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명논평

[보도자료] ‘친일화가 장우성이 그린 이순신 장군 표준 영정을 즉각 교체하라’

3734

<보도자료>

민족문제연구소 충남지부(지부장 이정학)와 천안아산지회(지회장 황운학)는 10월 26일(일) 오후 1시 아산 현충사 앞에서 ‘친일화가 장우성이 그린 이순신 장군 표준 영정을 즉각 교체하라’는 내용의 기자회견을 연다.

최근 영화 ‘명량’의 인기에 힘입어 이순신 장군의 사당인 현충사를 찾는 시민들이 부쩍 늘었다. 하지만 현충사에서 봉안되어 있는 이순신 장군의 표준 영정은 일제 시기 친일행적으로 논란을 일으킨 바 있는 장우성(1912-2005)이 1953년에 제작한 것을 1973년 당시 문화공보부 산하 선현영정심의위원회가 표준 영정으로 지정한 것이다. 표준 영정이란 위인들의 초상이 작가마다 각양각색으로 묘사되기 때문에 국가가 직접 나서서 특정 영정을 표준으로 정한 것이다.

준 영정이 정해지면 그것을 기본으로 하여 동상, 지폐, 우표 등도 제작해야 하며 교과서에도 사용된다. 현재 문화체육관광부가 지정한 93점의 표준 영정 중 약 15%인 14점이 장우성을 비롯한 김은호, 김기창 등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된 화가가 그린 것이다. (아래 표 참조)

민족문제연구소는 광복 60주년인 지난 2005년 처음으로 이에 대해 문제제기를 했고 그 결과 2007년 장우성이 그린 유관순 열사의 표준 영정이 교체되었다. 그리고 2008년에는 진주지역 시민단체들이 김은호가 그린 논개 영정을 교체해 표준 영정으로 지정되도록 한 바 있다. 2012년에는 충남 예산의 매헌윤봉길월진회(회장 이우재)와 일부 종친들도 장우성이 그린 윤봉길 의사의 표준 영정 교체를 주장한 바 있다.

그러나 최근 국정감사에서 새정치민주연합 조정식 의원(시흥을)이 친일화가들이 그린 표준영정에 대한 지정철회를 요구하자 문화체육관광부는 “작가의 친일 논란은 문화체육관광부 영정동상심의규정에서 규정하고 있는 지정해제 사유로 보기 어렵다”면서 사실상 이순신, 세종대왕 등 친일화가가 그린 표준영정 14점에 지정철회의 뜻이 없음을 밝혔다.

하지만 영정동상심의규정 제5조 2항을 보면 “정부표준영정이 천재지변, 화재 등으로 인하여 멸실, 도난, 훼손되거나 고증 및 사진 등 새로운 근거에 의하여 그 인물과 다르게 표현되어 있는 것으로 판명이 된 경우, 기타 지정을 해제할 만한 상당한 사유가 발생”하면 영정에 대한 지정해제를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작가의 행적이 역사정의와 교육 가치의 실현에 배치된다는 사실이 객관적으로 입증된다면 당연히 지정을 해제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앞으로 민족문제연구소 충남지부와 천안아산지회는 기자회견을 시작으로 장우성의 친일행위를 알리는 거리 전시회와 이순신 장군 표준 영정 교체를 촉구하는 서명운동 등을 꾸준히 전개할 예정이다.

문의 : 민족문제연구소 사무국장 방학진 010-8638-8879

장우성의 주요 연표

장우성張遇聖 1912~2005

1912년 충주 출생

1930년 친일화가 김은호 문하생으로 그림 시작

1936년 김은호 문하생으로 구성된 후소회後素會 창립 참여

1941년 제20회 조선미술전람회 동양화부에 푸른 전복戰服으로 조선총독상 수상

1942년 제21회 조선미술전람회 청춘일기로 창덕궁상 수상

1943년 제22회 조선미술전람회 화실로 창덕궁상 수상

1944년 제23회 조선미술전람회 기祈를 출품 수상

1944년 결전미술전決戰美術展 일본화부日本畵部에 항마降魔로 입선 1946년~1961년 서울대 미술부 교수

1971년~1974년 홍익대 미술학부 교수

1960년 대한민국 홍조소성훈장, 1971년 예술원상, 1974년 홍조근정훈장, 1976년 대한민국 문화훈장 은관장, 1984년 5·16민족상, 2001년 대한민국 문화훈장 금관장

1991년 월전미술관 건립(서울 팔판동)

2007년 이천시립월전미술관으로 확장 이전

장우성, “감격에 떨리는 목소리로 총후銃後 국민예술 건설에 심혼心魂을 경주하여 매진할 것을 굳게 맹세”

1943년 6월 15일 조선총독부 제1회의실에서 열린 제22회 조선미술전람회 시상식에 참석했는데, 심사위원장인 정무총감을 대리해 학무국장 오노大野謙一가 주도한 시상식장에는 조선미전의 참여작가와 추천작가를 비롯하여 30여 명의 수상자가 참석했다. 상장과 상금 시상이 끝난 뒤 장우성이 답사를 했다. 조선인 수상자로는 최초의 답사였다. 1943년 6월 16일자 매일신보는 “결전하決戰下 예술가의 두 어깨에 지워진 임무가 중대함을 강조하는 열렬한 인사를 하자 일동을 대표하여 동양화의 장우성 화백은 감격에 떨리는 목소리로 총후銃後 국민예술 건설에 심혼心魂을 경주하여 매진할 것을 굳게 맹세하는 답사를 한 후 동 1시 40분경에 이 수상식은 끝났다”라고 보도했다.

연합국을 굴복시키자는 의미의 작품으로 입선

1944년 3월 친일단체인 국민총력조선연맹·조선미술가협회·조선군 보도부·조선총독부 정보과가 후원하고 일본어판 조선총독부 기관지인 경성일보사가 주최한 결전미술전決戰美術展이 열렸다. 총독부 미술관에서 열린 결전미술전은 결전미술전람회 목록에 “공격하라 멈추지 말라”를 구호로 명기할 정도로 침략전쟁을 부추기는 군국주의 미술전람회였다. 1944년 3월 결전미술전 일본화부日本畵部에 항마降魔를 응모하여 입선했다. 2003년 펴낸 회고록 화단풍상70년에서 결전미술전 입선작품인 항마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으나, 1942년 11월 반도총후미술전람회에 불화佛畵 부동명왕不動明王을 응모하려 했으나 운반 도중 비에 젖어 포기했다고 밝힌 바 있다. 부동명왕이 1930년대 광범위하게 숭배되었던 일본 군국주의의 호국불이라는 점에서 전시회의 성격과 부합한다 할 수 있다. 결전미술전에 입선한 항마는 ‘악마를 굴복시키는 날카로운 검’이란 뜻의 국민가요 항마의 이검降魔の利劍과 주제가 일치하며, 악마는 귀축미영鬼畜米英 즉 연합군을 가리키는 것이다.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된 친일화가들이 그린 표준 영정 현황(2014년 현재)

작가명

선현명

제작기관

지정년도

소장처

장우성

충무공 이순신 이충무공기념사업회

1973

현충사관리소(충남 아산)

장우성

다산 정약용 한국은행

1974

한국은행 본점

장우성

강감찬 서울특별시

1974

낙성대

장우성

김유신 충청북도

1977

길상사(충북 진천)

장우성

윤봉길 충청남도

1978

충의사(충남 예산)

장우성

정몽주 한국은행

1981

한국은행 본점

김은호

율곡 이이 강원도

1975

오죽헌(강원 강릉)

김은호

신사임당 율곡기념사업회

1986

오죽헌(강원 강릉)

김기창

세종대왕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3

세종대왕유적관리소(경기 여주)

김기창

을지문덕 한국은행

1975

한국은행 본점

김기창

중봉 조헌 문공부

1977

국립현대미술관
(칠백의총관리소에 대여 관리)

김기창

고산자 김정호 문공부

1977

국립현대미술관 

김기창

무열왕 문화재관리국

1977

통일전(경북 경주)

김기창

문무왕 문화재관리국

1977

통일전(경북 경주)

 

 총독부 기관지 「매일신보」 1943년 6월 16일자에 실린 조선미전 수상식 기사. 이날 장우성은 조선인 수상자로는 최초로 답사答辭를 했다.

친일잡지 「 국민총력」 1943년 12월 5일호 표지화. 장우성이 화제로 삼은 부동명왕不動明王은 오른손에는 항마의 검, 왼손에는 오라를 잡고 있다.

※관련성명서

민족문제연구소: [성명] 친일화가가 그린 이순신 장군 표준 영정을 즉각 교체하라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