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리랑의 노래 | 김산·님 웨일즈
5000년의 역사를 가진 문화민족이면서 20세기에 들어와서 타민족의 강제지배를 받게 되는 경우는 세계사에서도 드문 일이라 하겠다. 그렇게 ‘식민지 백성’이 된 사람들이 지배기간에 각기 어떻게 살았는가 하는 문제는 역사학의 관심거리가 되고, 따라서 연구대상이 되게 마련이었다. ‘왜정 36년’ 동안을 산 사람들의 상황을 여러 가지로 구분할 수 있겠지만, 그 기간에 김산 즉 장지락같이 산 사람도 있었음을 <아리랑의 노래>를 통해 알게 되었다.
나의 경우 역사학 전공자로서 <아리랑의 노래>를 통해 얻은 대단히 중요한 문제가 있다. 일제강점기에 추진된 우리 독립운동전선에는 좌익진영도 있고 우익진영도 있었지만, 이 두 진영이 민족해방이 가깝게 전망되면 될수록 합작해 갔다는 사실을 <아리랑의 노래>를 통해 알게 된 것이다. 왠지 우리말 번역본 <아리랑의 노래>에는 빠졌던데 일본어 번역본에는 김산이 직접 쓴 ‘조선혁명운동의 분석’이란 부록이 있고, 거기에 1936년 이후의 우리 민족 독립운동전선은 모든 계급과 당파가 통일해서 추진한 ‘민족전선’으로 되어갔다고 기록돼 있다.
분단시대의 민족운동사는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까지도 좌익운동과 우익운동으로 분열시킨 경향이 있는데 <아리랑의 노래>를 읽음으로써 독립운동과정의 통일전선운동에 관심을 가지고 논증하기 시작했다.
해방 후 남북으로 분단되는 두개의 국가가 생기리라고는 그야말로 꿈에도 생각하지 않았던 독립운동전선이었기에, 해방이 가깝게 전망되면 될수록 모든 정파가 통일전선을 이루어갔음을 알고 논증하게 된 것은 <아리랑의 노래>를 읽음으로써 가능했다. 따라서 1940년대로 들어서면서 대한민국임시정부가 좌우합작정부가 된 사실과 국내외 독립운동단체들이 통일전선을 지향해 간 역사를 쓸 수 있게 되었다
<경향신문> 2014-02-26
※관련기사:
◎[강만길의 내 인생의 책](2) 조선봉건사회경제사 – 식민사학 극복의 디딤돌
◎[강만길의 내 인생의 책](3) 한국통사 – 근·현대사 연구 길잡이
◎[강만길의 내 인생의 책](4) 아리랑의 노래 – 좌·우 아우른 독립운동사 생생
◎[강만길의 내 인생의 책](5) 역사를 위한 변명 – ‘역사학의 길’이란 이런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