ㆍ‘임종국상’ 수상하는 히다 유이치 일본네트워크 공동대표
ㆍ60년대부터 진상 규명 활동… 징용자 월급 강제 차입 확인
ㆍ한국 진상조사위에 자료 제공
“아베 신조 총리가 과거를 부정하려고 해도 과거는 ‘존재하는 것’입니다. 시민들이 지적하면서 과거를 부정할 수 없는 분위기를 만들어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본 강제동원진상규명네트워크(이하 네트워크) 히다 유이치 공동대표(64·사진)는 “아베 총리는 고노담화를 바꾸고 싶어하고 강제연행을 부정하고 싶어하지만 역사를 부정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11일 서울 청량리동 민족문제연구소에서 만난 히다 대표는 시민의 힘을 강조했다. 그는 네트워크가 제8회 임종국상 사회부문 수상자로 결정돼 공동대표 자격으로 방한했다. 임종국상은 친일 청산을 위한 저술 활동에 앞장섰던 임종국 선생(1929~1989)의 뜻을 기려 2005년 제정된 상이다.
네트워크는 1960년대부터 일본에서 조선인·중국인 강제동원 진상규명 활동을 벌여오던 연구자·시민운동가·단체들이 모여 2005년 만든 조직이다. 출범 이래 일제강점기 조선인 군인·군속, 징용자, 일본군 위안부 등 강제동원 피해자 문제는 물론 희생자 유골 확인, 미불 임금 처리, 비밀자료 공개 등 과거사 전반에 걸쳐 치열하게 진상규명 활동을 전개해왔다. 현재 30여개 단체와 개인 등 400여명이 네트워크 안에서 활동하고 있다.
히다 대표는 가장 기억에 남는 활동으로 결성 초기에 강제동원 피해자들의 유골을 조사한 일을 꼽았다. 당시 기후현, 홋카이도에 남아 있는 유골을 조사했는데 유골을 한국의 유족들에게 전달해주면서 “일본이 저지른 강제연행의 역사가 끝난 것이 아니라 살아 있는 문제라고 실감했다”고 말했다.
2004년 11월 한국에서 ‘일제강점하 강제동원 피해 진상규명위원회’가 출범했을 때 자신들이 수십년간 조사·연구한 모든 자료를 위원회에 제공한 것도 큰 성과였다. 2008년 한국의 진상규명위원회가 법으로 정해진 시한을 다했을 때는 국회를 방문해 위원회 사업이 계속될 수 있도록 요청하기도 했다. 그는 “한국 정부의 조사가 있었기에 일본 시민단체들이 조사할 수 있는 수준이 높아졌는데 점점 유명무실해진 것은 정말 안타깝다”며 “한국 정부가 조사위를 강화해 일본 시민단체가 조사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줬으면 하는 바람이 크다”고 말했다.
우편저금의 실체를 드러낸 것도 네트워크의 힘이었다. 일제강점기 강제연행된 노동자들은 우편저금통장에 월급을 차입당했다. 이들은 우편저금통장에 강제차입된 월급 기록을 2009년 유초(우편저축)은행으로부터 정보공개 청구를 통해 받아냈다.
히다 대표는 내년 한일협정 체결 50주년을 언급하며 “현재 양국의 냉랭한 분위기로 50주년을 맞이하는 것은 일본 사회에도, 한국 사회에도 대단히 불행한 일”이라고 말했다. 한·일 양국 시민단체들은 내년 6월, 8월에 한일협정 50주년의 의미를 다시 고민하는 대회를 준비하고 있다. “우호의 기본은 서로를 아는 것입니다. 총을 쏘려고 하는데 아는 사람이 있으면 쏘기 힘들 것입니다. 서로를 아는 것이 평화를 만드는 가장 중요한 바탕이라고 생각합니다.”
<2014-11-12> 경향신문
☞기사원문: “강제연행 역사는 끝난 게 아니라 살아있는 문제”
※관련기사
☞연합뉴스: ‘강제동원 진상규명 우리 힘으로’ 행동하는 일본인들
☞한국일보: 위안부 문제, 한일 조금씩 양보해 해결 모색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