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원회원마당]
나는 무엇이라 답할 것인가
민족문제연구소를 다녀와서
전여주 더불어민주당 관악을 청년위원회 간사
10월 26일은 역사적인 사건들이 겹치는 날로 1909년에 안중근 장군의 이토 히로부미 저격, 1920년의 김좌진 장군의 청산리대첩이 모두 10월 26일에 일어난 역사적 사건이다. 두 사건 모두 일제 식민지에 대항하고자 했던 우리 민족의 저항이었다는 점에서 역사적 의미가 있기에 청년위원회는 이런 정신을 기념하고자 민족문제연구소를 찾았다.
민족문제연구소는 기업이나 정부의 지원을 전혀 받지 않고 순수하게 시민들의 자발적 후원으로 운영되는 곳으로 국내에서 유일하게 식민지의 역사적 사실들에 대한 기록들을 전시하고 있는 곳이다. 우리는 특별히 국세현 기획팀장님의 친절한 맞이를 받았고 이어 방학진 기획실장님의 세세한 가이드로 처절했던 35년의 시간여행을 시작했다.
그중 나의 발길과 마음에 유난히 깊이 남은 곳은 독립운동을 하다 잡혀 온 사람들을 심문하고 가두었던 곳을 재현해 놓은 곳이었다. 독립운동을 하다가 체포되어 온 사람들을 심문한 기록들이 남아있고 이를 토대로 하여 실제 음성으로 그 내용을 들어볼 수 있도록 하였고 그 장소를 그대로 옮겨놓은 듯한 나무로 된 책상과 의자에 앉아볼 수 있도록 되어 있었다.
목소리로 옮겨져 있는 분들은 모두 학생이었고 질문은 모두 같았는데 이름과 나이, 독립운동에 찬성하는 이유, 독립운동에 참가한 이유, 독립운동을 하면 독립이 된다고 생각하는 이유, 앞으로도 독립운동을 할 것인지 등을 물었다고 한다.
나는 그 딱딱하고 차가운 의자에 앉아 질문과 답변을 들으며 ‘나라면 이렇게 답할 수 있었을까? 나라면 앞에 있는 일본순사가 무섭지 않았을까?’ 라는 생각을 해보았다.
“너희가 우리를 짓밟았기에 독립운동은 당연한 것이고 때문에 나는 끝까지 우리 민족의 독립을 위해 독립운동을 할 것이다.”라는 대답을 망설임 없이 할 수 있었을까…
내가 그 시대에 살았다면 내가 어떻게 했을지 솔직히 알 수 없다. 그러나 내가 분명하게 말할 수 있는 건 나는 지금, 우리 사회에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일들을 찾아서 하고 있고 앞으로도 할 것이라는 것은 분명하다.
시대가 변해, 우리나라를 물리적으로 짓밟는 세력은 없다. 우리는 일제 식민지에서 해방되었고 그 후로 민주화를 이루어 내었다. 그렇다면 이제 민족적 과제는 없는 것일까? 그렇지 않다. 내가 생각하는 우리 사회의 과제는 눈부신 경제발전 뒤에 감춰진 소외의 그늘을 줄여나가는 것이고 민주화를 이루었으면서도 이념 대립, 이익집단의 대립, 지역간 대립 등으로 벌어져 있는 틈을 최대한 메우는 것이라 생각한다. 이것이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의 정치적 과제이고 사회적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가 아닌가? 이 때문에 우리는 정치를 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민족문제연구소를 나서면서 효창공원에 있는 삼의사묘(윤봉길, 이봉창, 백정기)와 임정요인묘(이동녕, 조성환, 차이석)도 방문하여 자세한 설명을 들었다. 삼의사묘에는 현재 세 분의 시신이 안치되어 있으며 봉분이 네 개인 이유는 안중근 장군의 묘를 만들어 놓았기 때문이라고 한다.
우리들에게 자세한 가이드를 해주신 민족문제연구소의 방학진 기획실장님은 “역사는 오답노트”라고 하셨는데 어찌 보면 식민시대의 역사를 다시 되새기는 것이 썩 유쾌하지 않은 일임에도 불구하고 꼭 해야만 하는 이유를 알 것 같았다. 다시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서, 다시 빼앗기지 않기 위해서, 다음 번에는 정답을 쓰기 위해서 그 아프고 치욕스런 역사는 꼭 다시 새겨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특히 정치한다고, 사회의 문제를 해결해 보겠다고 하는 우리는 미래에 정답을 쓰기 위해서라도 오답노트를 더 꼼꼼히 보고 소화해야 될 것이다. 가을을 맞아 10·26의 역사적 사건들을 기념하기 위해 민족문제연구소를 방문한 것은 참 잘했다는 생각이 든다. 나의 사회적 소명은 물론 우리가 정치를 하는 이유와 목적에 대해 다시 한번 숙고하는 뜻깊은 시간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