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기사

이승만 종교정책의 빛과 그림자

215






불교사회연구소, ‘불교와 대통령 이승만’ 토론회 개최

(서울=연합뉴스) 황윤정 기자 = 권력자들에게 종교 문제는 피할 수 없는 화두다.

이는 역대 대통령들도 마찬가지였다. 종교와 적절한 거리를 유지하려고 노력하는가 하면 때로는 정권 유지를 위해 종교를 이용하기도 했다. 초대 대통령이자 독실한 개신교 신자였던 이승만 전 대통령의 업적과 과오를 불교적 관점에서 재조명하는 토론회가 열린다.



조계종 불교사회연구소는 오는 18일 오후 2시 서울 종로구 견지동 불교역사문화기념관에서 ‘불교와 대통령 이승만’을 주제로 토론회를 연다. 이번 토론회에서는 서울대 강사인 이재헌 박사가 주제 발표를 하고, 뉴데일리 이승만연구소 공동대표인 이주영 건국대 명예교수, 홍사성 불교평론 주간, 박한용 민족문제연구소 연구실장, 김종인 경희대 후마니타스 칼리지 교수가 토론을 벌인다.


이재헌 박사는 15일 공개된 발제문을 통해 해방 이후 불교계가 일련의 개혁 조치를 취했지만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한 것은 “미 군정과 그를 계승한 이승만 정권의 노골적인 친(親)기독교 정책과 그에 따른 차별 대우 때문이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이승만 정부의 대표적인 친기독교 정책으로 크리스마스를 국경일로 지정한 점, 형목(刑牧)제도를 만들어 교도소 교화사업을 기독교에 전담시킨 일, 서울중앙방송을 통해 선교 방송을 하도록 한 것 등을 꼽았다.


이승만 정부와 미 군정의 기독교 우대 정책으로 해방 직후 남한 전체 인구의 2-3%에 불과하던 기독교 인구는 1960년대에는 7.5%로 2배 이상 증가했다.이 박사는 “이승만 정권의 개신교 편향 정책으로 인해 다른 종교들은 커다란 피해를 입을 수밖에 없었다”면서 특히 불교는 1954년 이승만 대통령의 불교 유시 이후 격심한 갈등의 수렁의 빠져 사회적 위신에 결정적인 타격을 입었다고 지적했다.


이승만 대통령은 1954년 ‘대처승(결혼한 승려)은 사찰에서 물러가라’는 내용의 유시를 발표했다. 일제잔재 청산을 위한 일이긴 했으나 비구승과 대처승 간 분규를 야기했고 ‘타율에 의한’ 불교 정화의 동기를 제공했다. 이 박사는 그러나 이승만 정권에 그런 빌미를 준 것은 “불교 자체의 분열과 갈등, 그리고 무엇보다 국가권력에 의지하려고 하는 치명적 약점 때문이었음을 부인하기 어렵다”며 불교 정화를 통해 드러난 불교 내부의 문제를 되돌아보고 거기서 한국 불교의 좌표를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홍사성 불교평론 주간은 불교 정화 운동이 오랜 기간 불교계의 내분과 분열의 원인이 되었지만 비구승 중심의 한국 불교를 확립한 긍정적 측면도 있다고 평가했다. 또 “정화운동이 오랜 기간 내분과 분열의 원인이 되었을지라도 그 원인을 이승만에게 전가하는 것은 (불교) 스스로의 정체성마저 훼손할 수 있다”면서 “모든 불행의 원인을 밖에서 찾는 것은 자신에게서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을 시도해야 한다는 불교적 가르침에도 위배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문제는 우리 자신”이라면서 “이승만이 얼마나 기독교적 이념의 국가를 세우려고 했는가를 밝히는 것 못지않게 불교는 이에 어떻게 대응했는가도 살펴야한다”고 강조했다.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