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도 실록소설 ‘들꽃’ (11)] # 제3장 허위의 순국과 임은 허씨의 망명 ②
<들꽃> 해제
제목 ‘들꽃’은 일제강점기에 황량한 만주벌판에서 나라를 되찾고자 일제 침략자들과 싸운 항일 독립전사들을 말한다.
이 작품은 필자가 이역에서 불꽃처럼 이름도 없이 산화한 독립전사들의 전투지와 순국한 곳을 찾아가는 여정(旅程)으로, 그분들의 희생비를 찾아가 한 아름 들꽃을 바치고 돌아온 이야기다. – 작가의 말
▲ 가을 국화, 서리가 내린 추운 계절에 핀 국화는 ‘오상고절(傲霜孤節)’이라 하여 서릿발이 심한 속에서도 굴하지 아니하고 외로이 지키는 절개를 뜻한다.
ⓒ 박도
이 연필을 보라
▲ 왕산 허위(1854~1908)
ⓒ 왕산기념관
일본 헌병들에게 체포된 허위는 곧 서울 헌병사령부로 압송되었다. 허위의 조카들이 이 소식을 듣고 헌병사령부로 면회를 왔다. 허위는 그들에게 태연히 말했다.
“나는 나라를 위하다가 죽으니 여한이 없다. 내 걱정은 절대로 하지 말라. 내 들으니, 변호사가 대리해서 변호하려는 뜻으로 나의 성명을 새긴 인장을 달라고 한다는데, 이는 천만부당한 일이니 곧 인장을 없애버려라.”
조선통감부 경무총장 겸 헌병대장 아카시 모토지로(明石元二郞, 1864~1919)는 13도 창의군 군사장 왕산 허위를 예우함과 동시에 그를 설득 전향시키고자 직접 심문했다.
허위는 헌병대장 앞에서 의병을 일으킨 목적과 국권회복의 당위성을 당당하게 피력하였다.
“일본이 조선의 보호를 부르짖는 것은 말뿐이오. 실상은 조선을 멸망시키려는 화심(禍心, 남을 해치려는 마음)으로 포장하고 있다. 우리들은 이를 결코 좌시할 수 없어 목숨을 버릴 것을 각오하고 의병을 일으킨 것이다.”
이에 대해 경무총장 아카시 모토지로가 다음과 같이 말했다.
▲ 조선통감부 경무총장 아카시 모토지로(1864~1919)으로, 일제의 조선 침략 행동대장이었다.
“일본이 조선에 임(臨)하는 것은 비유하자면 병자를 안마하는 것과 같다.
팔다리와 몸뚱이를 주무르고 두드리면 언뜻 보기에는 병자의 고통을 떨어뜨리는 것 같지만, 이는 병자를 치료하기 위해서 하는 것이며, 마침내 병자의 병은 낫게 될 것이다.”
그는 당시 조선을 ‘병자’로 보고 있었다. 그러면서 그는 일제의 조선 침략은 일시적으로 조선인에게 고통을 가져올지 모르지만, 마침내 조선인의 행복과 안녕을 보장하게 될 것이라는 논리를 폈다.
그러자 허위는 책상 위에 있는 겉은 붉지만 속은 남색인 연필을 가리키며 이를 반박했다.
“이 연필을 보라. 언뜻 보기에는 붉은 색이지만, 그 속은 남색이지 아니한가. 일본이 조선을 대하는 것이 이와 같다. 그 껍질과 내면이 크게 다름은 다툴 것도 없이 명백한 것이다.”
의병 대장은 나다
허위를 심문하던 경무총장 아카시 모토지로는 비록 적장이지만 허위의 고매하고 강직한 인품에 매료되어 ‘국사(國士, 나라의 으뜸 선비)’라고 일컬으며, 끝까지 구명운동을 했다고 전하고 있다.
[*필자는 EBS 교육방송과 함께 2008년 왕산 순국 100주년 기념일을 전후하여, 왕산 후손과 아카시 모토지로의 후손 간 ‘100년 만의 화해’라는 주제로, 특집 다큐멘터리를 기획 제작하려고 했다. 그리하여 EBS 김동관 PD가 일본까지 갔으나 아카시 후손의 미온적인 태도로 성사되지 못했다. 그때 김 PD가 만난 아카시 손자는 자기 할아버지의 당시 대 한국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듯하다고 나에게 전했다. 아마도 이것이 지금 일본 주류를 대변한 듯하다. 그들은 여전히 우리를 우습게 보고 있다는 반증이 아닐 수 없다.]
▲ 왕산 허위의 유묵; 나랏일이 여기에 이르니 죽지 아니하고 어찌하랴. 내가 지금 죽을 곳을 얻었은즉 너희 형제간에 와서 보도록 하라. (1908년) 5월 22일 경성일본헌병대에서 구금 중 아비 씀
ⓒ 허도성(왕산 후손) 제공
허위가 구금되어 있는 동안 평리원 판사와 검사가 번갈아 심문했다. 이에 허위가 그들을 크게 꾸짖으며 말하였다.
“너희들이 비록 조선 관헌이라 하나, 왜적의 주구(走狗)이니 이런 짓을 하는구나. 나는 대한의 의병장이니 너희들과 말다툼하고 싶지 않다. 또 법률이라는 것도 너희들이 임의로 정한 것인즉, 내가 복종할 바 아니다. 나는 이미 죽음도 요량(料量, 잘 헤아려 생각함)한 바이니, 속히 형을 집행하라.”
재판 중 일본 재판관이 허위 13도 창의군사장에게 물었다.
– 의병을 일으키게 한 것은 누구이며, 대장은 누구인가?
“의병이 일어나게 한 것은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이요, 그 대장은 나다.”
– 어째서 이토 공이라고 하느냐?
“이토가 우리나라를 침략하지 않았다면 의병은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다. 그러니 의병을 일으킨 것은 이토가 아니고 누구이겠느냐.”
장엄한 순국
▲ 1962년 대한민국 정부가 수여한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 왕산기념관
허위는 1908년 9월 18일 사형선고를 받고, 그해 10월 21일 경성감옥(서대문형무소, 현 서대문독립공원)에서 감옥 개설 제1호로 교수형을 당했다.
형이 집행되기에 앞서 일본 중이 독경을 하려고 하자 허위는 다음과 같이 거절하였다.
“충의의 귀신은 스스로 마땅히 하늘에 올라갈 것이요, 혹 지옥에 떨어진다고 해도 어찌 너희들의 도움을 받으랴.”
옥리(獄吏, 감옥의 관리)가 시신을 거둘 사람이 있느냐고 물었다.
“사후에 시신 거둠을 어찌 괘념할 것인가. 나는 이 옥중에서 썩어도 좋으니 속히 형을 집행하라.”
허위는 교수대에 오르기 전에 북쪽에 있는 대궐 어좌(御座, 임금의 용상)를 향해 4배, 남쪽 고향 가묘(家廟)에 재배한 다음, 조용히 교수대로 올라가 장엄하게 순국하였다. 향년 54세였다.
후일 안중근이 뤼순재판정에서 왕산 허위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허위와 같이 진충갈력(盡忠竭力, 충성을 다함)과 용맹의 기상을 동포 이천만민이 가졌다면 오늘의 국욕(國辱, 나라의 치욕)을 받지 않았을 것이다. 지금까지 고관들은 자기 있음을 알고, 나라 있음을 알지 못하는 자가 많다. 그는 그렇지 않았다. 그는 고등 충신이라고 말해야 할 것이다.”
▲ 의병장 조상을 둔 탓으로 아직도 세계 곳곳에 흩어져 사는 후손들이 100년만에 할아버지 기념관 개관식날(2009. 9. 28.) 그리운 고국과 고향 구미를 찾아왔다.
ⓒ 박도
<2014-11-10> 오마이뉴스
☞기사원문: 의병장 후손은 세계 유랑민이 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