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점]
임진왜란 왜장 이름 딴 다리, ‘코바야카와교’ 돌기둥 최초 확인
• 편집부
최근 <용산, 빼앗긴 이방인들의 땅>(전2권)을 펴낸 이순우 책임연구원이 ‘출간 기념 용산답사’를 준비하던 과정에서 ‘코바야카와교(小早川橋)’ 돌기둥[橋名柱]의 존재를 최초로 확인했다. 이 돌기둥은 전쟁기념관 북문의 길 건너편 지금은 폐쇄된 캠프 킴(Camp Kim) 구역의 동남쪽 모서리에 위치하고 있다. 이 자리는 이태원 쪽에서 발원하여 미군기지 안쪽을 가로질러 흐르는 하천이 한강로와 만나는 지점에 해당한다.
코바야카와교의 ‘코바야카와’는 임진왜란때 왜장 코바야카와 타카카게(小早川隆景, 1533~1597)이다. 코바야카와는 일본 전국시대(戰國時代)의 무장으로 임진왜란 때 벽제관에서 명군(明軍)을 대파하는 등 명성을 얻었으나 행주대첩에서 권율 장군에게 패배했다. ‘코바야카와교’는 일제강점기 용산 주둔 일본군 병영지 외곽에 군사적 목적으로 축조된 것으로 추정된다. 오카다 코(岡田貢)가 <경성휘보> 1942년 3월호에 남긴 자료에 의하면 이번에 발견된 돌기둥이 1926년 11월에 기존의 다리를 석교(石橋)로 개조하면서 조성된 것이다. 일제는 이 다리 외에도 지금의 전쟁기념관 구역 북쪽을 따라 흐르는 소하천에도 ‘코바야카와(小早川)’라는 이름을 붙였다. 연구소는 관련 기록과 함께 이를 입증하는 사진자료도 공개했다. 이순우 책임연구원은 “옛 둔지미와 이태원리 일대를 강제점유한 일본군은 용산병영지 곳곳에 일본의 언어 관행을 좇아 융경산(隆景山, 류케이잔)이라거나 사방견산(四方見山, 시호미야마), 선견산(船見山, 후나미야마), 월견대(月見台, 츠키미다이), 용대(勇台, 유다이), 하강(霞ケ岡, 카스미가오카), 학강(鶴ケ岡, 츠루가오카) 따위의 일본식 지명을 부여하였다. 소조천(小早川, 코바야카와)도 이런 유형의 하나이지만 임란 때의 왜장을 기념한 명칭이라는 점에서 그 의도가 매우 불순하다”고 그 의미를 설명했다.
연구소는 이를 계기로 용산 미군기지 일대의 일제 건축물에 대한 전수 조사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아울러 “이번에 발견된 ‘코바야카와교’ 교명주는 용산지역에 드물게 남아 있는 일제 침탈사의 흔적인 만큼 서둘러 해당 지점에 관련 안내판을 설치할 것”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