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려보기]
우리에게 민족문제연구소는 필요하다
― 서울·경기·강원지역 수련회를 다녀와서
김해규 후원회원
민족의식(民族意識)이 대두된 것은 백년전쟁 때부터라고 하지만 ‘민족(民族)’이라는 개념이 중요시된 것은 19세기 후반부터다. 상품시장과 자원 수탈에 혈안이 된 열강은 소위 ‘민족주의’를 내세우며 자국의 이익만 우선시하는 식민지침략을 자행했다. 분열된 민족, 열강의 침략과 지배를 받던 민족들도 ‘민족주의’를 내세워 통일운동과 독립운동을 전개했다.
근대 이전 우리는 민족보다 ‘국가(國家)’를 중요시했다. 봉건사회에서의 ‘충(忠)’은 국가와 임금에 대한 충성이었다. 을사늑약을 전후하여 전개된 구국운동도 ‘충(忠)’에 기반한 운동이었다. 대한제국시기의 의병전쟁과 ‘복벽주의(復辟主義)’도 왕조회복을 목표로 했던 독립운동이었다.
하지만 경술국치로 ‘국권’을 상실하면서 국가보다는 ‘민족의 독립’, ‘민족해방’이라는 개념이 중요시됐다. 해방 후 분단상황에서는 ‘통일된 국토와 국가’를 지향하는 개념이었으며, 친일잔재청산이 미진하면서 ‘친일파를 청산하고 민족정기를 되살리려는 개념’으로도 자리 잡았다.
민족문제연구소는 ‘민족(民族)’을 기치로 활 동하는 대표적인 시민단체다. 민족문제연구소의 사업은 통일운동보다 독립운동사의 복원과 독립운동가 선양, 친일파 청산에 방점이 찍혀 있다. 시민들의 힘을 모아 ‘친일인명사전 편찬’, ‘식민지역사박물관 건립’, 만주의 신흥무관학교 유적답사를 비롯한 독립운동사적지 답사와 같은 굵직한 사업을 추진했고, 최근에는 뉴라이트 인사 독립기념관장 임명 반대 운동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했다.
연구소의 철학과 방향성에 동의하여 모여든 회원들은 1만여 명이 넘는다. 회원들 각자의 의식과 삶은 다양하고 최근에는 회원확보에 어려움을 겪지만 ‘민족정기 회복’이나 ‘친일파 청산’ 앞에서는 일치된 생각과 행동을 가져왔다. 연구소에서는 매년 전국수련회를 개최했다.
수백 명의 회원이 전북 김제, 대구, 부산에 모여 단결력을 과시하고 민족의식을 공유했다. 하지만 대규모 집회에서는 밀도 있는 대화나 교류가 어려웠다. 올해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지역별 수련회로 방향 전환했다. 지난 10월 5일과 6일 강원도 강촌에서 개최된 서울·경기·강원지역 수련회도 그 가운데 하나였다.
강촌유스호스텔 집결 시간은 오후 2시였다. 회원들은 2시에 모여 의암 류인석 기념관을 비롯해 몇몇 독립운동 사적지를 답사하고 저녁에는 팀별 이야기 마당과 약간의 놀이와 교류의 시간을 갖기로 했다. 청명한 10월 서울-양양 간 고속도로는 매우 혼잡했다. 교통혼잡으로 서울, 경기지역 회원들의 집결이 지연되면서 오후 2시 30분쯤에서야 답사팀이 출발했다.
답사하는 동안 유스호스텔에 남아있던 상근 활동가들은 강당에 행사준비를 했다. 6시경 근처 ‘고기마당’이라는 식당에서 저녁 식사를 했다. 초벌구이한 두툼한 삼겹살과 목살, 진한 김치찌개, 소주와 맥주를 나누며 회원들은 서로를 소개하고 삶을 이야기하며 어색함을 풀었다. 방학진 실장의 활약은 어디서나 빛을 발했다. 우렁찬 목소리 붙임성 좋은 성격으로 사람과 사람 사이의 막힌 담을 단박에 허물었다.
연구소의 현황과 활동 소개와 회원 이야기 마당은 연구소의 현주소와 고민, 향후 방향성을 보여주는 귀중한 시간이었다. 민족문제연구소는 하부구조가 모여 상부구조를 형성한 조직이 아니라 상부를 중심으로 하부구조를 형성해가는 조직이다.
이같은 한계는 사회변화에 따른 회원 수의 증감표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야기 마당은 민족문제연구소의 한계를 극복하고 회원들이 만들어가는 시민단체, 회원의 의사가 반영된 사업을 지향하려는 의도에서 준비된 프로그램으로 읽혔다.
회원들은 9개 테이블에 나눠 앉아 서로의 삶과 지역별 활동을 공유하고 민족문제연구소에 대한 바람을 나눴다. 열띤 토론이 지난 뒤에는 결과물을 발표하며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각 팀들은 본부에서 제시한 미션을 100% 수행하지는 못했지만 지역별 활동 성과와 고민, 민족문제연구소에 대한 바람을 공유했다. 구 친일파와 신친일파들이 득세하는 세상에서 민족문제연구소는 반드시 필요하며 존립과 발전을 위해 회원확보에 더욱 노력하겠다는 다짐도 했다.
저녁 일정이 끝난 뒤에도 회원들은 새벽까지 술잔을 기울이며 이야기를 나눴다. 나눔의 자리에 함께하지 못했지만 그곳에서 나눴던 이야기가 민족문제연구소를 살찌우고 회원들의 삶에 값진 영양소가 되었으리라 믿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