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범도장군기념사업회는 지난달 홍범도 장군 유해 봉환 2주년을 기념해 국가보훈부의 후원을 받아 카자흐스탄 국립 고려극장 단원들을 초청했다. 고려극장 단원들은 지난달 16일과 18일 국회 대강당과 홍범도 장군이 안장된 대전에서 고려인 강제이주를 주제로 한 연극 공연을 성황리에 마쳤다.
그로부터 꼭 일주일 뒤 홍 장군을 비롯해 육군사관학교(육사)에 설치된 독립전쟁 영웅 흉상이 철거된다는 ‘가짜뉴스’ 같은 소식이 전해졌다. 조만간 국민들은 홍범도·지청천·이회영·이범석·김좌진 등 독립전쟁 영웅들의 흉상 철거를 속절없이 지켜봐야 할 처지가 되었다. 고국 방문 공연을 마치고 카자흐스탄으로 돌아간 고려극장 단원들은 물론 수십만 고려인들은 지금 어떤 심정일까. 그들의 가슴 설렜던 고국 방문은 불과 일주일 만에 가슴에 박힌 ‘대못’이 되고 말았다.
윤석열 정부는 올해 6월 전 세계 750만 재외동포들을 위해 재외동포청을 설립했다고 자랑하면서도 정작 고려인 사회의 구심점이자 자부심인 홍 장군에 대한 온갖 모욕과 중상모략을 서슴지 않고 있다. 윤석열 정부의 이런 자기분열적 행태는 재외동포들이 고국에 등을 돌리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 분명하다.
8월29일 경술국치일을 앞두고 난데없이 자행된 흉상 철거 소식은 연초부터 벌어진 윤석열 정부의 수많은 역사 퇴행의 종합판이다. 대한민국 정부가 독립운동을 폄훼하는 일보다 더한 역사부정은 있을 수 없기 때문이다. 친일파를 되살린 이승만이나 친일 군인 출신 박정희조차도 감히 독립운동가를 함부로 하지 못했다.
오히려 박정희 정권은 굴욕적인 한일협정 체결 직후 국민적 저항을 무마하기 위해 광복회 설립을 지원했고, 형식적으로나마 독립운동가에 대한 보훈정책 마련에 착수했다. 전국적으로 독립운동가 기념관과 동상 건립에 열을 올리기도 했다. 그런데 대한민국 헌법 전문 첫 줄에 명시된 독립운동의 법통을 대통령이 부정하고 있으니 이를 어찌할까.
온갖 외압에도 군인정신과 양심을 지키고 있는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의 기백을 보며 안도하면서도 그와 반대로 자신의 뿌리가 누구인지조차 모르는, 설령 알고 있더라도 말 한마디 하지 못하는 육사의 비루함에 절망하게 된다.
오래전 어느 독립운동가 후손은 육사가 항일독립운동에는 무관심하면서 친일 군인들을 떠받드는 모습을 보며 이렇게 일갈했다.
“육사는 독립군의 후예라는 빛나는 비단 망토를 스스로 내팽개치고 오히려 더러운 거적때기를 뒤집어쓰고 있다.”
어떻게 하면 육사가 친일의 망령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 중일전쟁 직후인 1938년 일제는 조선 청년들을 전쟁터로 내몰기 위해 육군특별지원병 제도를 시행하면서 서울에 육군병지원자 훈련소를 개소했다. 지금의 육사 자리가 육군병지원자 훈련소 터 중 하나다.
아직도 육사에는 일제의 육군병지원자 훈련소의 설치 목적인 ‘충량한 황국 신민의 양성과 임전무퇴의 상무정신으로 충만한 황군 병사의 예비군 양성’이란 부정한 기운이 남아 있는 것일까.
따지고 보면 육사의 자기부정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육사는 미 군정이 설립한 군사영어학교를 육사의 전신이라고 생도들에게 교육했다. 신흥무관학교와 육사는 무관하다면서 ‘신흥무관학교 100주년 기념식’ 행사장 대관을 거부했다. 간도특설대 출신 백선엽의 웹툰을 여전히 홈페이지에 게재하고 있기도 하다.
이번 독립전쟁 영웅 흉상 철거 사태를 겪으며 많은 국민들이 대한민국 국군의 정통성 확립에 관심을 갖는 전화위복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대한민국 국군은 일본군·만주군 출신들이 아닌 항일 의병-신흥무관학교-독립군-한국광복군이 뿌리라는 점을 명토 박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정식 군대인 한국광복군의 창설일(1940년 9월17일)을 국가기념일로 지정하는 운동을 벌여나가는 것은 어떤가.
<2023-09-05> 경향신문
☞기사원문: 독립운동 폄훼보다 더한 역사부정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