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림

[해피빈모금] 일제가 ‘간호부들의 독립만세 주동자’로 지목한 박자혜

673

 해피빈 모금 참여

독립운동가 박자혜
동아일보 1928년 12월 12일 자에 수록된 ‘산파 박자혜’ 건물과 박자혜 인물 사진이다. 지붕 위 간판에 ‘인사동 69번지’라는 주소 표기가 또렷이 드러나 있다.

영화 ‘파묘’에 등장한 박자혜

천만 관객을 동원한 영화 ‘파묘’는 김상덕, 이화림, 고영근, 윤봉길 등 독립운동가를 극중 인물의 이름으로 등장시키며 청산하지 못한 친일 역사를 되새겨 보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역시 영화에서 어린 무당의 이름으로 재조명된 인물이 있습니다. 바로 독립운동가 박자혜입니다. 1895년 12월 11일 지금의 서울시 강북구 수유동에서 태어나 일찍이 어머니를 여의고 어린 나이에 입궁하여 10여 년 동안 궁중생활을 하다 1910년 대한제국이 망하자 궁궐을 나왔습니다. 이후 숙명여자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다시 조선총독부의원 부속 의학강습소 간호부과를 졸업해 조산원으로 근무하던 중 1919년 3·1운동을 맞이합니다. 박자혜는 비밀리에 조산원과 간호원들로 간우회를 조직해 만세운동을 주도합니다. 그러나 “평소 과격한 언동을 하는 언변이 능한 자”, “조선총독부 의원 간호부를 대상으로 독립만세를 외치게 한 주동자”로 명시하며 일제의 감시가 강화되자 박자혜는 중국으로 망명하였습니다.

단재 신채호와 부부이자 동지로

박자혜는 1919년 북경대학 의예과에 입학했고 그곳에서 독립운동을 도모하고 있던 우당 이회영의 부인 이은숙의 중매로 단재 신채호와 결혼하며 부부이자 동지로 연을 맺었습니다.

“검푸르던 북경의 하늘 빛도 나날이 옅어져 가고 만화방초가 음산한 북국의 산과 들을 장식해주는 봄4월이었습니다.나는 연경대학에 재학 중이고 당신은 무슨 일로 상해에서 북경으로 오셨는지 모르나 어쨌든 나와 당신은 한평생을 같이 하자는 약속을 하게 되었던 것입니다.” (‘가신 임 단재의 영전에’ 중)

1921년 첫째 수범을 낳은 후 경제적 궁핍으로 박자혜는 1922년 둘째를 임신한 상태로 귀국하지만 둘째는 일찍 사망한 것으로 보입니다. 박자혜는 서울 종로구 인사동에 ‘산파 박자혜’라는 간판을 내걸었지만 손님보다 일본 경찰이 더 많이 드나드는 등 조산원 운영도 여의치 않았습니다.
(다행히 민족문제연구소는 박자혜 산파 터를 찾아냈고 서울시가 2020년 8월 남인사 마당 입구에 표지판을 세웠습니다.)

가난과 감시 속에서도

“간판은 비록 산파의 직업이 있는 것을 말하나 기실은 아무 쓸데가 없는 물건으로 요사이에는 그도 운수가 갔는지 산파가 원체 많은 관계인지 열 달이 가야 한 사람의 손님도 찾는 일이 없어 돈을 벌어보기는커녕 간판 붙여놓은 것이 도리어 남부끄러울 지경이므로 자연 그의 아궁이에는 불 때는 날이 한 달이면 사오일이 될까 말까 하여 말과 같은 삼순구식(三旬九食 : 한 달에 아홉 번 밖에 먹지 못할 정도로 몹시 가난함, 글쓴이 주)의 참상을 맛보고 있으면서도 주린 배를 움켜잡고 하루라도 빨리 가장이 무사히 돌아오기를 기도하는 박자혜 여사는 밤이나 낮이나 대련형무소가 있는 북쪽 하늘을 바라볼 뿐이라 한다.” (동아일보 1928년 12월 12일자)

이러한 가난과 감시 속에서도 박자혜는 서울 지리에 익숙하지 않았던 의열단원을 도와 길 안내와 무기를 숨겨주는 등 1926년 12월 나석주 의사의 동양척식주식회사 폭탄 의거 성공에 기여했습니다.

독립운동가와 그 가족의 비극

박자혜와 신채호의 마지막 만남은 1927년 한 달 남짓. 신채호는 1928년 5월 체포, 1936년 2월 옥사하여 유해로 박자혜 품에 돌아옵니다.

“당신이 남겨놓고 가신 비참한 잔뼈 몇 개를 집어넣은 궤짝을 부둥켜안고 마음 둘 곳 없어 하나이다. 작은 궤짝은 무서움도 괴로움도 모르고 싸늘한 채로 침묵을 지키고 있습니다. 당신은 뜻을 못 이루고는 영원히 돌아오지 않는다고 하시더니 당신의 원통한 고혼은 지금 이국의 광야에서 무엇을 부르짖으며 헤매나이까? 당신의 괴로움과 분함과 설움과 원한을 담은 육체는 남의 나라 좁고 깨끗지 못한 화장터에서 작은 성냥 한 개비로 연기와 재로 변하고 말았습니다. 당신이여 가신 영혼이나마 부디 편안히 잠드소서.” (‘가신 임 단재의 영전에’ 중)

아버지를 잃은 첫째 수범은 경성실업학교를 중퇴, 국외로 떠났고 막내 두범은 1942년 영양실조로 사망했습니다. 박자혜도 1943년 10월 16일 셋방에서 홀로 생을 마쳤으며 화장된 유해는 한강에 뿌려졌습니다.

그래피티 작가 ‘레오다브’와 함께

민족문제연구소는 숙명여대민주동문회와 함께 박자혜를 비롯한 여성 독립운동가들의 모습을 그래피티로 그릴 예정입니다. 작품은 오랫동안 독립운동가 등 역사 인물들을 그래피티로 표현하고 있는 작가 레오다브(Leodav)가 맡기로 했습니다.
언제나 자신의 삶의 주인이고자 했던 독립운동가들을 환하고 밝은 모습으로 되살리고 싶습니다. 뜻 있는 시민들의 많은 참여와 관심 부탁드립니다.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