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기사

‘민족의 이름’으로 널, 용서하지 않겠다

498

이명박·박근혜 정부의 공통점 중 하나는 집권 초기의 주요 의제로 역사 교과서 문제를 제기했다는 것이다. 이 대목에서는 인도 우익 정당들도 마찬가지다. 힌두근본주의 정당으로, 현재 진행 중인 인도 총선에서 집권이 유력시되는 인도국민당이 그랬다.

민족주의 계열의 보수 우익 정당인 국민당은 1977년 처음으로 집권했으나 2년도 못 버티고 퇴출당했다. 이들은 인도국민당으로 재창당해서 20여 년 만인 2002년에 다시 집권한다. 그런데 이 국민당이 두 차례의 집권 초반에 가장 중요한 정치적 이슈로 끌어올린 것이 바로 역사 교과서 문제였다. 교과서 개정을 정권 재창출에 가장 중요한 수단으로 봤기 때문일 것이다. 국민당은 이전 정권의 역사 교과서가 공산주의자들에 의해 왜곡되었다고 규정했다. 한국 수구 세력들이 ‘종북 교과서’ 운운하는 것과 비슷하다. 여기나 저기나 ‘빨갱이’가 문제라고 보는 건가.

인도에서 역사 교과서 문제가 처음 불거진 것은 1977년 국민당의 모라르지 데사이 정부 때였다. 당시 데사이 정부는 고등학교 역사 교과서인 < 인도 고대사 > 저자인 샤르마에게 ‘학문을 공산주의로 물들게 한 자’라며 신랄한 비난을 퍼부었다. 이듬해 1978년에는 < 인도 고대사 > 를 국립교육연수원(NCERT·검인정 체제하에서 교과서를 발행하는 공공기관) 책 목록에서 퇴출해버렸다. 중학교 역사 교과서 저자인 타파르도 무사하지 못했다. 국민당이 그에게 “이슬람 왕조인 무굴에 대해서는 관대하면서 고대 힌두 문명을 적대시한다”라고 덮어씌웠다.

ⓒAP Photo 민족의용단의 어린 단원들이 새해맞이 행사에서 행진하고 있다. 개정된 교과서는 민족의용단 조직력 덕분에 인도 곳곳의 학교로 파고들어갔다.

인도 역사 교과서 논쟁에서는 주로 고대사와 중세사, 특히 신화·민족을 둘러싸고 전선이 형성되었다. 힌두 민족주의자들에게 역사는 신화나 문학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이들은 힌두 신화에 나오는 라마(Rama)나 크리슈나(Krishna) 같은 신의 행적을 역사적 사실로 인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신의 이야기가 역사에 편입되면 인도는 모든 면에서 세계 최고의 문명국이자 고대 문명의 발상지이며 기원이 될 수 있었다. 또한 세계 최고인 인도 고대 문명이 이슬람, 기독교 등 외래 종교와 민족의 유입으로 쇠퇴하기 시작했다고 주장했다. 이야기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역사학적으로 실체가 없는 ‘힌두 공동체’와 ‘무슬림 공동체’를 상상으로 만들어내기도 했다. 이 시나리오에서는, 선(善)인 ‘힌두 공동체’가 ‘악(무슬림 공동체)’으로부터 수난당하다가 끝내 승리를 쟁취하게 된다. 힌두와 이슬람을 이간질해서 정치권력을 획득하기 위한 선동이다.

이런 우파 민족주의적 역사 인식이 학술적으로 일고의 가치도 없다는 것은 불문가지다. 학계에서는 거의 용납할 수 없는 이야기였다. 그러나 정치적으로는 큰 성공을 거뒀다. 의용단일가(민족의용단, 인도국민당, 세계힌두회의 등 정계·사회단체·종교계 등에 포진한 극우 힌두 세력들을 총칭하는 용어)가 이후 종교 공동체 간의 갈등을 고조시키면서 폭발적으로 성장한 끝에 2002년에는 정권까지 장악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집권한 인도국민당 정권은 역사 교과서 개정에 나선다. 국립교육연수원의 역사 교과서를 새로 집필하게 한 것이다. 국립교육연수원 교과서는 공교육 체제의 대다수 학교에서 채택되기 때문에 매우 큰 영향력을 발휘한다. 그러나 학계가 가만히 있지 않았다. 교과서 저자들과 이를 지지하는 학자들이 정치권력에 맞서 싸우기로 결의하면서 논란이 일파만파로 번지게 된다. 인도국민당은 2004년 다시 정권을 잃게 되는데, 새 정부가 역사 교과서를 재개정해 ‘정상화’시킨 이후 이 논란은 다소 잠잠해진 상태다.


교과서 개정, 비극적 사건의 배경이 되다

힌두 민족주의자들의 역사 왜곡에서 가장 두드러진 주장은, 힌두교인만을 인도인으로 규정한 것이다. 무슬림이나 기독교인은 인도를 침략한 자들의 자손이며, ‘민족의 이름’으로 배제되어야 할 대상으로 간주된다. 유사 파시즘 이데올로기다. 이런 역사 교육을 받은 사람들은 자연히 사회의 다원성을 부인하고 신성 국가를 주창하면서 종교 공동체 간의 사회 갈등을 야기하게 된다.

ⓒAP Photo 이번 총선에서 인도국민당은 집권 가능성이 높다. 투표소에서 차례를 기다리고 있는 유권자들.

이런 역사관으로 작성된 교과서가 1970년대 후반부터 의용단일가의 조직력 덕분에 인도 곳곳의 학교로 파고들어갔다. 민족의용단이 운영하는 지부(shakha·샤카)는 이 역사관을 토대로 유치원부터 고등학교까지 모든 연령의 학생을 교육하면서 의용단원을 양성했다. 샤카는 요가·의례·예술 등 광범위한 힌두 문화를 청소년들에게 가르치면서 국수주의적 세계관을 매일매일 삶에서 실천하도록 했다. 샤카 조직은 1990년대 말에는 인도 전역에 약 6만 개가 설치되어 있었을 정도로 번성했다. 의용단일가에 속하는 교육 조직인 전인도지식교육원은 학교 2만여 곳을 운영했다. 이런 학교는 도시보다 시골이나 소수 부족 거주지에 집중 분포되어 있어 다른 정보와 지식을 접하기 어려운 청소년들의 의식을 성공적으로 왜곡시킬 수 있었다. 여기서 교육받은 청소년들이 의용단일가의 다양한 조직에 행동대원으로 충원되어 1992년 아요디아 사태나 2002년 구자라트 학살을 주도했다. 결국 인도 현대사의 가장 비극적인 수구 난동 사건들은 힌두 우익 세력이 주도면밀하게 자신들의 역사관을 확산시키고 교육한 오랜 세월의 결과다.

정치권력을 장악하기 위한 도구로 역사 교과서를 활용(하려)한다는 점에서, 인도와 한국의 수구 세력은 닮았다. 그러나 인도에서는 왜곡된 주장이나마 그 부문(고대사·신화·종교 등)의 전공자들이 나서서 학술적 논전을 벌였다. 하지만 한국의 이른바 우익 역사 교과서에서는 해당 분야의 전문 역사학자가 아닌 사람들이 나서서 친일 행위와 독재 정권을 미화하고 있다.

이쯤에서 인터넷 사이트 ‘일간 베스트 저장소'(일베)를 주시할 필요가 있다. 일베는 수구 세력의 역사관을 주입하는 대상이자 이를 확산시키는 통로 노릇을 톡톡히 해왔다. 현재까지 드러난 사실만 놓고 볼 때, 이에 국정원 같은 정부기관까지 가세한 꼴이다. 인도의 의용단일가가 물질적으로 소외당하고 지식과 정보 측면에서 배제되어 있는 특정 소수 집단을 부추겨 행동대원으로 조직한 것과 비슷한 경로다. 이명박·박근혜 정부와 다양한 수구 세력들이 일베와 종합편성채널을 하나의 틀로 묶으면서 역사를 수구 난동 이데올로기로 전락시키는 현상을 보면 인도 역사 교과서 논쟁과 그 사회적 결과를 떠올리지 않을 수 없다.

이광수 (부산외국어대 인도학부 교수)

 

※시사in <2014-04-24>

기사원문: ‘민족의 이름’으로 널, 용서하지 않겠다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