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기사

애국묘소도 모자라는데 친일파까지 품은 대전현충원

324

친일파
묻힌 대전현충원 유재흥
·김창룡 등 논란에 현충원·경찰경력 충족 묘지안장 막을 근거 없다

 

() 현충원에 묻힌 친일파

 

“내가 죽거든 국립묘지에 묻지 말고, 생사를 같이 한 임정 요인들이 누워 있는 효창원 묘역에 묻어 달라.”-‘마지막
임시정부 요인
인 백강 조경한 선생의 유언 중…. 현충원은국가와 민족을 위한 목숨을 건 희생의 상징이다. 본래 의미대로면 이곳에는 조국을 위해 목숨 바친 순국선혈과 애국지사들이 안장돼 있어야 한다. 그러나 현충원은친일파의 안식처
오명을 쓴 지 오래
. 친일 전력자이지만 이런저런 경력과 공적을 정부로부터 인정받아 현충원에 묻힌친일파’들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 69번째 광복절이 지나도록 바뀌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 이에 본보는 우리 지역에 위치한 국립대전현충원에 묻힌 친일파 등을 중심으로 모두 3회에 걸쳐 이 문제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서울 동작동에 있는 국립현충원과 마찬가지로 대전 갑동의 국립대전현충원 역시 친일파의 흔적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긴 마찬가지다.


19일 민족문제연구소, 국립대전현충원
등에 따르면
2009년 발간된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된 인물 중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장된 이들은 군인과 경찰 출신을 포함해 보훈청으로부터 애국훈장을 받은 인사
28명이다.


민족문제연구소와 친일인명사전편찬위원회가 2009년 공동으로 펴낸친일인명사전은 친일반민족행위자
4776
명의 친일 행적 등을 담았고, 지금까지 친일파 논란에 있어 주요 기준점이 되고 있다.


이 사전에 등재됐지만 대전현충원 안장자 중 가장 논란이 되는 인물은 제19
국방부 장관을 지낸 유재흥과 일본군 헌병 출신인 김창룡이다
.


2011 11월 대전현충원에
묻힌 유 씨는 아버지의 뒤를 이어 일본 육사
(55)를 나와 1943년 보병 대위 시절 조선인 학병 지원을 촉구하는 연설을 한 행적이 드러나 친일인명사전에 이름을 올렸다.


유 씨의 경우 한국전쟁 때 3군단장으로 현리전투를 지휘했지만 자신의 부대가
중공군에게 포위되자 혼자 경비행기로 포위망을 빠져나가 전투 패배의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


특히 이 사건을 계기로 한국의 전시작전권이 미국으로 넘어가게 되면서 군인으로서의 공적조차 논란이 많은 인물이다.


김 씨 역시 그동안 관련 시민사회단체에 의해 가장문제적 인물로 지목받고 있다.


민족문제연구소 대전지부 관계자는일본군 헌병출신인 김 씨는 독립군 체포에
앞장선 인물이자 백범 김구선생의 암살배후로 지목된 인물
이라며
이런 인물의 묘가 국립묘지에 있는 것은 말이 안된다고 주장했다.


이들처럼 일본군에 속해 일제를 위해 활동했지만 광복 이후 군 경력이 인정돼 대전현충원에 안장된 인물은 김석범, 신현준, 백홍석, 송석하
등을 포함해
21명에 달한다.


이 밖에 현재 대전현충원에는 친일행적이 확인돼 보훈청으로부터 서훈이 취소된 강영석과 박성행 등 2명도 여전히 안장돼 있다.


이런 상황에 대해 대전현충원은 현행법에 따라 문제가 없다면 설사친일파라도 이장할 수도, 안장을 막을 수도 없다는 입장이다.


대전현충원 관계자는현행법상 군이나 경찰 등 경력 요건이 충족되고, 전과 등의 흠결이 없다면 국립묘지 안장을 막을 근거가 없다안장에 관한 실질적인 결정은 보훈청에서 하는 것이고, 서훈이 취소된
경우라도 유족이 동의하지 않는 한 강제 이장은 불가능하다
고 말했다.

 

최예린 기자 floye@cctoday.co.kr


<2014-8-20> 충청투데이

기사원문: 애국묘소도 모자라는데 친일파까지 품은 대전현충원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