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토로 거주권 문제 일본에 책임”
국무총리 산하 ‘일제강점하 강제동원 피해자 진상규명위원회’는 7년째 퇴거 논란을 빚고 있는 일본내 조선인 집단촌인 우토로 지역의 거주권 문제에 대해 “책임은 일본에 있다.”고 28일 밝혔다.
진상규명위는 최근 정부 차원에서는 처음으로 이 지역에 대한 진상조사를 마치고 ‘일본 우토로 지역 주민의 도일(渡日) 배경에 관한 조사’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는 “일제의 전시노동력동원 정책 속에서 조선인들이 생존전략 차원에서 이 지역으로 이주했다.”면서 “현재 논란이 되고 있는 거주권 문제는 역사적 기원이라는 차원에서 일제의 전시정책과 일본 국제항공공업회사의 책임은 분명하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우토로 지역의 조선인들은 그동안 알려진 것과 달리 한국에서 강제 징용된 것이 아니라 일본에 거주하던 조선인들이 대부분이다. 이들은 1930년대 말 일본이 전시노동력 동원 정책을 펼치자 ▲해외징용을 피하거나 ▲일자리를 얻기 위해 ▲공습을 피하기 위해 이주한 것으로 나타났다. 당시 일본은 교토부에 90만여평의 비행장을 건설하기 위해 값싼 임금의 조선인을 고용했다. 고용된 조선인이 1300여명에 이른다.
지난해 민간 차원에서 ‘우토로 문제 국제대책회의’를 마련해 모금운동에 나서 4억 8000만여원이 모였으나 서일본식산이 요구하는 13억엔(약 117억원)에는 턱없이 부족하다. 관심이 줄어들어 올해 모금액은 0원이다.
한편 28일 일본 도쿄 외무성 회의실에서 열린 제15차 재일한국인문제 한·일 아태국장회의에서 우리측은 인도적 지원에 적극적으로 임해줄 것을 일본측에 요청했으나 일측은 우토로 문제가 민사상 문제로서 당사자간 해결이 필요하다는 기존 입장을 고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