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기사

[오마이뉴스] “죽더라도 북녘 땅에서…” 아직도 ‘북송’을 요구하는 사람들

552

11명의 장기수 인터뷰한 민병래 작가의 <송환, 끝나지 않은 이야기>

기억을 더듬어 한명 한명 이름을 떠올렸다. 김명수, 김용수, 최선묵, 최수일, 한장호, 함세환. 대전에 거주하다 22년 전 북한으로 송환된 비전향장기수 6명의 이름이다.

한동안 대전충남 지역에 거주하는 비전향장기수 노인들과 일상을 나눴었다. 삶의 궤적을 듣고 기록했고, 한때 이분들이 살던 ‘사랑의 집’을 오가며 한솥밥을 먹기도 했다. 지금도 이분들의 감방살이를 한 경력을 줄줄이 꿰고 있다. 27년, 34년, 35년, 37년, 38년, 39년.

폭력으로 전향… 아직도 고향에 못 갔다

2000년 8월 남한에 거주하던 비전향장기수 63명이 북으로 송환됐다. 대전 거주 6명도 포함됐다. 1953년 정전에 따른 포로 교환 이후 대규모 송환은 처음 있는 일(1993년 이인모 노인이 북송된 것은 북한 방문 형식이었다)이었다. 남북관계가 획기적으로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 사건이었다.

하지만 당시 송환을 바라는 많은 사람이 제외됐다. 대전 충남지역에서도 송환을 희망한 4명(이창근, 민범식, 최일헌, 허찬형)의 이름이 빠졌다. ‘전향자는 해당하지 않는다’는 게 이유였다. 이들은 전향서에 도장을 찍었지만 모두 고문과 폭력에 의해 강제로 이루어진 일이었다며 북으로 돌려보내 달라고 요구했다. 이제나저제나 기다리는 사이 이 중 3명이 세상을 떠났다. 살아 있는 한 분(최일헌, 93)도 건강 상태가 좋지 않다.

▲ “송환, 끝나지 않은 이야기” 책표지 ⓒ 원더박스

기자도 그렇게 한동안 이들을 잊었다. 기억을 되살린 건 전적으로 민병래 작가가 쓴, 한국 사회 마지막 비전향 장기수를 기록한 <송환, 끝나지 않은 이야기>(원더박스, 296쪽) 때문이다. 이 책을 읽다 20년 넘게 2차 송환을 요구하던 분들 상당수가 숨을 거둬 남은 이가 고작 10여 명 안팎이라는 사실을 알게 됐다.

2차 송환을 요구하는 이들의 공통점은 한국전쟁과 남북 대치가 가장 치열했던 시기 만들어진 분단의 희생양이라는 점이다. 이들은 20년에서 30년 안팎을 감옥에서 보냈고 사상전향을 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극악한 고문(주먹질, 매타작, 채찍질, 물고문 등)을 당했다.

“발가벗기고 찬물을 끼얹었습니다. 살이 찢어지고 뼈마디가 끊어지는 것처럼 아팠습니다… 차라리 죽여달라고 했습니다… 내 손을 끌어다 강제로 도장을 찍었습니다” ( 김영식 인터뷰 중에서)

“수갑을 채운 상태에서 집단 구타를 했다. 상반신이 뒤로 젖혀진 상태에서 주먹세례를 받았고 군홧발에 온몸을 짓밟혔다. 마룻바닥에는 피가 흥건했고 나중에는 떡까지 졌다.”(박희성 인터뷰 중에서)

자신을 고문한 사람의 실명을 거명하며 눈물방울을 떨구기도 했다. “광주교도소의 인간 백정인 교무과장 ㅇㅇㅇ, 교회사 ㅇㅇㅇ, 간수 ㅇㅇㅇ, ㅇㅇ을 잊을 수 없습니다” (책 내용에는 실명이 실려있다.) 이들은 출소를 한 이후에도 사회안전법 또는 보호관찰법에 의해 감시를 받고 3개월마다 경찰서에 동향을 보고해야 했다. 그런데도 전향을 근거로 1차 송환에서 배제됐다.

민병래 작가는 2년여 동안 생존 장기수 15명 중 인터뷰가 가능한 11명을 만나 그들의 삶을 기록했다. 김교영(1927년생), 양원진(1929년생), 박순자(1931년생), 오기태(1932년생), 김영식·박종린·강담(1933년생), 양희철(1934년생), 박희성(1935년생), 이광근(1945년생), 조상이(1950년생) 씨다. 이중 4명(오기태, 강담, 박종린, 김교영)은 인터뷰 이후 세상을 등졌다.

이들의 마지막 바람은 한결같다. 남북이 자유롭게 오가는 세상을 보는 것이고 죽음을 가족이 있는 북쪽 땅에 맞고 싶다는 희망이다.

▲ 북송을 요구하던 강담(왼쪽), 박종린 선생은 지금은 세상을 떠났다. ⓒ 류경완 제공

“쓰지 않을 수 없어 썼다”

임헌영 민족문제연구소소장은 추천사에서 1961년 동아일보에 연재한 소설 <여수> 속 문장을 인용했다. 소설 속 남주인공이 유럽을 여행하며 서독에서 검찰 간부와 나눈 대화인데 ‘스파이와 국가변란죄는 독일에서 최고형이 얼마냐’는 주인공의 물음에 검찰 간부는 ‘5년’이라고 답한다. 주인공이 한국에서는 ‘사형’이라고 하자 검찰 간부는 ‘그 사람은 당신네 백성이 아니냐’고 되묻는 대목이다. 이어 “민 작가의 진지한 노력이 없었다면 남아 있는 비전향장기수의 삶이 묻히고 말았을 것”이라며 “어떤 소설이나 실록에도 뒤지지 않는 감동을 불러일으킨다”고 썼다.

정찬대 성공회대 민주자료관연구위원은 이 책 말미에 쓴 글에서 “비전향 장기수는 국가폭력에 정면으로 맞선 양심수”라며 “0.75평 독방은 폭압적 고문을 받으며 전향을 강요하는 국가폭력에 맞선 싸움터이자 광장”이라고 밝혔다.

권오헌 양심수후원회 명예회장도 책 말미에 “이제 9명만 남아있다”며 “정부는 이들이 살아있을 때 조국과 가족의 품으로 돌려보내는 일부터 시급히 실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쓰지 않을 수 없어’ 이들의 삶을 복원한 민 작가는 자신의 심경을 서문에서 이렇게 밝혔다.

“평화와 공동번영, 통일로 가는 가슴 벅찬 그 길에 2차 송환은 작지만, 물꼬를 트는 첫걸음이 될 수 있다. 2차 송환은 철조망을 뚫고 미사일을 밀어내며 만들어갈 오솔길이다, 올해가 가기 전 판문점을 통한 ‘2차 송환’이 이뤄지길 역사는 기다린다.”

민 작가는 책 인세를 비전향 장기수에게 전액 기부할 예정이다.

▲ 민병래 작가 ⓒ 권우성

심규상 기자

<2022-09-10> 오마이뉴스

☞기사원문: “죽더라도 북녘 땅에서…” 아직도 ‘북송’을 요구하는 사람들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