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기사

버스정류장 이름이 ‘빨래터’… 이런 동네도 있다

581

[북촌기행①] 북촌제일경과 이경이 있는 원서동(苑西洞)길

 ▲ 백악과 응봉 그리고 북촌 백악 아래 경복궁, 응봉 아래 창덕궁, 그 사이에 북촌이 자리 잡았다. ⓒ 김정봉

세운상가 옥상에 올랐다. 경복궁 주산(主山)인 백악(북악)에서 창덕궁의 주산인 응봉(鷹峰)까지 한눈에 들어온다. 백악줄기가 마지막으로 용을 써서 응봉에 솟았다. 그 사이로 어머니 가슴에 얼굴 감추듯 슬그머니 파고든 동네가 북촌이다. 누구나 한 번쯤 살고 싶어 하는 길지 중의 길지다. 삼청동, 가회동, 계동, 재동, 안국동, 원서동과 율곡로 건너 경운동, 관훈동, 운니동까지가 북촌이다.

한강은 강남과 강북을, 청계천은 남촌과 북촌을 갈랐다

조선 건국 이래 청계천과 종각을 중심으로 북쪽에 북촌이, 목면산(남산) 아래에 남촌이 있었다. 한강이 강남과 강북을 나누듯 청계천은 남촌과 북촌을 갈랐다. 신분과 재산, 당색에 따라 각각 다른 부류의 사람들이 살았다.

북촌에는 누가 살았을까? 북촌에 팔판동(八判洞)이 있다. 조선시대에 여덟 명의 판서가 살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그만큼 북촌에는 주로 고위관료와 당시 실세가 살았다. 반면 남촌에는 <허생전>의 허생처럼 몰락한 가난한 양반, 하급관리들이 살았다. 이런 현상은 조선 말기에 더욱 심해졌다. 영·정조에서 고종에 이르기까지 약 150년간 북촌의 주인은 집권 실세, 노론이었다.

오죽했으면 남주북병(南酒北餠)이라는 말이 생겨났을까? 남산 밑은 술을 잘 빚고 북촌은 떡을 잘 만들었다 하여 붙여진 말이다. 세상시름을 잊으려 술 잘 먹고 술 팔아 생계를 유지하는 남촌과 떡을 자주 해먹은 부자 동네, 북촌의 생활상을 드러낸 말이다.

 

▲ 낙원상가 떡집 남주북병(南酒北餠)이라 했다. 낙원상가에 떡집이 많은 이유가 있다 ⓒ 김정봉

낙원떡집, 종로떡집, 삼대남문떡집, 선일떡집 등, 낙원상가 근처에 떡집이 많은 이유가 여기에 있다. 지금이나 조선시대나 남북이 바뀌었을 뿐 부유하고 권력 있는 사람과 ‘백’ 없고 가난한 사람 간의 이중적 거주구성은 되풀이되고 있다.

북촌제일경(北村第一景) 고갯길

산은 물을 낳고 물은 사람을 불렀다. 응봉 물줄기는 북촌 네 골짜기를 타고 흘러 가회동·계동·원서동의 물길이 됐다. 으뜸은 경복궁에 바짝 붙어 흐르는 중학천이고 그 다음은 운현궁 앞으로 흐르는 가회동 물길이다. 그 동쪽 계동과 원서동의 물길은 고만고만하여 도토리 키 재기다. 이제는 모두 옛일이다. 물길은 찻길이 되어 삼청동·가회동·계동·원서동 길로 변했다.

맨 처음 찾은 곳은 원서동길이다. 북촌1·2경이 있고 무엇보다 북촌물길을 더듬어 볼 수 있는 빨래터가 여기 있다. 원서동(苑西洞)은 창덕궁 후원 서쪽에 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창덕궁 돌담 따라 생긴 마을이라 좁고 길다. 지도로 보면 누에처럼 보인다.

원서동에서 계동으로 넘어가는 고갯길이 북촌1경을 낳았다. 이 고갯길은 고개 넘어 계동에 살았던 여운형이 해방 후, 건국준비를 위해 긴박하게 오갔던 고개다. 1세대 서양 화가 김종하(金鍾夏, 1918~2011) 화백도 여기서 자랐다. 그는 50년 전에, 아스팔트가 깔리고 고급 승용차가 꼬리를 물며 다니는 사나운 꼴을 보고 “고향을 잃었다”하며 ‘실향의 변(辯)’을 토해냈다.

  ▲ 북촌1경 갑신정변, 건준 활동, 3.1운동 등 근대사의 일면을 장식한 선인들의 발자취가 남아있는 고갯길에서 보는 정경이라 여운은 더욱 진하다 ⓒ 김정봉

이 고갯길에서 창덕궁을 보는 경치를 북촌1경이라 부른다. 예전부터 알 만한 사람은 다 아는, 이름 없이 회자되던 곳이다. 구선원전, 규장각, 홍문관, 인정전 등 창덕궁의 전각들이 서로 어깨를 겨루며 서있는 정경이 펼쳐진다. 두말 할 필요 없이 ‘북촌제일경’이다. 여운형의 발길과 김 화백의 회상이 담겨 진한 여운을 남긴다.

창덕궁 담은 궁궐과 민가를 나누고… 창덕궁 담은 원서동 물길 따라 쉬엄쉬엄 응봉을 향해 간다. 애당초 네모반듯한 창덕궁 사괴석담은 민가와 궁궐을 엄격히 구분했다. 이제는 그도 옛말, 세월이 많이 흘렀다. 민가와 창덕궁 담 구분이 모호해졌다. 서로 얼굴을 익힌 지 수십 년, 민간담은 넉살 좋게 창덕궁 담에 딱 달라붙어 떨어질 줄 모른다.

왕족 외에는 궁에서 죽을 수 없다. 내시나 궁녀가 늙고 병들어 더 이상 궁에 머물지 못하면 궁을 떠나야 한다. 이 때 나서는 문이 창덕궁 서쪽 요금문(曜金門)이다. 문의 내력도 딱하기도 하지만 문에 철썩 달라붙은 민가에 수난을 겪는 문이어서 가엾은 마음은 더하다. 문 북쪽은 그래도 정비가 되어 있지만 남쪽은 보기 흉하다.

  ▲ 창덕궁 담 담 하나로 궁과 민가가 나뉜다. 담 끝에 보이는 요금문 주변은 민가가 담에 딱 붙어 있어 보기 흉하다. 그래도 어찌하겠는가? 민가와 담이 함께한 세월은 길다. 이 문제가 해결되려면 시간이 필요해 보인다 ⓒ 김정봉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을 겪은 우리다. 무너진 담 사이로 길을 냈고 튼튼한 담이라도 있으면 거기에 빌붙어 살아온 인생이다. 이를 해결하는 데는 시간이 필요해 보인다. 그래도 조금은 나아지고 있는 게 다행이라면 다행. 민가에 가려 보이지 않던 담이 조금씩 보이기 시작했다. 점이 모이면 선이 되듯, 점점이 보이는 담이 조금씩 선을 그리기 시작하였다.

그러거나 말거나 일상은 담과 상관없다. 이발소와 세탁소, ‘복덕방’, 한복집이 동네 일상을 이어가고 있다. 커피점도 정겹게 ‘동네커피’라 이름 지었다. 다행히 이런 가게들이 아직 건재하다. 마을버스정류장 이름이 ‘세탁소’, ‘빨래터’인 동네다. 한 정류장 사이에 같은 일을 하는 곳이 연달아 있는 점도 우연치고는 묘하다.

빨래터 정류장 앞, 이쯤 오면 무겁고 번잡한 마음이 일순간 사라진다. 납작한 집들, 회색빛 기와집이 보인다. 길은 세 갈래, 하나는 계동으로 넘어가는 언덕길이고 나머지 두 길은 ‘∩’형으로 돌아서 나오게 되어있다.

▲ 세탁소 정류장 ‘세탁소, 빨래터’가 정류장인 동네, 이런 정경은 북촌 다른 동네에서는 구경하기 어렵다 ⓒ 김정봉

 

▲ 원서동 세 갈래길 원서동에서 가장 예쁜 곳이 아닌가 싶다. 오른쪽은 북촌2경, 원서동공방길, 왼쪽은 고희동화백 집(붉은 벽돌집) 길이다. 이 길 끝에 빨래터가 있다 ⓒ 김정봉

북촌2경, 원서동 공방길

‘메종 드 이네스(masion de Ines)’ 오른쪽 길은 북촌2경, 원서동 공방길이라 불린다. 골목은 그다지 예쁘지 않지만 모두 이렇게 부른다. 왕실 일을 맡아보던 사람들이 다녔던 길이라 그럴 테다. 연(鳶) 공방, 한지 공방 등 전통공방이 있고 마지막 주방 상궁의 맥을 잇고 있는 궁중음식연구원 또한 이 길 위에 있다. 상궁이 궁에서 나온 뒤 거처로 삼았다 전해지는 백홍범 집이 이 길 언덕에 자리 잡아 옛날 일을 추억하고 있다.

 

▲ 북촌2경, 원서동공방길 왕실 일을 맡아보던 사람들이 다녔다는 길이다. 전통공방과 궁중음식연구원 등이 옛 추억을 더듬는다. ⓒ 김정봉

 

▲ 한샘디자인셑터 지붕선 경사면 따라 날개 편 지붕은 선적인 한국미를 마음껏 뽐내고 있다 ⓒ 김정봉

백홍범 집은 ‘한샘DBEW디자인센터’ 안에 묻혀 겉만 볼 수 있다. 이 센터에서 북촌1경의 지붕선을 다시 볼 수 있다. 철새들이 어깨 맞대며 줄지어 날아가듯 경사면 따라 날개 편 지붕은 선적(線的)인 한국미를 마음껏 뽐내고 있다.

공방길의 끝, 창덕궁 담 아래에 빨래터가 있다. 동네사람들이 궁에서 흘러온 물로 빨래를 했던 곳이다. 곁에 우리나라 최초의 서양화가, 고희동(1886~1965) 집이 있다. 이상돈 교수의 외갓집으로 알려져 화제가 되기도 했는데 어릴 적 외갓집에 놀러와 빨래터 앞에서 놀곤 했다고 회고한다.

▲ 원서동 빨래터 며칠 전 공사를 끝내 붉은 벽돌은 없어지고 잘 다듬은 대리석 계단을 만들어 놓았다. 큰 의미는 없어 보인다. 빨래터의 복원이 우선인 듯싶다. 아무튼 북촌물길을 확인할 수 있는 소중한 장소다 ⓒ 김정봉

 

▲ 고희동 가옥 우리나라 최초의 서양화가 고희동 집이다. 고 화백이 직접 설계하여 지어 40여년 생활하였다 한다. 편히 쉬면서 원서동길 여행의 마침표 찍기 좋다 ⓒ 김정봉

돌배기 애기는 둘러업은 채 빨래했다. 너 다섯 살배기 아이들이라면 터 앞, 눈에서 벗어나지 않는 곳에서 놀게 했다. 당시 빨래터는 애들에게는 놀이터요, 어른들에게는 마을의 소소한 소식이 오간 소통의 장소였다. 폭이 좁아지긴 했어도 북촌의 물길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소중한 곳이다.

마을 집들이 창덕궁 담을 망친다고 여기저기서 난리다. 창덕궁 담에 붙어있는 집들은 마을사람들의 삶과 질기게 연을 맺고 있는 것이어서 쉽게 해결될 일이 아니다. 시간이 걸리더라도 마을에 터 잡고 있는 가게들과 함께하는 상생의 길을 찾아야 할 것이다. 그런 게 아니라면 지금이 더 나을지 모른다.

<2014-11-07> 오마이뉴스

☞기사원문: 버스정류장 이름이 ‘빨래터’… 이런 동네도 있다


NO COMMENTS