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사랑

이육사 시의 실증적 고찰

1205

안동시 도산면에 위치한 이육사문학관

서울에서 안동까지의 길은 멀었다. 이육사문학관을 찾아가는 길이다. 서울에서 3시간 넘게 경부고속도로를 달리고 이제 대구~안동간의 중앙고속도로로 갈아타고 다시 반시간 넘게 달리면 안동에 도착한다. 시내를 벗어나면 이제 퇴계의 본향답게 고택들이 눈에 띄기 시작한다. 그러다가 낙동강과 안동호가 보이고 다시 꼬불꼬불한 길을 산을 끼고 달리다 보면 어느덧 원촌마을에 도착한다. 길의 오른편에 ‘청포도 농원’이라는 표지판이 보이면 거의 다 온 것이다. 시계를 보았다. 아침 9시에 출발을 하였는데 벌써 3시가 다 되어있다. 이옥비 여사는 많이도 기다렸을 것이다.

여사는 나에게 그동안 가지고 있던 의문, 1927년에 광저우에 갔던 사람은 이육사가 아닌 내무부장관을 지낸 이호의 형, 무역협회장과 고려대학교의 이사장을 지낸 ‘목당 이활’ 임을 확인하여 주었다. 그는 광저우에 가서기남(曁南)대학을 나오고 다시 일본과 영국에 유학, 와세다(早稻田)대학과 런던대학 대학원을 졸업하였다.

단정하고 깨끗하게 일생을 살다간 사람, 나는 이육사를 생각하면 글과 생각, 행동이 일치하는 시인이자 지사임을 느낀다. 그는 나이 마흔에 생을 마감하였는데 그 짧은 사이에 일제에 열 일곱 번이나 투옥되었었다. 사실 시인의 문학적 성취는 그가 살았던 시대의 역사적 배경과는 무관하지는 않으나 시인으로서의 평가는 그 작품에 먼저 두며 역사적 배경은 작품을 쓰게 되는 마이너한 요소로 고려될 것이다. 이육사가 저항시인임에는 틀림없다. 그러나 뜻깊고 서정적인 많은 수의 그의 시들이 단순히 저항시의 대명사로 분류되어 버리고 마는 데서 아쉬움을 느끼곤 한다.

알다시피 이육사는 이퇴계의 후손으로 1904년 경북 안동에서 태어나 1944년 북경감옥에서 순국할 때까지 한평생을 유랑과 투옥 속에서 일제에 저항한 독립운동가요 혁명가였다. 짧다면 짧은 사십 평생 동안 그는 36편의 시와 소설 2편, 수필 15편, 평론 10편, 번역물 2편을 남겼다. 일반적으로 저항문학이란 국내의 압정이나 외국의 지배에 저항하는 것을 주제로 하는 문학을 말한다. 특히 제2차 세계대전 때 독일에 점령된 프랑스의 저항운동을 기반으로 하여 생긴 문학이라고 <국어대사전>에 나와 있다. 그러면 한국의 경우, 저항문학이란 일본의 압제에 항거한 문학을 말함이며 저항시란 시로서 저항하는 것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1920년대 한복 차림의 이육사(안경 쓴 이)

그가 문학에 임하는 자세는 준엄하였다. 그가 스물네 살 때 쓴 수필 ‘계절의 오행’(<조선일보> 1938.12.24.~28)에서 그는 시를 대하는 마음을 이렇게 썼다.

내가 들개에게 길을 비켜줄 수 있는 겸양을 보는 사람이 없다고 해도 정면으로 달려드는 표범을 겁내서는 한 발자국이라도 물러서지 않으려는 내 길을 사랑할 뿐이오. 그렇소이다. 내 길을 사랑하는 마음, 그것은 나 자신에 희생을 요구하는 노력이오. 이래서 나는 이 기백을 키우고 길러서 금강심에서 나오는 내 시를 쓸지언정 유언은 쓰지 않겠소. 다만 나에게는 행동의 연속만이 있을 따름이오. 행동은 말이 아니고 나에게는 시를 생각한다는 것도 행동이 되는 까닭이오.

그의 시를 한 구절 찾아보자. 저항시를 찾고 선택하는 목적보다는 그냥 읽고 아름다운 시를 살펴보는 것이다.

내가 바라는 손님은 고달픈 몸으로/청포를 입고 찾아온다고 하였으니/내 그를 맞아 이 포도를 따먹으면/두 손을 함뿍 적셔도 좋으련/아이야 우리 식탁엔 은쟁반에/하이얀 모시 수건을 마련해 두렴 (<문장> 1939년 8월에 발표된 시 ‘청포도’)

청포도가 우리민족을 뜻하고, 말 그대로 씨없는 청포도인지 아니면 익기 전의 풋포도인지 중요하지 않다. 또 내가 바라는 손님이 독립투사인지 윤세주 열사인지 알 길이 없지만 친구를 그리는 마음을 표현하는 막역함은 많은 충격 아니 감동을 준다. 나는 천성이 미욱하고 은유와 상징의 의미를 아직 깨우치지 못하여 그런지는 모르겠으나 이 ‘청포도’라는 시를 읽으면 친구를 기다리는 절절한 마음, 마치 <논어>에서 ‘유붕이 자원방래 하니 불역열호’라 했던 구절이 떠오르고, ‘은쟁반과 하얀 모시수건’이라는 대목에 가서는 청포도의 청색과 은쟁반의 은색, 하얀 모시 수건의 시각적 이미지가 더하여 색깔의 대조적 이미지가 신선하고 선명하다. 누군가 나를 애타게 기다려 주는 사람, 이러한 친구를 가진 사람은 행복하였으리라. 역으로 내가 누구를 애타게 기다려서 결국에는 맞이하게 되는 기쁨을 이렇게 간곡하게 표현한 시가 어디 있을까. 어린 시절, 할머니가 심어놓았던 마당 한켠의 포도나무 가지 사이로 바라보았던 달빛도 생각난다. 사람들에게는 이성보다는 감정이 오래가고 깊이 남는다. 따라서 많은 세월이 지난 뒤, 이 ‘청포도’라는 시는 나에게 향수를 자극하고 친구들 간의 간절한 우정을 묘사하는 시로 인식되어 있다. 무작정 추출한 또 하나의 시를 보자.

골방의 커텐을 걷고 / 정성된 맘으로 황혼을 맞아들이노니 / 바다의 흰 갈매기들같이도 / 인간은 /”얼마나 외로운 것이냐
(<신조선> 1935년 12월에 발표된 시 ‘황혼’)

나는 이 시의 어디서도 저항시의 흔적을 찾을 수가 없다. 오히려 인간의 외로운 심정을 읽는다. 황혼이란 소멸되어가는 것들에 대한 시인의 따뜻한 마음이라는 설도 있으니 또 다른 시를 찾아보자.

한 개의 별을 노래하자, 꼭 한 개의 별을 …… 다만 한 개의 별일망정 / 한 개 또 한 개 십이성좌의 모든 별을 노래하자. (<풍림> 창간호 1936년 12월에 발표한 시 ‘한 개의 별을 노래하자’)

나는 이 시의 어느 곳에서도 저항과 투쟁의 흔적을 찾을 수 없으나 ‘한 개의 별’이란 새로운 이념에 충만한 새로운 사회를 의미할 수도 있으니 마지막으로 그의 대표시 중 하나 더 찾아보자. ‘교목’이라는 시다.

교목(喬木)
푸른 하늘에 닿을듯이 / 세월에 불타고 우뚝 남아서서 / 차라리 봄도 꽃피진 말아라 

낡은 거미집 휘두르고 / 끝없는 꿈길에 혼자 설레이는 / 마음은 아예 뉘우침 아니리
검은 그림자 쓸쓸하면 / 마침내 호수 속 깊이 거꾸러져 / 차마 바람도 흔들진 못해라
(<인문평론> 1940년 7월에 발표된 시 ‘교목’)

나는 이 시의 어느 곳에서도 치열한 결기라든가 투쟁정신을 찾아보지 못하겠다. 이육사, 그가 저항시인인 것은 분명하지만 그의 모든 시를 조국광복을 지향하고 투쟁하는 저항시의 범주에 넣는다는 것은 다소 과대한 해석이 아닌가 싶다.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