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기사

한국의 일본가옥, 일제의 잔재? 문화재?-파괴에서 보존으로, 흐름 변화-산케이신문(08.05.20)

1117

한국의 일본가옥, 일제의 잔재? 문화재?-파괴에서 보존으로, 흐름 변화
(일본 산케이, 5.20, 6면, 쿠보타, 서울發)


한국에서 구 일본 통치시대(1910~1945년)의 일본가옥이 관광자원이나 문화재로서 재조명받고 있다. 김영삼 정부 시절의 1995년에는 구 조선총독부였던 국립중앙박물관 건물이 과거 청산의 상징으로서 해체되었으나, 시대는 변하여 식민지시대의 유물을 무조건 파괴해 온 데 대한 ‘반성’의 의견마저 들린다. ‘과거에 대한 시선’은 확실히 변화하고 있다.

한국에서 일본 통치시대의 일본가옥은 적산가옥이라 불려왔다. 일반가옥이 개발로 모습을 감추는 가운데, 거리 전체가 남아 있는 것으로는 전라남도 목포나 전라북도 군산이 알려져 관광명소가 되어 있기도 하다. 개발에서 뒤처진 것이 잔존해 있는 이유이기는 하나, 최근의 재개발의 움직임에 ‘일제의 잔재는 없애고 개발해야 한다’는 현지 주민과 ‘역사는 보존해야 한다’는 입장의 지자체나 학자, 시민들과의 의견 대립도 일어나고 있다.

그러나 한편 한국의 역사학이나 건축학계의 젊은 층 학자들 사이에서는 90년대 후반부터 ‘한국의 근대사를 재고하자’는 기운이 나오고 있어, 일본 통치시대 건물 등도 생활사의 시점에서 그 연구가 주목받게 되었다. 그런 가운데 2001년에 등록문화재법이 성립. 이는 역사적인 문화재를 보호하는 지정문화재 대상에서 빠진 50년 이상의 문화재를 지원하는 법률이나, 건물은 연대적으로 일본 통치시대의 것이 많다.

서울시에서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지목받고 있는 것이 구 일본군 관사 2채이다. 마침 주택재개발지에 있어 현재 이축 중. 지정을 추천한 경기대 건축대학원의 안창모 준교수는 “군관사로서는 현존하는 마지막 건물이다. 물론 일본 통치시대의 건축물은 한국에서 감정적으로 무조건 거부되어 왔으나 한국은 한국전쟁도 경험했고 고도의 경제성장도 거치며 많은 역사적 건축물을 잃었다. 객관적으로 과거의 유산을 보존하자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고 말했다.

서울에는 서울역이나 서울시청사 등 일본 통치시대의 공공건축물이 남아 있다. 시청사는 3년 후에 지상 22층의 신 시청사가 완성되나, 구 청사는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도서관이 될 예정. ‘잔재는 부숴야 한다’는 의견은 이제 과거의 것이 되었다.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