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문제연구소는 ‘친일인명사전’에 담길 남인수의 주요 친일행적 자료를 7일 ‘친일잔재청산을위한진주시민운동’에 보냈다. 이 단체는 9일 가요제 때 이들 자료를 담은 유인물을 만들어 시민들에게 나눠 줄 예정이다.
진주 출신인 남인수는 진주제2공립보통학교를 졸업(1932)한 대중음악가(가수)였다. 그의 주요경력을 보면 1934년 ‘시에론’레코드사에 입사해 1936년 <눈물의 해협>으로 가수 생활을 시작했다. 그는 ‘오케(okeh)’ 레코드사 직영 조선악극단 소속 가수로 활동하면서 남만주와 중국 순회공연을 하기도 했다.
그가 부른 ‘친일 군국가요’는 많다. ▲<강남(江南)의 나팔수>(1942년 1월 오케 레코드, 작사 조명암, 작곡 김해송)와 ▲<남쪽의 달밤>(1942년 8월 오케레코드, 작사 조명암, 작․편곡 박시춘), ▲<낭자일기(娘子日記)>(1942년 9월 오케레코드, 작사 조명암, 작․편곡 박시춘), ▲<병원선(病院船)(1942년 4월 오케레코드, 작사 조명암, 작․편곡 박시춘), ▲<이천오백만 감격(二千五百萬 感激)>(1943년 11월 오케레코드, 조선징병제 실시 기념음반, 작사 조명암, 작․편곡 김해송), ▲<혈서지원(血書志願)>(1943년 11월 오케레코드, 작사 조명암, 작․편곡 박시춘).
<강남의 나팔수>는 중일전쟁 당시 일본군의 활약을 찬양한 노래로, 가사의 내용으로 볼 때 일본군 돌격을 알리던 나팔수가 전사하자 이를 찬양한 것으로 보인다. <남쪽의 달밤>과 <낭자일기> <이천오백만 감격> 등은 징병제 실시를 축하 기념하는 노래다.
<혈서지원>은 1943년 징병제 실시를 축하하고 조선인들이 혈서를 써서 지원한다는 내용으로 되고 있다.
또 그는 내선일체를 주장한 영화 주제곡 <그대와 나>(1941년(?), 작사 조명암, 작곡 김해송)를 장세정과 불렀는데, 이 노래는 ‘조선군 보도국’에서 제작한 것이다. <그대와 나>는 허영이 감독한 대표적인 친일영화다.
해방 이후 남인수는 정훈국 문예중대 소속 군위문활동 참여(1950)와 대한레코드가수협회 회장(1958), 한국가수협회 회장(1961), 한국연예협회 부이사장(1961.12) 등을 지냈다.
|
▲ 진양호 공원에 있는 남인수 동상. |
ⓒ 윤성효 |
|
|
“가수는 노래로 친일에 기여한 행위”
방학진 민족문제연구소 사무국장은 “일부에서는 ‘가수가 노래 몇 곡 부른 것이 뭐가 죄냐?’고 하는데, 당시 일제의 통치 방식을 직역봉공(職役奉公)을 기본으로 하는 방식이었다. 직역봉공이란 자신의 직업을 충실히 하며서 친일을 하라는 방식으로 즉 화가는 그림으로 작가는 글로 가수는 노래로 친일에 기여한 행위”라고 설명했다..
방 사무국장은 “총독부는 남인수에게 노래로써 친일하기를 요구한 것이지 수백만 군인 중에 한명으로 참전하도록 요구한 것이 아니다. 만약 그런 변호 논리라면 이광수도 김기창도 그 어느 예술인도 친일의 죄를 물을 수 없다”고 덧붙였다.
그는 “인기 가수 남인수가 친일노래를 불렀기에 문제가 되는 것이며, 연구소에서 확정된 명단이 나오지 않아서 관계없다는 논리도 문제다. 이미 행위 자체가 명백하고 반복적이므로 진주시민의 역사 인식을 감안한다면 용납할 수 없다”고 밝혔다.
그는 “밀양의 ‘박시춘가요제’나 성주의 ‘백년설가요제’도 친일인명사전 명단 확정 전이었지만 관계자들이 민족문제연구소의 문제 제기를 수용한 사례도 많다”고 말했다.
|
▲ ‘친일잔재청산을위한진주시민운동’은 오는 9일 진주성 특설무대에서 열리는 남인수 가요제 때 남인수의 친일행적을 담은 유인물을 나눠 줄 예정이다. 사진은 지난 해 가요제 때 시위를 벌이고 있는 시민단체 회원들의 모습. |
ⓒ 진주신문 |
|
|
남인수가 부른 ‘친일 군국가요’의 가사
[강남의 나팔수] 동무야 잘 싸웠다 강남의 나팔수/총 끝에 번갯불을 번쩍거리며/여산(廬山)은 칠십 리를 쳐들어 간 밤/여산은 칠십 리를 쳐들어 간 밤/입술에 피 흘리고 너는 갔구나.
[남쪽의 달밤] 나는 모른다 나는 모른다/동백꽃 피는 내 고향 떠나왔으니/사나이 내 목숨을 낸들 어이 알쏘냐/뻐꾹새 울지 마라 뻐꾹새 울지 마라 남쪽의 달밤//흘러를 간다 흘러를 간다/남쪽의 항구 쌍돛대 화륜선 위에/고향을 찾아가는 내 마음이 흐른다/어머니 불러 보는 어머니 불러 보는 진중(陣中)의 달밤//내일은 간다 내일은 간다/나라에 바친 한 가지 꽃을 안고서/험한 산 천리 황야 붉은 피를 묻히며/낙화로 가리로다 낙화로 가리로다 사나이 목숨.
[낭자일기] 낭자는 꽃이었소 아름다웠소/한 마음 붉게 피는 동백이었소/천만 산 넘고 넘어 싸움터로 가는/이 산천 젊은이의 아내이었소//낭자는 일꾼이오 씩씩하였소/먼 곳에 가신 님께 지지 않았소/두 몸은 남북으로 한별(恨別)이언만/충성을 맹세함은 한 가지였소//낭자는 꽃이었소 붉은 정성에/한 조각 떨어지는 낙화이었소/맘대로 못 다하는 생사일망정/떳떳이 죽는 것이 소원이었소.
[병원선] 정 들자 떠나가는 차이나 항구/병원선 뱃머리에 손을 흔들 때/붉은 불 푸른 불이 눈에 흐른다//군복을 벗어 놓고 흰옷을 입고/상처를 만지면서 흘러갈 적에/한 목숨 버린 동무 보고 싶구나//고향을 떠나온 지 몇 해 몇 천 리/죽어서 돌아가잔 맹세는 젖어/병원선 그늘 아래 달빛을 본다.
[이천오백만 감격] 역사 깊은 반도 산천 충성이 맺혀/영광의 날이 왔다 광명이 왔다/나라님 부르심을 함께 받들어/힘차게 나아가자 이천오백만/아 감격의 피 끓는 이천오백만/아 감격의 피 끓는 이천오백만//동쪽 하늘 우러러서 성수(聖壽)를 빌고/한 목숨 한 마음을 님께 바치고/미영(米英)의 묵은 원수 격멸의 마당/정의로 나아가자 이천오백만/아 감격의 피 끓는 이천오백만/아 감격의 피 끓는 이천오백만.
[혈서지원] 무명지 깨물어서 붉은 피를 흘려서/일장기(日章旗) 그려 놓고 성수만세(聖壽萬歲) 부르고/한 글자 쓰는 사연 두 글자 쓰는 사연/나라님의 병정 되기 소원입니다//해군의 지원병을 뽑는다는 이 소식/손꼽아 기다리던 이 소식은 꿈인가/감격에 못 이기어 손끝을 깨물어서/나라님의 병정 되기 지원합니다//나라님 허락하신 그 은혜를 잊으리/반도에 태어남을 자랑하여 울면서/바다로 가는 마음 물결에 뛰는 마음/나라님의 병정 되기 소원입니다//반도의 핏줄거리 빛나거라 한 핏줄/한 나라 지붕 아래 은혜 깊이 자란 몸/이 때를 놓칠쏜가 목숨을 아낄쏜가/나라님의 병정 되기 소원입니다//대동아(大東亞) 공영권(共榮圈)을 건설하는 새 아침/구름을 헤치고서 솟아 오는 저 햇발/기쁘고 반가워라 두 손을 합장하고/나라님의 병정 되기 소원입니다.
[그대와 나] 꽃피는 고개 너머 하늘에는 새날이 밝는다/영원한 길을 닦는 지평선에서/노래를 부르잔다 키미토보쿠/노래를 부르잔다 키미토보쿠//그대는 반도 남아 이내 몸은 야마토사쿠라/건설의 햇발 솟는 지평선에서/노래를 부릅시다 아이노우타/노래를 부릅시다 아이노우타//여기는 아세아다 우리들의 희망은 빛난다/따뜻이 손을 잡고 깃발 아래서/충성을 맹서 짓는 키미토보쿠/충성을 맹서 짓는 키미토보쿠.<오마이뉴스, 07.1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