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명논평

[성명] 제1671차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시위 성명서

210

제1671차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시위

● 일 시 : 2024년 10월 23일(수) 낮 12시
● 장 소 : 주한 일본대사관 앞 “평화로”
● 주 최 :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
● 주 관 : 민족문제연구소

● 순서
– 사회 : 박이랑(민족문제연구소 활동가)

○ 여는 노래 <바위처럼> : 민족문제연구소 & 정의기억연대 활동가

○ 주관단체 인사말 : 김영환(민족문제연구소 대외협력실장)

○ 주간보고 : 이나영(정의기억연대 이사장)

○ 연대발언
1. 헬렌 스캔런(남아프리카공화국 케이프타운 대학교 교수)
2. 다 코스타 아라우조(HAK Association)
3. 송서영 장성욱 정우성 정유진 정해담 정해온 허지혁(전남 광양 옥룡북초등학교)
4. 야지마 츠카사(슈마리나이 강제노동 박물관 관장)

○ 성명서 낭독 : 김현지, 전민창(민족문제연구소 활동가)

바위처럼
바위처럼 살아가보자 / 모진 비바람이 몰아친대도
어떤 유혹의 손길에도 흔들림 없는 / 바위처럼 살자구나
바람에 흔들리는 건 / 뿌리가 얕은 갈대일 뿐
대지에 깊이 박힌 저 바위는 / 굳세게도 서 있으니
우리 모두 절망에 굴하지 않고 / 시련 속에 자신을 깨우쳐가며
마침내 올 해방세상 주춧돌이 될 / 바위처럼 살자구나.


제1671차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시위 성명서

1992년 1월 8일, 이곳 평화로에서 일본군성노예제 피해자들이 처음으로 외친 ‘낮은 목소리’는 32년이라는 세월을 쉬지 않고 세상을 향해 평화와 인권의 메아리로 널리 퍼져 나갔습니다. 그러나 평화와 인권이 살아 숨 쉬어야 할 이 소중한 공간이 혐오와 차별, 역사부정의 궤변으로 얼룩진 참담한 현실을 마주하며 오늘 우리는 다시 이 자리에 섰습니다.

일본군성노예제 피해자를 비롯한 강제동원 피해자들은 나라를 되찾고 80년이 되도록 온전한 인권회복을 이루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피해자들은 포기하지 않았습니다. 자신의 인생을 걸고 인권과 존엄의 회복을 위해 싸웠습니다. 피해자들이 한국과 일본을 오가며 수십 년의 투쟁으로 쟁취한 2018년 강제동원 대법원판결, 2023년 일본군성노예제 피해자 소송 판결은 세계인권사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젖힌 기념비적인 판결로 역사에 새겨졌습니다.

오는 10월 30일은 이춘식 할아버지를 비롯한 강제동원 피해자들이 대법원에서 일본제철을 상대로 역사적인 승소 판결을 쟁취한 날입니다. 그로부터 6년이 지나도록 일본 정부의 압력을 방패 삼아 전범 기업은 판결을 이행하지 않고 있습니다. 역사를 언급하기조차 부끄러운 윤석열 정부는 ‘제3자 변제’라는 위헌적이고 반역사적인 발상으로 피해자의 인권을 다시 짓밟았습니다.

그러나 피해자들은 포기하지 않았습니다. 이춘식 할아버지를 비롯한 피해자와 유족들은 전범 기업의 진정한 사죄와 배상을 요구하며 제3자 변제를 거부하고 싸우고 있습니다. 그리고 윤석열 정부에 분노한 시민들은 역사정의시민모금으로 화답했습니다. 역사정의 실현을 위해 평생을 싸워온 그분들을 우리가 반드시 지켜내야 합니다.

일본 정부의 집요한 방해를 물리치고 세계 각국에 꿋꿋이 서 있는 평화비는 투쟁을 통해 인권운동가로 우뚝 선 일본군성노예제 피해자 한 분 한 분의 또 다른 모습입니다. 평화비를 지켜내고 그분들의 역사를 기억하며 정의를 실현하는 일도 우리가 반드시 해내야 합니다.

피해자들의 인권을 회복하고 역사정의를 실현하기 위한 우리의 발걸음은 결코 멈출 수 없습니다. ‘일본의 마음’만을 생각하고 ‘강제동원’이라는 표현조차 거부하는 자들이 한일관계를 주무르는 윤석열 정부는 반드시 역사의 심판을 받을 것입니다. 일본군성노예제 문제의 정의로운 해결과 강제동원 피해자들의 인권회복을 위한 우리들의 투쟁은 반드시 승리할 것입니다.

– 일본 정부는 일본군성노예제 피해자들에게 공식 사죄하고 법적 배상하라!
– 일본 정부와 전범 기업은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들에게 사죄하고 배상하라!
– 역사정의를 위한 우리들의 투쟁은 끝내 승리한다!

2024년 10월 23일
제1671차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시위 참가자와
민족문제연구소 일동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