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기사

기억으로의 개입은 화해를 돕는가 – 韓日합병 100주년을 2년 후로 앞두고-아사히신문(08.03.29)

582

기억으로의 개입은 화해를 돕는가 – 韓日합병 100주년을 2년 후로 앞두고
(일본 아사히, 3.29 석간, 12면, 미우라 노부타카 쥬오대(中央大) 교수, 기고)


2007년 7월 30일 美 하원에서 일본군위안부문제에 대해 일본의 책임을 묻는 결의가 채택되어, 참의원에서 참패한 아베 정권에 이중의 타격을 안겼다. 이중의 타격이라는 것은, 납치문제에 대한 강한 행동으로 총리가 된 아베 씨였으나 북한 핵과 납치문제 해결에 있어 의지하던 부시 정권의 발등에서 여론이 위안부문제로 기울어 일본은 미국의 지원을 기대할 수 없게 되었기 때문이다.

과거의 트라우마적 기억과 공간을 넘어 분출하고 국제여론을 향해 정의를 구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이러한 ‘기억의 세계화’의 배경에는 희생자 집단이 국경을 넘어 이동하는 디아스포라 현상이 있다. 직접희생자가 호소하지 않아도 가혹한 경험의 기억은 희생자의 자손들에게 전해진다.

그러나 국제법정도 아닌 美 의회가 그야말로 인권과 정의의 수호자라도 되는 양 타국의 과거에 대해 도의적 비판을 내려도 좋은 것인가. ‘인도적 개입’ 아닌 ‘기억으로의 개입’은 자기 집안부터 깨끗이 한 뒤에 해야 할 일이 아닐까. 하기야 미국은 20년 전에 태평양전쟁 중 약 12만 명의 일본계 미국인을 강제 수용한 과거를 공식적으로 사과하고 보상했다. 그래서 양심에 거리낌 없이 일본에 교훈을 늘어놓을 수 있는 것이겠다. 그러나 일본의 전쟁범죄를 도쿄재판에서 다룬 미국은 원폭투하에 의한 비전투원의 대량살상에 대해서는 사죄하지 않았다. 일본이 시작한 전쟁을 하루라도 빨리 끝내기 위해 원폭이 필요했다는 것이 아직까지 변함없는 미국의 공식 견해이다.

침략전쟁이나 식민지 지배의 과거에서는 가해국 측의 진지한 반성이 화해의 전제다. 그러나 정의를 위한 보복전쟁에서는 피해자가 간단히 가해자로 탈바꿈한다. 피해자의 가해자성을 끄집어내 가해자를 면죄해서는 안 되지만 가해자와 피해자를 단순히 양분하는 선악 이원론으로는 진정한 화해에는 도달할 수 없다.

박유하의 『화해를 위하여』(헤이본샤)는 이 명제를 정리하여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일본 우파의 역사수정주의뿐 아니라 일본 좌파가 침묵하는 한국 측의 내셔널리즘도 비판해서인지 동 서에 대한 반발도 많다. 2010년의 韓日합병 100주년을 화해와 우호의 기회로 만들기 위해, 생각해두어야 할 문제는 크고 복잡하다.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