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리보는 시민역사관

제임스 H. 헤어의 『러일전쟁의 사진 기록』(1905)

523

[소장자료 톺아보기 59]

제임스 H. 헤어의 『러일전쟁의 사진 기록』(1905)
A photographic Record of the Risso-Japanese War

제임스 H. 헤어(James H. Hare)의 『러일전쟁의 사진 기록 A Photographic Record of the Russo-Japanese War』은 1905년 뉴욕의 P.F. Collier & Son 출판사에서 초간 되었고, 2013년에 재출간되었다. 러일전쟁의 전 과정을 250여 장의 사진에 담아낸 전쟁화보로서 사진 저널리즘 분야의 기념비적인 저작이다. 등과 모서리에 가죽을 사용한 고급 양장본이며 세로가로 27×40cm의 큰 판형으로 총 256쪽이다.

이 책은 14장으로 구성되며 각 장의 앞 부분에는 각 전투의 경과와 의미를 간략히 서술하고 이어서 관련 화보를 수록한다. 각 장 제목은 다음과 같다.

1.러일전쟁의 원인  2.첫번째 전투
3.러시아의 전쟁 준비          4.조선에서 일본인과 함께
5.러시아군의 전선으로 진군 6.압록강 전투와 일본의 진격
7.여순항 포위전 개시  8.요양(遼陽) 전투 직전의 개전 준비
9.요양 전투    10.전쟁의 기록자들
11.사하(沙河) 전투 12.여순항 함락
13.러시아 해군력의 종말 14.봉천 전투

여기에 수록된 사진화보는 제임스 헤어를 비롯해 Victor K. Bulla, Robert L. Dunn, James F. Archibald, Richard Barry, Ashmead Bartlett, James Ricalton 등 총 7명의 사진작가가 러시아와 일본으로 파견되어 양국 군대에 종군하여 직접 촬영한 것이다. 따라서 러일전쟁과 관련한 일본측 전쟁화보집과는 달리 제3자로서의 객관적 시각으로 전쟁 상황을 상세히 담아냈다는 점에서도 이 전쟁화보집이 갖는 의의가 남다르다. 또한 이 화보집이 전쟁의 시작부터 마지막 강화조약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을 순서대로, 날짜별로, 각 나라별로 대비할 수 있도록 편집되어 당시 전쟁상황을 이해하는 데 매우 유용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제임스 H. 헤어는 1856년 10월 3일 런던에서 태어났다. 그는 1871년 세인트 존스 칼리지에 입학했으나 1년 후 카메라 제조업자인 아버지 조지 헤어와 함께 일하기 위해 학교를 떠났다. 헤어는 아버지 회사에서 일하다가 사진촬영의 새로운 트렌드에 대해 의견 충돌을 겪었고, 1879년 헤어는 아버지의 작업장을 떠나 다른 제조업자와 함께 일했다.

헤어는 사진촬영에 더욱 열중하였고, 1884년에 자유기구 비행 100주년 행사에서 첫 번째 스냅샷을 찍었다. 프리랜서 사진사로 일하다가 주간지 Illustrated American의 뉴스 사진기자로 활동했다. 1898년 Collier’s Weekly에 사진기자로 입사했고 곧이어 특별사진기자로 승진했다. 종군기자로서 스페인-미국전쟁과 러일전쟁을 취재했다.

1904년 러일전쟁이 발발하자 다른 Collier’s 특파원들과 함께 일본으로 향했다. 일본은 처음에는 기자들을 부대에 합류시키는 것을 꺼렸으나, 결국 제한된 조건하에 헤어와 다른 기자들을 만주로 들여보냈다. 헤어는 5×7인치 접이식 카메라와 자작 파노라마 카메라를 사용했고, 휴대용 암실 텐트에서 사진을 현상했다. 헤어는 요양을 점령한 부대를 따라가 사하 전투를 취재하여 Collier’s에 독점 보도기사를 제공했다.

헤어는 전쟁 사진기자로서 기회가 있을 때마다 계속 작업했다. 1911년 멕시코 혁명, 1912년 발칸 전쟁, 1914년 멕시코 혁명과 제1차 세계대전을 취재했다. 1918년 12월 뉴욕으로 돌아온 후, 헤어는 Leslie’s 잡지사에서 근무했다. 잡지가 1922년에 폐간되자 그 후 헤어는 사진 촬영을 거의 하지 않았다. 그 대신에 클럽에서 그의 랜턴 슬라이드를 사용하여 강연하는 데 진력했고 1929년에 공식적으로 은퇴했다. 전기작가인 세실 카네스와협력하여 1940년에 『지미 헤어 뉴스 사진기자 Jimmy Hare News Photographer』를 출판했다. 1946년 6월 24일 뉴저지에서 사망했다.

• 박광종 특임연구원

※이 기사는 영문판 위키피디아와 harry ransom center의 자료와 ChatGPT4.0의 도움을 받아 작성되었다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