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다운로드]
□ 식민지역사박물관에서 간토대학살 100년을 기억하는 두 번째 전시가 11월 10일부터 열린다. 〈은폐된 학살, 기억하는 시민들〉 아카이브 전시에 이어 이번에는 현대미술 작품전 〈Yellow Memory-역사와 나, 예술로 잇는 기억〉이다. 민족문제연구소․정의기억연대․ 독일Art5예술협회가 함께 독일, 일본 등 세계적으로 활약하고 있는 이끼바위쿠르르(한국). 임흥순(한국), 미샤엘라 멜리안(Michaela Melián)(독일), 이창원(한국), 하전남(한국,일본) 작가를 초대하였다. 독일의 유재현(Art5 공동대표) 대표가 총감독을, 이나바 마이(일본, 현 광운대 교수) 교수가 책임큐레이터를 맡았다.
□ 전쟁과여성인권박물관에서는 9월 1일부터 개막하였고, 11월 10일부터 식민지역사박물관에서 두 번째 기억전을 시작한다. 두 전시 공간에서는 간토대학살이 시작된 날이자, 제2차 세계대전이 시작된 날인 9월 1일을 모티브로 하여 ‘학살’과 ‘기억’이라는 키워드로 비극적 역사를 예술로 기억하는 작가들의 작품들이 전시되고 있다. 특히 식민지역사박물관에서는 이끼바위쿠르르의 〈열대이야기〉와 〈기념비〉, 임흥순 작가의 〈파도〉가 전시된다. (〇참여 작가와 작품소개 참조)
□ 11월 11일(토) 오후 4시 개막식에 이어, 5시부터 작가와의 대화가 이어질 예정이다. 개막식에서는 하전남 작가의 퍼포먼스가 펼쳐진다. 작가와의 대화는 이나바 마이 광운대 교수의 사회로 이끼바위쿠루르 팀의 작품 이야기와 하전남 작가의 작품세계를 관람객들과 나눌 예정이다.
□ 이번 전시는 한일 역사 현안을 다루는 민족문제연구소와 정의기억연대의 주도적인 제안으로 두 단체의 연구자와 활동가들 그리고 학예사들과 다국적 전시기획자들이 함께 만들었다. 이들은 시민단체가 함께 현대미술 페스티벌을 정기적으로 열어보자는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이번 전시 〈Yellow Momery-역사와 나, 예술로 잇는 기억〉을 기획하게 되었다.
□ 특히 이 전시는 시민단체와 간토대학살 100년을 맞아 마음을 모아준 수백 명의 후원자가 함께 만들었다는 특색이 있다. 또한, 전시가 열리는 장소가 일제강점기 아픈 역사를 품고 있는 식민지역사박물관과 일본군‘위안부’ 피해자의 현재 아픔까지 아우르는 전쟁과여성인권박물관이라는 시민사회가 만들고 키워가는 소중한 공간이라는 점에서 더 큰 의미가 있다. 이 두 공간에서 펼칠 기억의 실천, 예술적 실험은 2023년 말까지 이어질 예정이다. 그 여정에 많은 분이 함께 해 주길 기대한다.
〇 전시개요
– 전시명: 〈Yellow Memory-역사와 나, 예술로 잇는 기억〉 두 번째 기억
– 전시기간: 2023.11.10. – 2023.12.31.
– 전시장소: 식민지역사박물관 기획전시실
– 주최: 민족문제연구소, 정의기억연대, 독일 Art5예술협회
– 주관: 식민지역사박물관, 전쟁과여성인권박물관
〇 개막식
– 20231.11.11.(토) 16시 | 식민지역사박물관
– 전시소개, 하전남 퍼포먼스
〇 작가와의 대화
– 2023.11.11.(토) 17시 | 식민지역사박물관
– 이끼바위쿠르르, 하전남 작가
〇 참여 작가와 작품 소개
이끼바위쿠르르
ikkibawikrrr
기념비, 2022, 나무, 콘크리트, 철반석, 인광석, 감태, 흙 등.
8x8x16cm, 12x7x27cm, 15x5x14cm(3 pieces)
Monument, 2022, Bauxite, Phosphate Rock, Ecklonia, soil etc, 8x8x16cm, 12x7x27cm, 15x5x14cm(3 pieces)
열대이야기, 2022, 2채널 영상, 컬러, 사운드, 12분 34초
Tropical Story, 2022, Two-channel video, HD, sound, 12mins, 34secs
시각연구밴드 이끼바위쿠르르는 서울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컬렉티브로 고결, 김중원, 조지은이 구성원이다. ‘이주’의 개념에서 출발하여 인간의 정치 사회적 맥락, 식물, 공동체, 자연현상, 인류, 식민주의와 생태의 연결 고리 등 전지구적 차원으로 탐구한다.
<열대이야기>는 제주도와 미크로네시아의 섬들, 인도네시아를 아우르는 아시아․태평양 전쟁의 흔적을 따라가며 한반도와 동남아시아의 연결고리를 조명한다. 태평양의 작은 섬들에는 섬 선주민이나 식민지 주민을 강제 동원해 건설한 활주로, 진지, 상륙장 등의 흔적이 현재까지 남아 있으며, 전쟁의 희생자를 기리는 추모비와 묘 등도 곳곳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끼바위쿠르르는 일본과 기타 아시아 지역을 방문해 조사하고, 인터뷰 등 자료를 모으고 현재 번성하고 끊임없이 변화하는 숲과 바다의 생태계에 놓여 있는 역사의 흔적을 포착한다.
아시아․태평양전쟁기 일본은 미연합군과 전쟁이 격해지자 광산에서 일하던 조선인을 비롯하여 오키나와인, 미크로네시아 원주민 등을 팔라우 섬의 보크사이트 광산, 앙가울 섬의 인광산에 강제동원하였다. 이끼바위쿠르르는 각 광산의 흙을 채집하여 <기념비>를 만들고 이들의 흔적 없는 죽음을 기린다. 붉은색은 보크사이트, 회색은 인광석, 검은색은 제주도 해녀들이 일본군에게 납품하고 폭탄재료로 사용된 감태를 태운 재로 만든 것이다.
임흥순
IM Heung-soon
파도, 2022, 3채널 FHD 비디오, 흑백/ 컬러, 5.1채널 사운드. 48분 40초
The Waves, 2022, 3-channel FHD video, black&white/color, 5.1-channel sound, 48mins, 40secs
영상설치 미술가이자 영화감독으로 활동하는 임흥순은 현대 예술로서 다큐멘터리 영화와 공공미술, 개별 작업과 공동작업, 전시장과 극장 그리고 생활현장을 오가며 다양한 형태의 작품을 기획, 제작해왔다.
<파도>는 고통스러운 역사의 아픔을 잊지 않고 알리며 위로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다. 우리가 월남전, 베트남 전쟁이라 부르는 ‘제2차 인도차이나 전쟁’(1955-1975) 중 베트남에서 벌어진 한국군의 민간인 학살(1968년 퐁니·퐁넛마을 학살사건)의 생존자인 응우옌 티 탄의 말을 한국에 전달해온 통역사 시내(응우옌 응옥 뚜옌), 그리고 여순항쟁(1948)의 왜곡된 진실을 알리기 위해 오랜 시간 노력해온 역사학자 주철희, 세월호 참사(2014) 희생자를 애도하기 위해 천도제를 지낸 미술교사 출신 영매 김정희의 이야기이다.
작가는 세 사건에서 ‘국가 폭력’과 ‘바다’라는 공통점을 찾고 각 사건의 중심에 선 매개자들의 이야기를 담는다. 또한 작품을 통해 매개자의 역할과 가능성을 모색하고 남성의 역사, 공적인 역사, 기록의 역사 대신 새로운 역사 쓰기를 시도한다.
〇 붙임 :
1. Yellow Memory 리플릿 이미지
2. Yellow Memory 포스터 이미지
3. Yellow Memory 전시도록-기획자의 말
4. 개막식 부대행사 〈작가와의 대화〉 포스터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