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기사

[팟캐스트] 역발상 시즌2_대중가요의 역사 ‘가왕열전 5편 최희준’

286

☞ (11.14) ‘역발상’ 시즌 2: 대중가요의 역사 ‘가왕열전 5편 최희준’

출연:이준희(옛가요 전문가) 이영미(대중문화 평론가)
오늘의 이야기:가왕 열전 5편 최희준

최희준 
1936~2018년. 서울 출생
원래 본명이 최성준이지만, 개명해서 본명도 최희준으로
경복고, 서울대학교 법대 행정학과(55학번). 대학 재학 중 교내 축제에서 부른 노래로 주목을 받아 1959년 졸업 후 본격적인 가수 활동 시작. 미8군쇼에서 무대 활동을 하다가 1961년 비너스레코드에서 음반 데뷔
군복무로 인한 공백(1964년 2월 전역)이 있긴 했지만, 1960년대에서 1970년대 초까지 톱 가수로 활약

1. 학사가수 대표주자: <우리 애인(은) 올드미스>(손석우 사·곡, 1961년)
비너스레코드에서 데뷔한 학사가수의 아이콘, 최희준과 김상희

2. 미8군쇼: <내 사랑 쥬리안>(손석우 사·곡, 1962년)
한국의 냇 킹 콜

3. 방송과 영화 주제가: <맨발의 청춘>(유호 사, 이봉조 곡, 1964년)
1960년대는 최희준의 시대인 동시에 라디오 드라마와 영화의 시대

4. 1960년대 유명 스탠더드팝 작곡가들과 모두 작업: <빛과 그림자>(길옥윤 사·곡, 1966년)
손석우에서 시작해 작곡가의 폭이 점차 확대. 김호길(<진고개 신사>), 이봉조(<맨발의 청춘>), 한동훈(<옛 이야기>), 홍현걸(<엄처시하>), 서영은(<노신사>), 심지어 길옥윤(<빛과 그림자>)까지

5. 초대 가수왕: <하숙생>(김석야 사, 김호길 곡, 1966년)
1965년 제1회 방송가요대상 가수상, 1966년 제1회 10대가수청백전에서 모두 최고 인기가수로 선정. 1966년 당시 수상곡이 <하숙생>

6. 최고의 학벌+노래로 형성된 서민적 풍모: <엄처시하>(김석야 사, 홍현걸 곡, 1965년)
아마도 그 덕에(?)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에 당선. 대중가요 가수로서는 전무후무한 이력

7. 가창의 영향력?: <가장무도회>(심영식 사, 황문평 곡, 1967년), <태양>(이봉조 사·곡, 1968년)
최희준 스타일의 가창이 어떤 식으로든 영향을 미쳤을 것은 분명하지만, 남인수나 현인처럼 선명한 계보가 드러나지는 않는 편. 남진 정도?
비슷한 시기에 데뷔해서 1960년대에 함께 활동했던 스탠더드팝(혹은 트로트와 스탠더드팝을 오가는) 스타일의 남자가수 남일해와 오기택 등을 포함하여 한꺼번에 보면, 모두 최희준 부류의 가창. 즉 일제강점기 남인수와 백년설, 1950년대의 현인과 또 다른 1960년대 스탠더드팝을 대표하는 남자가수의 가창(저음, 부드러운 목소리)이 이 시대에 확립됐고, 그중 최고의 가수가 최희준이었던 셈. 특히 <맨발의 청춘> 스타일의 남성적 분위기의 노래에서 최희준의 가창은 전범이라 할 만
흥미로운 것은 1960년대 후반에는 최희준 가창에서 남진을 연상케 하는 젊은 질감의 가창도 발견된다는 점

8. 내가 뽑은 최희준 베스트 3

※지난 방송

☞ (11.07) ‘역발상’ 시즌 2: 대중가요의 역사 ‘가왕열전 4편 이미자’
☞ (10.31) ‘역발상’ 시즌 2: 대중가요의 역사 ‘가왕열전 3편 현인’
☞ (10.31) ‘역발상’ 시즌 2: 대중가요의 역사 ‘가왕열전 3편 현인’
☞ (10.24) ‘역발상’ 시즌 2: 대중가요의 역사 ‘가왕열전 2편 남인수’
☞ (10.17) ‘역발상’ 시즌 2: 대중가요의 역사 ‘가왕열전 1편 채규엽’
☞ (10.03) ‘역발상’ 시즌 2: 조선혁명선언 100년 3부_의열단은 어떻게 조선혁명선언을 계승하고 실천했나?
☞ (09.26) ‘역발상’ 시즌 2: 조선혁명선언 100년 2부_조선혁명선언 전문 읽기
☞ (09.19) ‘역발상’ 시즌 2: 조선혁명선언 100년 1부_조선혁명선언에 담긴 혁명사상
☞ (09.05) ‘역발상’ 시즌 2: 간토대학살 100년 2부 “학살 이후 식민지 조선에서는 어떤일들이?”
☞ (08.31) ‘역발상’ 시즌 2: 소설 ‘범도’의 작가 방현석과 함께_특별편성2부
☞ (08.30) ‘역발상’ 시즌 2: 소설 ‘범도’의 작가 방현석과 함께_특별편성1부
☞ (08.29) ‘역발상’ 시즌 2: 간토대학살 100년_1부 “은폐된 학살_누가 어떻게 얼마나 학살하였나?”
☞ (07.11) ‘역발상’ 시즌 2: 항일음악 이야기(4) “중일전쟁 이후 청년들의 공연활동과 항일음악”
☞ (07.04) ‘역발상’ 시즌 2: 항일음악 이야기(3) “항일음악 속 우리민요와 일제 잔재”
☞ (06.27) ‘역발상’ 시즌 2: 항일음악 이야기(2) “신흥무관학교의 항일노래”
☞ (06.20) ‘역발상’ 시즌 2: 항일음악 이야기(1) “항일음악 종소리 프로젝트”
☞ (06.13) ‘역발상’ 시즌 2: 친일파와 반민특위_나는 이렇게 본다 2부
☞ (06.06) ‘역발상’ 시즌 2: 친일파와 반민특위_나는 이렇게 본다 1부
☞ (05.30) ‘역발상’ 시즌 2: 이승만의 역사적 평가는 끝났다_씻을 수 없은 이승만의 죄과들
☞ (05.23) ‘역발상’ 시즌 2: 이승만 띄우기에 나선 보훈처_기념사업에 약 460억원 추산
☞ (05.16) ‘역발상’ 시즌 2: 민중가요사 8부_”존재 방식이 달라진 민중가요”
☞ (05.09) ‘역발상’ 시즌 2: 민중가요사 7부_”1990년대 중반 민중가요의 변화”
☞ (05.02) ‘역발상’ 시즌 2: 민중가요사 6부_”노동가요의 변화와 대학 민중가요의 경향”
☞ (04.25) ‘역발상’ 시즌 2: 민중가요사 5부_”민중가요 중심에 선 노동가요”
☞ (04.18) ‘역발상’ 시즌 2: 민중가요사 4부_”1987년 6월항쟁과 합법 공간에서의 노래운동”
☞ (04.11) ‘역발상’ 시즌 2: 민중가요사 3부_”노래운동과 민중가요의 전성기”
☞ (04.04) ‘역발상’ 시즌 2: 민중가요사 2부 “1980년 광주항쟁 전후 민중가요의 변화”
☞ (03.28) ‘역발상’ 시즌 2: 민중가요사 1부 “민중가요 전사(前史)_해방 후부터 1979년까지”
☞ (03.21) ‘역발상’ 시즌 2: 일제의 블랙리스트 ‘조선인요시찰인약명부’를 펴내다
☞ (03.14) ‘역발상’ 시즌 2: 윤석열정부의 퇴행적 역사인식과 투쟁하다
☞ (03.07) ‘역발상’ 시즌 2: 2023년 민족문제연구소와 식민지역사박물관 활동 계획


0523-1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