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사랑

일본인 도지사의 휘호로 새겨진 ‘안양풀(安養プール) 바위글씨(1932년)’

677

[이 땅에 남아있는 저들의 기념물 7]

일본인 도지사의 휘호로 새겨진 ‘안양풀(安養プール) 바위글씨(1932년)’
1938년에는 혼다 사다고로(本田貞五郞) 안양역장의 기념비도 건립

이순우 특임연구원

수도권 전철 1호선 관악역(冠岳驛,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석수동)에서 내려 10여 분 남짓한 거리에 있는 안양예술공원의 초입에서 삼성천 계곡을 따라 거슬러 올라가면 옛 유유산업 안양공장 터에 남아 있는 김중업건축박물관과 안양박물관이 나타난다. 이 구역의 주변에는 중초사지 당간지주, 중초사지 삼층석탑, 안양 석수동 마애종(磨崖鐘)은 물론이고 그 위쪽으로 안양사 귀부(安養寺 龜趺) 등이 흩어져 있으므로 이러한 문화유적들을 감상하는 재미도 쏠쏠하다.

그리고 이 길을 따라가는 도중에 예술공원교의 난간에서 상류 쪽을 바라보면 하천 바닥에 물막이 둑을 만들어놓은 자리가 눈에 띄는데, 여기에도 결코 빼놓을 수 없는 구경거리 하나가 더 남아있다. 이곳을 내려가서 살펴보니 석축 사이에 끼인 큼직한 바위에 “安養プール, 昭和七年八月 竣工, 松本誠 書[안양풀, 소화 7년(1932년) 8월 준공, 마츠모토 마코토 씀]”라는 제법 큼직한 글씨가 새겨져 있다. 이것은 흔히 안양유원지(安養遊園地)라면 가장 먼저 퍼뜩 떠올리는 ‘수영장(水泳場, pool)’의 존재를 알려주는 동시에 그것이 있던 자리가 바로 여기라는 사실을 알려주는 장치이기도 한 셈이다.

여기에 나오는 마츠모토 마코토라는 이는 이 글씨를 쓸 당시에 경기도지사(재임 1931.9.23~ 1934.11.5)였고, 관직에서 물러난 이후에는 8년 동안 조선제련 사장을 거쳐 조선금융조합연합회 회장을 지내는 등 식민지 조선에서 총독부 고위관료 출신이면서 나름 재계(財界)의 거물로 군림한 인물이었다. 현재 인천광역시 옹진군 덕적면 북리(덕적도)에 남아 있는 ‘조난자위령지비(遭難者慰靈之碑)’의 전면 글씨도 그 당시 경기도지사이던 마츠모토 마코토가 휘호한 것인데, 이런 흔적들이 군데군데 남아 있는 걸 보면 진즉에 사라졌을 것 같은 식민통치자의 기념물이 어찌 이리 끈질기게 오래도록 남아 있나 싶은 생각이 간혹 들곤 한다.

안양풀에 관한 기록을 뒤져보니 『동아일보』 1932년 5월 22일자에 수록된 「안양역 석수동(安養驛 石水洞) 수영장(水泳場)을 설치(設置), 면적 2천 평, 공비 3천 원에 유지(有志)들의 활동(活動)으로」 제하의 기사가 가장 빠르며,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채록되어 있다.

[시흥] 경부선 안양역에서 북으로 약 10정(町, 일본식 거리단위) 되는 석수동은 이름과 같이 수석이 많고도 청신할 뿐더러 산명수려하여 고래로 시인묵객의 자취가 부절하던 승지였다. 근래 지방에 발전을 따라 또는 일반 사회의 희망에 순응하여 서이면장 조한구(西二面長 趙漢九) 씨 외 지방유지 제씨들은 석수동에다가 면적 약 2천 평에 총공비 3천 원으로 3단에 일대(一大) 수영장을 설치할 계획이라 한다. 지난 18일 야마다 시흥군수(山田 始興郡守)가 실지답사까지 마쳐 급진적으로 착수할 터이라는데 이 수영장이 완성되는 대로 안양 일대에 큰 번영을 예기할 수 있다 한다.

이러한 계획에 따라 그해 7월 10일부터 공사에 착수하여 길이 60미터, 너비 20미터, 깊이 0.8~1.6미터 규모의 수영장과 ‘세멘트 콩크리트’ 둑이 만들어지게 되었다. 때마침 이 지역에서는 경기도가 시행하던 사방공사(砂防工事)가 한창 벌어지고 있던 와중이었으므로, 시흥군 서이면(始興郡 西二面)의 의뢰로 이곳의 인부들을 동원하여 풀장공사가 진행되었다고 전해진다.

그 결과 안양풀장은 1932년 8월에 공사를 마치고 일반에 공개되기에 이른다. 이때 수영장의 개장과 더불어 총독부 철도국에서는 그 부근 선로에 가정거장(假停車場, 임시정거장)을 설치하여 탐방객의 내왕에 편의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이에 관해서는 『조선신문』 1932년 8월 11일자에 수록된 「안양풀(安養プール)에 정거(停車)의 열차(列車), 오는 14일부터 실시」 제하의 기사에 다음과 같은 내용이 서술되어 있다.

안양의 유지(有志)로써 완성을 서둘러왔던 동소(同所)의 풀은 이제 정말로 낙성(落成)할 것인데 철도국(鐵道局)은 오는 14일부터 동역(同驛) 통과의 좌기(左記) 열차를 정거시키기로 되었으며, 동 풀의 낙성은 경성 근교의 하동(河童)들을 기쁘게 만들 일이 될 듯하다. [왕로(往路)] 제808열차(경성역 오전 7시 15분발), 제10열차(동 오전 8시 40분발), 제18열차(동 오후 0시 20분발)
[복로(復路)] 제13열차(경성역 오후 4시 15분착), 제9열차(동 오후 6시 33분착)

이렇게 만들어진 안양풀에 대한 관리는 최초에 ‘서이면사무소’의 소관이었으나 이내 ‘안양풀보존회(安養プール保存會)’라는 것이 조직되면서 이곳의 주관으로 설비수선과 주변환경에 대한 유지가 이뤄지게 되었다. 특히, 안양풀보존회의 대표자로 활동했던 안양역장 혼다 사다고로(本田貞五郞)는 그 누구보다도 이 일에 열성적이었던 모양인데, 그는 안양역장으로 재직했던 기간(1932.3~1938.3)은 물론이고 토성역장(土城驛長)으로 전근발령이 난 이후로도 1주일에 한 번은 빠짐없이 안양풀장을 찾아왔던 것으로 드러난다.

이리하여 안양풀장에는 여름이 가까워지면 매일 수천 명의 인파가 몰려들어 주변 일대가 금세 북새통을 이루곤 했다. 그리고 “경성의 의사보다 안양의 풀장(京の醫師より安養のプール)”이라는 표어(標語) 아래 이곳 계곡은 비단 수영장뿐만이 아니라 여름철 캠핑장과 임간학교(林間學校)와 같은 용도로, 그리고 계절이 바뀌면 관풍(觀楓, 단풍놀이)과 습률(拾栗, 밤줍기)을 즐기는 곳이자 풍성하게 익어가는 포도의 명산지로도 무수한 탐방객을 불러 모으는 공간으로 자리매김되어갔다.

『매일신보』 1937년 7월 1일자에 수록된 「대규모(大規模)로 확장(擴張)하는 경성근교(京城近郊) 안양풀, 관악산 일대(冠岳山 一帶)에도 하이킹루트, 경기금강(京畿金剛) 성가 발휘(聲價 發揮)」 제하의 기사에는 이처럼 번성하던 시절의 안양풀장 주변풍경을 이렇게 그려놓고 있다.

산으로! 바다로! 여름철의 더위를 피하여 피서행진곡을 우렁차게 울릴 여름철도 본격적으로 전개될 터이라, 각지의 ‘풀’과 해안은 자못 활기를 보이게 될 터인데 경기도에서는 사방공사(砂防工事)를 시행해 오던 것을 이용하여 안양에 ‘풀’을 만들어 경성의 피서객을 1년 3만여 명씩이나 흡수해 들이게 되었는데 철도국에서는 대승적(大乘的) 입장에서 이번 여름에는 대대적으로 이를 확장하기로 되었다 한다.
그리하여 오는 3일 안양역장(安養驛長)이 주재하는 동 ‘풀’의 보존회(保存會)에서는 동지 신사에서 ‘풀’의 개장식(開場式)을 거행하는 동시 철도국, 경성부청, 경기도 등의 관계자 다수를 초대하여 대대적으로 안양‘풀’의 성가를 높이기로 되었다 한다. 그리고 특히 여름철의 ‘하이킹’을 위하여 안양‘풀’로부터 관악산 일대에까지 통하는 ‘하이킹루트’를 개설하여 경기금강으로서의 성가를 발휘하도록 하리라 한다.

이 기사를 보면 개장행사가 벌어지는 공간이 ‘신사(神社)’였다고 적어놓은 구절이 유독 눈길을 사로잡는다. 그렇다면 이곳의 정체는 과연 무엇이었을까?

안양풀장의 개장과 관련한 신문보도를 죽 살펴봤더니 해마다 7월께 수영장 구내에 있던 ‘수천궁(水天宮, 스이텐구)’ 앞에서 수불식(修祓式, 재앙과 부정함을 씻어내는 의식)이 거행된 사실이 확인된다. 일본 쪽에서는 통상 아이를 갖고자 하거나 안산(安産, 순산)을 기원할 때, 그리고 뱃길의 안전을 비는 장소로 바로 이러한 ‘수천궁’을 사용한다는데, 짐작컨대 안양풀이 물놀이와 관련된 시설이다 보니 그들의 습성대로 수신(水神)을 모신 신사를 지어놓고 바로 이 앞에서 매번 개장식을 연 것이 아닌가 싶다.

이곳 안양풀장과 관련하여 조금 특이한 흔적은 중일전쟁 이후 기간에 일제가 거국적으로 강조했던 이른바 ‘국민개영운동(國民皆泳運動)’의 실습장으로 바뀌었다는 사실이다. 이에 관해서는 『매일신보』 1942년 8월 16일자에 수록된 「쇄하연성(鎖夏鍊成)의 도장(道場), 안양수영장(安養水泳場)에 인파만경(人波萬頃)」 제하의 기사를 통해 다음과 같은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안양(安養)] “힘차게 헤엄치자! 모두 명랑하게!”라는 표어 아래 전개된 국민개영운동에 발맞추어 여름철의 좋은 도장(道場)인 안양‘풀’에 모여드는 하동(河童)은 매일 3천여 명에 달하여 문자 그대로 인산인해(人山人海)를 이루고 있다. 이 ‘풀’은 소금강(小金剛)의 별명(別名)이 있는 영봉(靈峰) 관악산(冠岳山)을 배경 삼고 석수동계곡(石水洞溪谷)에서 흘러내리는 자연의 청류(淸流)를 석축(石築)으로 막아 천연미(天然美)에 인공미(人工美)를 장식한 ‘풀’로 도회인(都會人)들의 동경의 초점이 되어 있는데 철도국(鐵道局)에서는 9월 15일까지 안양‘풀’ 입구(入口)에 가승강장(假昇降場)을 설치하고 일반 내객(來客)의 편이를 돕게 되었다. (사진은 안양풀)

이러한 ‘국민개영운동’은 원래 전시체제기로 접어들면서 청소년 보건과 체위향상(體位向上)에는 여름철 수영만큼 효율적인 것이 없다는 취지 아래 이른바 ‘내지(內地, 일본)’ 쪽에서 번져가던 것이었으나, 1939년 봄에 이르러 조선수상경기연맹(朝鮮水上競技聯盟)에서도 호응하여 이를 수영장려책의 일환으로 채택하여 조선 전역에 널리 보급하고자 했다. 특히 이 운동은 징병제도와 해군특별지원병제가 실시될 즈음에 청소년층, 그 가운데 장정(壯丁)의 체위와 전력증강에 수영의 보급이 극히 필요하다는 이유로 더욱 위세를 떨친 시절도 있었다. 그런데 안양풀장의 연혁에 관한 자료를 정리하다보니까 마츠모토 경기도지사의 ‘안양풀 바위글씨’ 이외에도 또 다른 그들의 기념물 하나가 조성된 적이 있었던 사실이 포착된다. 이름하여 ‘혼다 사다고로 안양역장 창덕비(本田貞五郞 安養驛長 彰德碑)’가 바로 그것이다. 앞에서도 보았듯이 혼다 안양역장은 안양풀의 개장 때부터 이 일에 앞장섰고, 특히 안양풀보존회의 대표로서도 여러 해에 걸쳐 활동했던 인물이었다.

그러한 그가 1938년 3월에 이르러 토성역장(土城驛長, 경의선)으로 전근 발령이 나자 그간의 공적을 기려 기념비석을 건립하고자 했는데, 이에 관해서는 『조선신문』 1938년 3월 16일자에 수록된 「혼다 역장(本田驛長) 영전(榮轉)」 제하의 기사에 다음과 같은 내용이 정리되어 있다.

[영등포(永登浦)] 이(梨, 배), 포도(葡萄), 율(栗, 밤)의 명산지로 알려져 있는 경부선 안양역장(京釜線 安養驛長) 혼다 사다타로[本田貞太郞; 사다고로(貞五郞)의 착오] 씨는 수일 전 토성역장(土城驛長)에 발탁되었는데, 씨(氏)는 소화 7년(1932년) 3월 서정리역장(西井里驛長)에서 영전된 이래(爾來) 6개년간 그 본직(本職)에 충성을 다한 것은 말할 것도 없고 항상 여가(餘暇)를 이용하여 지원발전(地元發展, 그 지역의 발전)을 위해 심혼(心魂)을 기울여 유지(有志)와 협력진췌(協力盡瘁)했던 공로가 많으며, 특히 안양풀(安養プール) 같은 것은 오로지 씨의 팔 하나와 성(誠) 하나로 가능했던 것이다. 연(年) 30만을 넘는 경성부민(京城府民)이 진하(眞夏)의 청경(淸景)을 즐겨 찾아와 지원(地元)의 발전에 공헌하는 바가 크지만 씨는 본래 성격이 온후유순(溫厚柔順)하여 드물게 보는 원만(圓滿)한 인격자(人格者)인데, 원예(園藝)에는 타고난 취미(趣味)를 지녀 역구내(驛構內)에는 사계(四季)에 걸쳐 미화(美化)를 다하여 열차여행객의 위안을 제공하며 풀도 몸소 안양풀보존회(安養プール保存會)라는 것을 조직하고 이것의 유지(維持)에 고심하여 연중(年中) 비번일(非番日)에는 풀의 수선미화(修繕美化)에 침식(寢⻝)을 잊고 종사(從事)하는 등 지원민(地元民, 이 지역사람)에게서 안양을 키운 사람이라는 찬사를 받고 있다. 금반(今般) 씨의 전출(轉出)을 아쉬워하는 유지(有志) 신경택(愼庚宅), 윤경선(尹敬善), 키리타 겐지(桐田元次), 오키노이 마츠요시(沖井松吉), 최우창(崔禹昌), 타시로(田代) 등 제씨(諸氏)의 발기(發起)에 따라 씨의 공로를 영구히 기념할 석각기념비(石刻記念碑)를 세우고 아울러 기념품(記念品)을 증정했는데, 혼다 역장 또한 감회 깊은 안양을 잊기 어려워 멀리 토성(土城)에서 1주일에 1회는 반드시 풀의 유지보존을 위해 일부러 찾아오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실제로 그해 7월 3일에 거행된 안양풀 개장식에서는 이미 토성역장으로 옮겨간 혼다 본인도 직접 참석한 가운데 이 창덕비의 제막식과 아울러 성대한 연회가 함께 베풀어 진 것으로 확인된다. 그렇다면 이 비석은 과연 어디로 사라진 것일까? 해방 이후 일본인의 흔적이라고 하여 폐기되거나 매몰되었을 거라고 짐작만 할 뿐이지, 이것의 행방에 대해서는 이렇다 할 단서가 전혀 눈에 띄질 않고 있다. 그래도 혹시 모르는 일이지 않을까? 어느 날 홀연히 땅속에서 그 잔편이나마 발견되어 한창 전성기를 구가했던 안양풀의 존재를 다시 한번 상기시켜주는 날이 올는지는 말이다.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