실제로 그분들이 일제 치하에서 어떤 희생과 노력을 기울였는지에 대한 깊은 성찰과 판단, 올바른 조사가 결여된 것 같아 심히 유감스럽다.
함세웅이 창간했던 <평화신문>은 연일 노기남 주교 등의 ‘업적’을 소개하면서 <친일명단, 숨겨진 진실을 살펴라>는 사설을 통해 “가톨릭교회를 지키고자 불가피하게 친일처럼 보이는 행동을 할 수 밖에 없었던 역사의 이면을 완전히 무시했다는 점에서 이번 발표는 반쪽짜리에 불과하다” (주석 3)라고 폄훼했다.
이 같은 관계에서 보아 그의 민문연 이사장 취임은 의협심은 물론 보통의 용기와 결기가 없이는 어려운 결단이었다. 이 뿐만 아니라 정의구현사제단 창립, 민주회복국민회의 대변인, 진보적 신학연구기관인 기쁨과 희망사목연구원, 고문 피해자를 돕고 의학의 인권 측면을 생각하는 인권의학연구소, 10.26 재평가와 김재규 장군 명예회복 추진위원회 설립 등은 하나 같이 사제로서는 ‘돌출’한 행동이었다. 하지만 ‘궁정의 사제’들과 ‘미네르바의 부엉이’ 지식인들이 보신에 급급할 때 그가 해낸 당위이고, 결코 ‘돌출’이 고립된 행동은 아니었다.
주석
1> <서화숙의 만남, 은퇴하는 함세웅 신부>, <한국일보>, 2012년 8월 20일.
2> <한국일보>, 2013년 2월 4일.
3> <평화신문>, 969호, 2008년 5월 11일.
덧붙이는 글 | [김삼웅의 인물열전 / 정의의 구도자 함세웅 신부 평전]는 매일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2022-06-03> 오마이뉴스
☞기사원문: [김삼웅의 인물열전 / 정의의 구도자 함세웅 신부 평전] 58화 “민족문제연구소 이사장을 맡다”
※관련기사
☞오마이뉴스[연재]: [김삼웅의 인물열전 / 정의의 구도자 함세웅 신부 평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