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저술 배경
중세 이래 한국사회의 특징 가운데 하나로 사회에 비해 국가가 비대하게 발달한 것을 꼽는데, 이것은 현대의 한국에도 해당된다 할 수 있다. 왕조시대의 중앙집권국가론, 식민지시대와 해방후의 과대성장국가론과 개발독재론, 권위주의국가론 등 모두 ‘강한 국가’의 성격을 반영한 주장들이다. 이들 모두 국가가 사회에 대해 우월적인 지위에 있을 뿐만 아니라, 국가권력이 중앙에 집중되어 있는 특성을 공통적으로 강조하고 있다. 이 책은 이런 한국사회를 이해하는 주요한 열쇠인 국가 문제를 분석하기 위한 작업으로서 현대 국가의 역사적 연원이라 할 수 있는 식민지시대의 국가권력 문제를 다룬 것이다.
구체적으로 1930~40년대 조선총독부의 촌락지배를 정책과 기구, 촌락지도자, 그리고 촌락사회의 대응이라는 네 가지 차원에서 재구성하여 식민권력이 어떤 방식과 수준으로 촌락까지 침투해 들어갔으며, 이에 대한 촌락사회의 변화와 대응양상을 밝힘으로써 식민지기의 촌락상과 지도자상을 규명하는 것이 이 책의 목표라 할 수 있다.
■■ 내용 소개
일제가 식민지 조선사회에 설치한 중앙권력은 강력한 무장력과 행정력을 통해 자신의 의지를 촌락까지 관철시키려는 정책과 제도를 구축하려 했으며, 이로 인해 촌락사회는 자본주의 상품화폐경제의 침투와 함께 전통적인 질서가 해체되거나 위협받음과 동시에 식민권력의 침투에 대응해야 했다. 식민지 조선 주민에게 있어 1930~40년대는 강력한 국가권력이 일상 속으로까지 침투해 들어와 각종 행정 요구와 동원에 시달리는 낯선 경험을 겪으면서 대응하는 시기였다.
대응은 거부와 수용, 변용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으며, 이는 식민권력이 촌락사회의 대응에 따라 불균등하게 침투해 들어갔음을 반영하는 것이기도 했다. 비록 협소하고 제한된 공간이긴 하지만 촌락사회는 자치조직의 역량에 따라 식민권력에 대해 다양하게 대응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저자는 상대적으로 다른 식민지에 비해 고도로 발달한 조선총독부 중앙권력과 이에 대응해야만 하는 조선 촌락사회라는 두 축을 중심으로 식민지 사회를 재구성하였다.
일제 식민지시대를 어떻게 규정할 것인가와, 그것이 현대 한국에 남긴 유산들은 어떻게 보아야 할 것인지에 대해선 많은 논쟁들이 있어왔지만, 저항운동 일변도의 민족주의론이나 경제적 통계지표로서만 보려는 근대화론을 지양하면서 식민지시대를 살았던 사람들과 그들이 생활했던 공간과 사회상의 실체들을 규명하는 작업들은 이제 조금씩 진행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책은 이런 작업의 일환이자 현대 한국마을의 변천과정을 거시적으로 조망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공한다는 면에서 주목된다 하겠다.
■ 저자 김민철
한국근현대사를 전공하는 연구자로 경희대학교에서 “조선총독부의 촌락지배와 촌락사회의 대응” 는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일제의 지배정책과 친일, 강제동원피해자, 일본역사왜곡 등 과거청산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와 시민운동을 함께 하고 있다. 민족문제연구소 연구실장,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기획총괄과장?조사팀장, 아시아평화와역사교육연대 상임운영위원장 등을 지냈으며, 지금은 태평양전쟁피해자보상추진협의회 집행위원장, 민족문제연구소 책임연구원, 경희대 강사로 활동하고 있다.
“기억을 둘러싼 투쟁”을 썼으며, “친일인명사전”을 비롯하여 “친일파란 무엇인가”, “일본군‘위안부’ 문제의 책임을 묻는다”, “일제 식민지 지배의 구조와 성격”, “일제하 전시체제기 정책사료총서”, “청산하지 못한 역사”, “친일파99인” 등을 함께 기획하고 썼다.
관련기사
- 43315502.bmp (234.49 K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